벌레(蟲部)

수질(水蛭, 거머리)

한닥터 2011.11.03 조회 수 377 추천 수 0
◈ 水蛭 ○ 검어리性平(一云微寒)味?苦有毒治瘀血積聚破?結墮胎利水道通女子月侯不通欲成血勞 ○ 生池澤中五六月採暴乾 ○ 一名馬?一名馬?(一作)(蝗)或有長者當以小者爲佳?牛馬人血滿腹者尤佳 ○ 取蛭當展令長腹中有子者去之此物至難死雖火灸經年得水猶活[本草] ○ 米?浸一宿日乾細?以石灰炒黃色用之[得效]

☞ 수질(水蛭, 거머리) ○ 성질이 평(平)하고(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짜면서[?] 쓰고 독이 있다. 어혈(瘀血), 적취(積聚), 징가(?痂)를 치료하고 유산시키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월경이 나오지 않다가 혈로(血勞)가 되려고 하는 것도 치료한다. ○ 못에서 사는데 음력 5-6월에 잡아서 햇볕에 말린다. ○ 일명 마기(馬?), 마황(馬?)이라고도 한다. 혹 큰 것도 있는데 작은 것이 좋다. 사람이나 소, 말의 피를 빨아 먹어서 배가 똥똥해진 것이 좋다. ○ 거머리를 잡아 길게 늘어서 배에 있는 알을 버려야 한다. 거머리를 죽이기는 힘들다. 불에 구워서 1년 동안 두었던 것도 물을 만나면 다시 살아난다고 한다[본초]. ○ 쌀 씻은 물에 하룻밤 담가 두었다가 햇볕에 말린 다음 잘게 썰어서 석회와 함께 누렇게 볶아 쓴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외장(外障) 525
[눈(眼)] 간허목암(肝虛目暗) 2 693
[눈(眼)] 고풍작목(高風雀目) 719
[눈(眼)] 간허작목(肝虛雀目) 577
[눈(眼)] 청풍(靑風) 377
[눈(眼)] 흑풍(黑風) 327
[눈(眼)] 오풍(烏風) 368
[눈(眼)] 녹풍(綠風) 429
[눈(眼)] 경진(驚振) 321
[눈(眼)] 뇌두풍(雷頭風) 588
[눈(眼)] 오풍변(五風變) 320
[눈(眼)] 태환(胎患) 316
[눈(眼)] 흑화예(黑花瞖) 361
[눈(眼)] 황심예(黃心瞖) 426
[눈(眼)] 조화예(棗花瞖) 316
[눈(眼)] 언월예(偃月瞖) 311
[눈(眼)] 침예(沈瞖) 398
[눈(眼)] 부예(浮翳) 300
[눈(眼)] 횡개예(橫開翳) 397
[눈(眼)] 산예(散翳) 601
[눈(眼)] 삽예(澁翳) 472
[눈(眼)] 활예(滑翳) 536
[눈(眼)] 빙예(氷翳) 577
[눈(眼)] 원예(圓翳) 704
[눈(眼)] 내장(內障) 1515
[눈(眼)] 눈병의 원인[眼病所因] 741
[눈(眼)] 눈병은 화가 없이는 생기지 않는다[眼無火不病] 797
[눈(眼)] 눈병에는 한증이 없다[眼病無寒] 624
[눈(眼)] 눈은 간의 상태가 나타나는 구멍이다[目者肝之竅] 1034
[눈(眼)] 맥 보는 법[脈法]/눈 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