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레(蟲部)

수질(水蛭, 거머리)

한닥터 2011.11.03 조회 수 377 추천 수 0
◈ 水蛭 ○ 검어리性平(一云微寒)味?苦有毒治瘀血積聚破?結墮胎利水道通女子月侯不通欲成血勞 ○ 生池澤中五六月採暴乾 ○ 一名馬?一名馬?(一作)(蝗)或有長者當以小者爲佳?牛馬人血滿腹者尤佳 ○ 取蛭當展令長腹中有子者去之此物至難死雖火灸經年得水猶活[本草] ○ 米?浸一宿日乾細?以石灰炒黃色用之[得效]

☞ 수질(水蛭, 거머리) ○ 성질이 평(平)하고(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짜면서[?] 쓰고 독이 있다. 어혈(瘀血), 적취(積聚), 징가(?痂)를 치료하고 유산시키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월경이 나오지 않다가 혈로(血勞)가 되려고 하는 것도 치료한다. ○ 못에서 사는데 음력 5-6월에 잡아서 햇볕에 말린다. ○ 일명 마기(馬?), 마황(馬?)이라고도 한다. 혹 큰 것도 있는데 작은 것이 좋다. 사람이나 소, 말의 피를 빨아 먹어서 배가 똥똥해진 것이 좋다. ○ 거머리를 잡아 길게 늘어서 배에 있는 알을 버려야 한다. 거머리를 죽이기는 힘들다. 불에 구워서 1년 동안 두었던 것도 물을 만나면 다시 살아난다고 한다[본초]. ○ 쌀 씻은 물에 하룻밤 담가 두었다가 햇볕에 말린 다음 잘게 썰어서 석회와 함께 누렇게 볶아 쓴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과실(果部)] 앵도(櫻桃, 앵두) 앵도엽(櫻桃葉, 앵두나무잎) 동행근(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앵두나무뿌리) 575
[과실(果部)] 능인(菱仁, 마름) 530
[과실(果部)] 검인(芡仁, 가시연밥) 678
[과실(果部)] 복분자(覆盆子, 나무딸기) 봉류(蓬?, 멍덕딸기) 870
[과실(果部)] 율자(栗子, 밤) 율피(栗皮, 밤껍질) 율모각(栗毛殼, 밤송이) 율설(栗楔, 밤의 가운데 톨) 671
[과실(果部)] 포도(葡萄) 포도근(葡萄根, 포도나무뿌리) 영욱(??, 머루) 653
[과실(果部)] 대조(大棗, 대추) 생조(生棗, 생대추) 핵중인(核中仁, 대추씨) 조엽(棗葉, 대추나무잎) 778
[과실(果部)] 유감자(乳柑子) 528
[과실(果部)] 유자(柚子) 759
[과실(果部)] 청귤피(靑橘皮, 선귤껍질) 청귤엽(靑橘葉, 귤잎) 698
[과실(果部)] 귤피(橘皮, 귤껍질) 귤육(橘肉, 귤의 속살) 귤낭상근막(橘囊上筋膜, 귤의 속살에 붙은 실 같은 층) 귤핵(橘核, 귤씨) 874
[과실(果部)] 연실(蓮實, 연밥) 우즙(藕汁, 연근을 짜낸 물) 하엽(荷葉, 연잎) 연화(蓮花, 연꽃) 연의(蓮薏, 연실의 심) 775
[벌레(蟲部)] 고충(蠱蟲) 359
[벌레(蟲部)] 회충(?蟲) 365
[벌레(蟲部)] 활사(活師, 올챙이) 340
[벌레(蟲部)] 슬자(蝨子, 이) 345
[벌레(蟲部)] 의어(衣魚, 옷좀) 406
[벌레(蟲部)] 서부(鼠婦) 343
[벌레(蟲部)] 형화(螢火, 반딧불) 348
[벌레(蟲部)] 청령(??, 잠자리) 401
[벌레(蟲部)] 천산갑(穿山甲) 335
[벌레(蟲部)] 누고(??, 도루래) 410
[벌레(蟲部)] 갈(蝎, 전갈) 348
[벌레(蟲部)] 오령지(五靈脂) 761
[벌레(蟲部)] 강랑(??, 말똥구리) 333
[벌레(蟲部)] 작옹(雀瓮, 쐐기벌레집) 348
[벌레(蟲部)] 반묘(斑猫) 1439
[벌레(蟲部)] 수질(水蛭, 거머리) 377
[벌레(蟲部)] 합개(蛤?, 도마뱀) 360
[벌레(蟲部)] 오공(蜈蚣, 지네) 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