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레(蟲部)

천산갑(穿山甲)

한닥터 2011.11.03 조회 수 335 추천 수 0
◈ 穿山甲 ○ 性微寒有毒主五邪鬼魅驚啼悲泣及小兒驚邪療山嵐??痔瘻惡瘡 ○ 一名?鯉甲以其好穿地道故又名穿山甲形似鯉魚而有四足能陸能水採無時用時細?蚌粉炒成珠爲末用[本草]

☞ 천산갑(穿山甲) ○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독이 있다. 5가지 사기와 귀매, 놀라서 몹시 우는 증, 어린이가 놀라는 증, 산람(山嵐), 장학(??), 치루(痔瘻), 악창 등을 치료한다. ○ 일명 능리갑(?鯉甲)이라고도 하는데 땅을 파내기 좋아하기 때문에 천산갑이라고도 한다. 생김새는 잉어(이어)와 비슷한데 발이 4개이다. 땅이나 물로도 다 잘 다닌다. 아무 때나 잡아서 쓰는데 잘게 썬 다음 진주조개가루와 함께 볶아 구슬처럼 만들어 가루내어 쓴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오풍변(五風變) 320
[잡방(雜方)] 영응고(靈應膏) 320
[소아(小兒)] 마마 때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20
[눈(眼)] 경진(驚振) 321
[소아(小兒)] 급경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急驚風不治證] 322
[풀(草部)] 삼릉(三稜) 323
[짐승(獸部)] 시피(豺皮, 승냥이가죽) 324
[새(禽部)] 교부조(巧婦鳥, 뱁새) 326
[과실(果部)] 진자(榛子, 개암) 326
[침구(針灸)] 12경맥의 순행과 분포되어 있는 부분[十二經行度部分] 327
[침구(針灸)] 5수혈과 음양의 배합[五?陰陽配合] 327
[눈(眼)] 흑풍(黑風) 327
[천지운기(天地運氣)] 6기년(六己年)은 비감(卑監)의 해[六己年卑監之紀] 328
[새(禽部)] 창경(??) 328
[옹저(癰疽)] 정저 때 뜸을 뜨는 방법[灸?疽法] 329
[눈(眼)] 골안응정(鶻眼凝睛) 330
[소아(小兒)] 보호하는 법[保護] 330
[잡방(雜方)] 십향고(十香膏) 331
[침구(針灸)] 독맥의 순행과 침혈[督脈流注及孔穴] 332
[변증(辨證)] 5가지 맛은 들어가는 곳이 있다[五味所入] 333
[벌레(蟲部)] 강랑(??, 말똥구리) 333
[소아(小兒)] 마마를 앓는 기간[痘瘡日限] 334
[벌레(蟲部)] 천산갑(穿山甲) 335
[짐승(獸部)] 필두회(筆頭灰, 오래된 붓끝을 태운 재) 336
[잡방(雜方)] 신국을 만드는 방법[造神麴法] 340
[새(禽部)] 호작(蒿雀, 촉새) 340
[벌레(蟲部)] 활사(活師, 올챙이) 340
[변증(辨證)] 5가지 맛을 꺼릴 것[五味所禁] 341
[잡방(雜方)] 육향고(六香膏) 341
[천지운기(天地運氣)] 진술년[辰戌之歲]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