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레(蟲部)

의어(衣魚, 옷좀)

한닥터 2011.11.03 조회 수 406 추천 수 0
◈ 衣魚 ○ 반대좀性溫味?無毒(一云有毒)主婦人疝?小便不利小兒中風項强療淋利小便墮胎滅瘡瘢 ○ 一名壁魚衣中有之然多在書卷中或久不動帛中身有厚粉而手?之則落其形稍似魚故曰衣魚採無時[本草]

☞ 의어(衣魚, 옷좀) ○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짜며[?] 독이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부인의 산가(疝?)와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 어린이가 중풍으로 목이 뻣뻣해진 것, 임병을 치료하는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그리고 유산하게 하며 헌데의 흠집을 없앤다. ○ 일명 벽어(壁魚)라고도 하는데 옷 속에 많다. 그리고 책 가운데나 오랫동안 둬두었던 비단 속에도 많다. 몸뚱이에는 가루가 두텁게 있는데 손으로 만지면 떨어진다. 생김새가 마치 물고기와 비슷하기 때문에 의어라고도 한다. 아무 때나 잡아서 쓴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갓난아이의 구급법[小兒初生救急] 419
[벌레(蟲部)] 연상라(緣桑螺) 419
[한(寒)] 상한병이 나으려고 하는 것[傷寒欲解] 418
[한(寒)] 맥이 세게 뛰지 않으면 설사시키지 못한다[脈不鼓擊不可下] 418
[짐승(獸部)] 미후(??, 잔나비) 미후두골(??頭骨) 418
[벌레(蟲部)] 하마(蝦?) 418
[눈(眼)] 검경정통(瞼硬睛痛) 417
[천지운기(天地運氣)] 1년 중의 5운[歲中五運] 417
[하(下)] 설사[下] 417
[부인(婦人)] 해산 후의 구역[産後嘔逆] 417
[소아(小兒)] 냉감(冷疳) 417
[소아(小兒)] 체이(滯?) 417
[풀(草部)] 석위(石韋) 와위(瓦韋) 416
[잡방(雜方)] 운모고(雲母膏) 416
[부인(婦人)] 해산할 때와 태반을 버리는 데 좋은 방향[安産藏胎衣吉方] 416
[침구(針灸)] 몸조리하는 방법[調養法] 415
[심병(審病)] 갓 생긴 병인가 오래된 병인가를 알아내는 법[占新久病] 415
[진맥(診脈)] 이경맥(離經脈) 415
[제창(諸瘡)] 침음창(浸淫瘡) 415
[소아(小兒)] 젖을 떼는 법[斷乳] 415
[탕액서례(湯液序例)] 열증약은 뜨며 자라게 한다[熱浮長] 415
[과실(果部)] 내자(柰子) 415
[풀(草部)] 목단(牧丹, 모란뿌리) 414
[눈(眼)] 신수동통(神祟疼痛) 414
[맥(脈)] 6부(六腑)의 맥(脈) 414
[맥(脈)] 침뜸치료[鍼灸法]/맥 414
[천지운기(天地運氣)] 6병년(六丙年)은 만연(漫衍)의 해[六丙年漫衍之紀] 414
[제창(諸瘡)] 주피추창(走皮#瘡) 414
[잡방(雜方)] 산우죽(山芋粥) 414
[소아(小兒)] 구슬에 물이 실릴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起脹時吉凶證]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