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실(果部)

연실(蓮實, 연밥) 우즙(藕汁, 연근을 짜낸 물) 하엽(荷葉, 연잎) 연화(蓮花, 연꽃) 연의(蓮薏, 연실의 심)

한닥터 2011.11.03 조회 수 775 추천 수 0
◈ 蓮實 ○ 년밤性平寒味甘無毒養氣力除百疾補五藏止渴止痢益神安心多食令人喜[本草] ○ 補十二經氣血[入門] ○ 一名水芝丹一名瑞蓮亦謂之藕實其皮黑而沈水者謂之石蓮入水必沈惟煎?鹵能浮之處處有之生池澤中八月九月取堅黑者用生則脹人腹中蒸食之良[本草] ○ 其葉爲荷其莖爲茄其本爲?其花未發爲??已發爲芙蓉其實爲蓮其根爲藕其中爲的的中有靑長二分爲薏味苦者是也芙?其總名也[本草] ○ 凡用白蓮爲佳[日用]

☞ 연실(蓮實, 연밥) ○ 성질은 평(平)하고 차며[寒] 맛이 달고[甘] 독이 없다. 기력을 도와 온갖 병을 낫게 하며 5장을 보하고 갈증과 이질을 멈춘다. 또한 정신을 좋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며 많이 먹으면 몸이 좋아진다[본초]. ○ 12경맥의 기혈을 보한다[입문]. ○ 일명 수지단(水芝丹) 또는 서련(瑞蓮) 또는 우실(藕實)이라고도 한다. 그 껍질은 검고 물에 가라앉는데 이것을 석련(石蓮)이라고 한다. 물에 넣으면 반드시 가라앉지만 소금을 넣고 달이면 뜬다. 연밥은 어느 곳에나 있으며 못에서 자란다. 음력 8-9월에 검고 딴딴한 것을 따서 쓴다. 생것으로 쓰면 배가 불러 오르기 때문에 쪄서 먹는 것이 좋다[본초]. ○ 그 잎은 '하(荷)'라고 하고 줄기는 '가(茄)'라 하며 밑그루는 '밀(?)'이라 하고 피지 않은 꽃봉오리는 '함담(??)'이라 하며 꽃이 핀 것은 '부용(芙蓉)'이라고 하고 열매는 '연(蓮)'이라고 하며 뿌리는 '우(藕)'라 한다. 연밥 가운데를 '적(的)'이라 하는데 이 적 가운데는 길이가 2푼쯤 되는 푸른 심이 있다. 이것을 '의(薏)'라고 하는데 맛이 쓰다. 부거(芙?)라고 하는 것은 통틀어서 이르는 말이다[본초]. ○ 대체로 흰 연밥을 쓰는 것이 좋다[일용]. 


◈ 藕汁 ○ 性溫味甘無毒藕者蓮根也止吐血消瘀血生食主?亂後虛渴蒸食甚補五藏實下焦與蜜同食令人腹藏肥不生諸? ○ 除煩止泄解酒毒壓食及病後熱渴 ○ 節性冷解熱毒消瘀血 ○ 昔宋太官誤削藕皮落羊血中其&音坎)不成乃知藕能散血也[本草]0

☞ 우즙(藕汁, 연근을 짜낸 물) ○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우(藕)란 것은 연뿌리이다. 토혈을 멎게 하고 어혈을 삭힌다. 생것을 먹으면 곽란 후 허해서 나는 갈증을 멎게 하고 쪄서 먹으면 5장을 아주 잘 보하며 하초를 든든하게 한다. 연뿌리와 꿀을 함께 먹으면 배에 살이 오르고 여러 가지 충병이 생기지 않는다. ○ 답답한 것을 없애고 설사를 멎게 하며 술독을 풀어 주고 끼니 뒤나 병을 앓고 난 뒤에 열이 나면서 나는 갈증을 멎게 한다. ○ 연뿌리마디는 성질이 차므로[冷] 열독을 풀며 어혈을 삭힌다. ○ 옛날 송나라의 고관이 연뿌리의 껍질을 벗기다가 실수하여 양의 피를 받아 놓은 그릇에 떨어뜨렸는데 그 피가 엉키지 않았다. 이것으로써 연뿌리가 어혈을 헤칠[散]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본초]. 


◈ 荷葉 ○ 止渴落胞殺?毒主血脹腹痛 ○ 荷鼻性平味苦無毒主血痢安胎去惡血卽荷葉?也謂之荷鼻[本草]

☞ 하엽(荷葉, 연잎) ○ 갈증을 멎게 하고 태반을 나오게 하며 버섯중독[?毒]을 풀어 주고 혈창(血脹)으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 하비(荷鼻)는 성질이 평(平)하고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 혈리(血痢)를 치료하고 안태시키며 궂은 피[惡血]를 없앤다. 하비는 즉 연잎의 꼭지이다[본초]. 


◈ 蓮花 ○ 性煖無毒鎭心輕身駐顔入香甚妙 ○ 一名佛座鬚卽蓮花蘂也[正傳] ○ 蓮花蘂澁精氣[入門]

☞ 연화(蓮花, 연꽃) ○ 성질이 따뜻하고[煖] 독이 없다. 마음을 안정시키고 몸을 가볍게 하며 얼굴을 늙지 않게 한다. 향료에 넣어 쓰면 매우 좋다. ○ 일명 불좌수(佛座鬚)인데 즉 연화예(蓮花蘂, 연꽃꽃술)이다[정전]. ○ 연화예는 저절로 나오는 정액을 멎게 한다[입문]. 


◈ 蓮薏 ○ 的中有靑爲薏味甚苦食之令人?亂[本草] ○ 薏蓮心也治心熱及血疾作渴幷暑月?亂[局方]

☞ 연의(蓮薏, 연실의 심) ○ 적(的) 가운데에 있는 푸른 것을 의(薏)라고 하는데 맛이 몹시 쓰다[甚苦]. 먹으면 곽란이 생긴다[본초]. ○ 의는 연심(蓮心)이다. 심열(心熱)과 혈병으로 나는 갈증과 여름철에 생기는 곽란을 치료한다[국방]. 
관련된 글
  1. 명의방론 맑고 향기롭게, 하엽(荷葉)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연실(練實, 고련실, 멀구슬나무열매) 연근(練根, 고련근) by 한닥터
  3. 본초정리 연실(蓮實, 연밥) 연자(蓮子, 연밥) 연자육(蓮子肉, 연밥) by 한닥터
  4. 동의보감 단방정리 하엽(荷葉, 연잎)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꿈(夢)] 정신이 꿈이 된다[魂魄爲夢] 1000
[귀(耳)] 귀가 가려운 것[耳痒] 1000
[부인(婦人)] 해산 후의 자궁탈출이 된 것[産後陰脫] 1000
[꿈(夢)] 사람을 싫어하고 혼자 있으려 하는 것[惡人欲獨處] 1001
[입과 혀(口舌)] 중설(重舌) 1001
[곡식(穀部)] 교맥(蕎麥, 메밀) 교맥면(蕎麥麵, 메밀가루) 교맥엽(蕎麥葉, 메밀잎) 교맥양(蕎麥穰, 메밀대) 1001
[목소리(聲音)] 목소리가 변한 데 두루 쓰는 약[通治聲音藥] 1002
[화(火)] 화는 상초화, 중초화, 하초화 등의 차이가 있다[火有上中下三焦之異] 1002
[오줌(小便)] 열림(熱淋) 1003
[가슴(胸)] 냉심통(冷心痛) 1003
[가슴(胸)] 열심통(熱心痛) 1003
[한(寒)] 상한양독(傷寒陽毒) 1004
[대변(大便)] 이질 때 배가 아픈 것[痢疾腹痛] 1005
[침구(針灸)] 별혈(別穴, 경외기혈) 1006
[대변(大便)] 허리(虛痢) 1006
[적취(積聚)] 정기를 보하면 적은 저절로 없어진다[養正積自除] 1006
[신(神)] 크게 설사시켜 광증을 낫게 한다[大下愈狂] 1007
[한(寒)] 양명병에 꺼릴 것[陽明病禁忌] 1007
[부인(婦人)] 죽은 태아를 나오게 하는 법[下死胎] 1007
[토[吐]] 토하게 하는 약[吐藥] 1010
[화(火)] 허번(虛煩) 1012
[허로(虛勞)] 주하병(注夏病) 1012
[기(氣)] 기(氣)는 호흡의 근원이 된다[氣爲呼吸之根] 1013
[전음(前陰)] [陰腫陰痒陰瘡陰冷交接出血] 1013
[허리(腰)] 기로 허리가 아픈 것[氣腰痛] 1014
[전음(前陰)] 음낭이 붓는 것[陰腫] 1014
[곡식(穀部)] 호마(胡麻, 검은참깨 또는 검정참깨) 1014
[이빨(牙齒)] 빠진 이빨을 다시 나오게 하는 방법[落齒重生方] 1015
[습(濕)] 습비(濕痺) 1015
[담부(膽腑)] 담의 위치[膽部位] 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