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실(果部)

대조(大棗, 대추) 생조(生棗, 생대추) 핵중인(核中仁, 대추씨) 조엽(棗葉, 대추나무잎)

한닥터 2011.11.03 조회 수 778 추천 수 0
◈ 大棗 ○ 대츄性平(一云溫)味甘無毒安中養脾補五藏助十二經?補津液通九竅强志和百藥 ○ 一名乾棗處處有之八月採暴乾 ○ 其皮裏肉補虛所以合湯皆擘之也[本草] ○ 味甘補經不足以緩陰血血緩則?生故能助十二經?[入門]

☞ 대조(大棗, 대추) ○ 성질은 평(平)하고(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속을 편안하게 하고 비(脾)를 영양하며 5장을 보하고 12경맥을 도와주며 진액(津液)을 補하고 9규[竅]를 통하게 한다. 의지를 강하게 하고 여러 가지 약을 조화시킨다. ○ 일명 건조(乾棗)라고 하는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음력 8월에 따서 볕에 말린다. ○ 대추살은 허한 것을 보하기 때문에 달임약에는 모두 쪼개 넣어야 한다[본초]. ○ 단맛으로 부족한 경락을 보하여 음혈을 완화시킨다. 혈이 완화되면 경맥이 살아나기 때문에 12경맥을 도울 수 있다[입문]. 


◈ 生棗 ○ 味甘辛多食令人腹脹羸瘦生寒熱 ○ 蒸煮食則補腸胃肥中益氣生食則腹脹注泄[本草]

☞ 생조(生棗, 생대추) ○ 맛은 달고[甘] 맵다[辛]. 많이 먹으면 배가 불러 오르고 여위며 추웠다 열이 났다 한다. ○ 생대추를 쪄서 먹으면 장위를 보하고 살찌게 하며 기를 돕는다. 생것을 먹으면 배가 불러 오르고 설사한다[본초]. 


◈ 核中仁 ○ 三歲陳核中仁燔之主腹痛邪氣??[本草]

☞ 핵중인(核中仁, 대추씨) ○ 3년 묵은 씨 가운데 있는 알을 구워서 복통(腹痛)과 사기(邪氣), 시주(尸?), 객오(客?) 등에 쓴다[본초]. 


◈ 棗葉 ○ 爲末服使人瘦取汁?熱?瘡良[本草]

☞ 조엽(棗葉, 대추나무잎) ○ 가루내어 먹으면 사람이 여위게 된다. 즙을 내어 땀띠에 문지르면 좋다[본초]. 
관련된 글
  1. 회원임상례 등업용) 상지신경통 by 하녹 *1
  2. 약재 정보 대추(대조) by 한닥터
  3. 약재 정보 Fructus Zizyphi 대추 by 한닥터
  4. 경혈사전 대추(大椎, 1개 혈) by 한닥터
  5. 본초정리 대조(大棗, 대추)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목소리(聲音)] 단방(單方)/목소리 782
[대변(大便)] 침뜸치료[鍼灸法]/대변 782
[허로(虛勞)] 음이 허하여 갑자기 기절한 것을 치료하는 법[陰虛暴絶治法] 782
[부종(浮腫)] 결양증(結陽證) 782
[온역(瘟疫)] 온역예방법[ 瘟疫豫防法] 782
[소아(小兒)]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이는 증에는 5가지가 있다[驚?之證有五] 782
[얼굴(面)] 두드리기[按摩法] 781
[귀(耳)] 귀[耳]는 신(腎)과 관련된 구멍[竅]이다[耳者腎之竅] 781
[한(寒)] 소음병 때에 복기(伏氣)로 목구멍이 아픈 것[少陰病伏氣咽痛] 781
[제상(諸傷)] 여러 가지 짐승한테 상한 것[諸獸傷] 781
[잡방(雜方)] 음식을 먹지않아도 배가 고프지 않게 하는 약[斷穀不飢藥] 781
[폐장(肺臟)] 폐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肺病間甚] 780
[잡방(雜方)] 경분을 만드는 방법[造輕粉法] 780
[기(氣)] 6자기결㈜(六字氣訣) 779
[대변(大便)] 이질 때 두루 쓰는 약[痢疾通治藥] 779
[머리(頭)] 머리의 병이 밖으로 나타나는 증후[頭病外候] 779
[용약(用藥)] 풍증, 열증, 조증, 습증, 한증을 치료하는 방법[風熱燥濕寒治法] 779
[허로(虛勞)] 단방(單方) 779
[제창(諸瘡)] 탕화상[湯火瘡] 779
[신(神)] 신병에 치료하지 못하는 증[神病不治證] 778
[대변(大便)] 풍리(風痢) 778
[이빨(牙齒)] 치뉵(齒?) 778
[목구멍(咽喉)] 후비로 목이 쉰 것[喉痺失音] 778
[과실(果部)] 대조(大棗, 대추) 생조(生棗, 생대추) 핵중인(核中仁, 대추씨) 조엽(棗葉, 대추나무잎) 778
[입과 혀(口舌)] 입 안과 혀가 헌 것을 겉으로 치료하는 방법[口舌瘡外治法] 777
[발(足)] 위증의 원인[?病之因] 777
[새(禽部)] 안방(雁肪, 기러기기름) 777
[짐승(獸部)] 우황(牛黃) 우육(牛肉, 쇠고기) 우각시(牛角?) 777
[진액(津液)] 단방(單方)/진액 776
[한(寒)] 상한부(傷寒賦) 7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