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실(果部)

용안(龍眼) 용안핵(龍眼核, 용안씨)

한닥터 2011.11.04 조회 수 499 추천 수 0
◈ 龍眼 ○ 性平味甘無毒主五藏邪氣安志除蠱毒去三? ○ 其味歸脾而能益志 ○ 生西南與?枝同似檳?而小肉薄於?枝甘美堪食[本草] ○ 形如龍之眼故謂之龍眼[入門] ○ 一名圓眼一名益智生食不及?枝故曰?枝奴[食物]

☞ 용안(龍眼) ○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5장의 사기를 없애고 마음을 안정하게 하며 고독을 없애고 3충을 죽인다. ○ 그 맛이 비(脾)에 들어가 의지를 강하게 한다. ○ 서남 지방에서 나며 예지와 같고 빈랑과는 비슷하나 작다. 살이 예지보다 엷으며 맛이 달아 먹을 만하다[본초]. ○ 생김새가 용의 눈알과 비슷하다고 하여 용안이라고 하였다[입문]. ○ 일명 원안(圓眼) 또는 익지(益智)라고도 하며 생것으로 먹으면 예지만 못하기 때문에 예지노(?枝奴)라고 한다[식물]. 

◈ 核 ○ 燒烟熏鼻治流涕不止[入門]

☞ 용안핵(龍眼核, 용안씨) ○ 이 씨를 태우면서 코에 연기를 쏘이면 계속 콧물이 흐르던 것이 멎는다[입문]. 
관련된 글
  1. 본초정리 용안육 ,용안(龍眼) 용안핵(龍眼核, 용안씨)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새(禽部)] 목방(鶩肪, 집오리 기름) 698
[새(禽部)] 야압육(野鴨肉, 들오리고기) 652
[새(禽部)] 안방(雁肪, 기러기기름) 777
[새(禽部)] 작육(雀肉, 참새고기) 674
[새(禽部)] 연시(燕屎, 제비똥) 호연란(胡燕卵) 호연육(胡燕肉) 월연시(越燕屎) 803
[새(禽部)] 복익(伏翼, 박쥐) 533
[새(禽部)] 응시백(鷹屎白, 매똥) 616
[새(禽部)] 치육(雉肉, 꿩고기) 625
[새(禽部)] 치두(?頭, 소리개대가리) 628
[새(禽部)] 오아(烏鴉, 까마귀) 610
[새(禽部)] 자아(慈鴉, 갈까마귀) 555
[새(禽部)] 웅작육(雄鵲肉, 수까치고기) 862
[새(禽部)] 연작(練鵲, 대까치) 552
[새(禽部)] 반초(斑?, 메비둘기) 469
[새(禽部)] 백합(白?, 흰 비둘기) 503
[새(禽部)] 발합(?? 흰묏비둘기) 532
[새(禽部)] 순육(?肉, 메추리 고기) 714
[새(禽部)] 계칙(??, 비오리) 577
[새(禽部)] 원앙(鴛鴦) 485
[새(禽部)] 촉옥(??) 525
[새(禽部)] 휼육(鷸肉, 도요새고기) 442
[새(禽部)] 탁목조(啄木鳥, 딱따구리) 516
[새(禽部)] 백학(白鶴, 두루미) 303
[새(禽部)] 천아육(天鵝肉, 고니고기) 437
[새(禽部)] 관골(?骨, 황새뼈) 354
[새(禽部)] 노자시(盧?屎 가마우디) 459
[새(禽部)] 어구(魚狗) 303
[새(禽部)] 구욕(??) 380
[새(禽部)] 박로(搏勞) 310
[새(禽部)] 제고취(??嘴)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