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실(果部)

임금(林檎, 능금) 동행근(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능금나무뿌리)

한닥터 2011.11.04 조회 수 576 추천 수 0
◈ 林檎 ○ 님금性溫味酸甘無毒止消渴治?亂?痛消痰止痢 ○ 其樹似柰樹實形圓如柰六月七月熟或謂之來禽處處有之味苦澁不可多食閉百?令人好睡發痰生瘡癤 ○ 半熟者味苦澁故入藥治病爛熟則無味矣[本草]

☞ 임금(林檎, 능금) ○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이 시고[酸] 달며[甘] 독이 없다. 소갈증을 멎게 하고 곽란으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하며 담을 삭히고 이질을 멎게 한다. ○ 나무는 사과나무(柰樹)와 비슷한데 열매는 둥글면서 사과(柰)와 같다. 음력 6-7월에 익는데 내금(來禽)이라고도 한다. 어느 곳에나 다 있다. 맛은 쓰고 떫으므로[苦澁]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많이 먹으면 모든 맥이 통하지 않게 되고 잠이 많으며 담과 창절(瘡癤)이 생긴다. ○ 반쯤 익은 것은 맛이 쓰고 떫기 때문에[苦澁] 약에 넣어 쓴다. 물렁물렁하게 익은 것은 맛이 없다[본초]. 

◈ 東行根 ○ 治??及寸白?[本草]

☞ 동행근(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능금나무뿌리) ○ 회충과 촌백충을 없앤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머리털이 나지 않고 이가 나오지 않는 것[髮不生齒不生] 580
[곡식(穀部)] 이당(飴糖, 엿) 580
[과실(果部)] 무화과(無花果) 580
[채소(菜部)] 현실(?實, 비름씨) 580
[가슴(胸)] 여러 가지 통증에는 보기약(補氣藥)을 쓰지 말아야 한다[諸痛不可用補氣藥] 579
[심병(審病)] 명당의 빛을 보는 방법[明堂察色] 579
[학질(?疾)] 맥 보는 법[脈法] 579
[괴질(怪疾)] 괴상한 병[怪疾] ○ 26가지가 있다. 579
[부인(婦人)] 맥 보는 법[脈法] 579
[물고기(魚部)] 청어(靑魚) 579
[머리(頭)] 침뜸치료[鍼灸法]/머리 578
[가슴(胸)] 맥 보는 법[脈法]/가슴 578
[학질(?疾)] 치료하기 어려운 것과 치료할 수 없는 증[難治不治證] 578
[소아(小兒)] 눈을 보호하는 것[護眼] 578
[눈(眼)] 빙예(氷翳) 577
[눈(眼)] 간허작목(肝虛雀目) 577
[옆구리(脇)] 비기증(肥氣證) 577
[적취(積聚)] 단방(單方) 577
[소갈(消渴)] 소갈은 각기와 서로 반대이다[消渴與脚氣相反] 577
[옹저(癰疽)] 정창의 근을 빼내는 방법[拔?法] 577
[새(禽部)] 계칙(??, 비오리) 577
[눈(眼)] 수곽(水廓) 576
[소아(小兒)] 5연과 5경[五軟五硬] 576
[소아(小兒)]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貫膿三朝] 576
[인부(人部)] 신생소아제(新生小兒臍) 576
[과실(果部)] 임금(林檎, 능금) 동행근(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능금나무뿌리) 576
[채소(菜部)] 호유(胡?, 고수) 호유자(胡?子, 고수씨) 576
[침구(針灸)] 6개 경맥의 표와 본[六經標本] 575
[젖(乳)] 단방(單方)/젖 575
[심병(審病)] 음과 양에서 병이 생긴다[陰陽生病] 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