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실(果部)

산사자(山?子, 찔광이)

한닥터 2011.11.04 조회 수 643 추천 수 0
◈ 山?子 ○ 아가외消食積化宿滯行結氣消積塊痰塊血塊健脾開膈療痢疾兼催瘡痛 ○ 一名棠毬子山中處處皆有之生靑熟紅其半熟而酸澁者入藥陳久者良水洗蒸軟去核?乾用[入門]

☞ 산사자(山?子, 찔광이) ○ 식적(食積)을 삭히고 오랜 체기를 풀어 주며 기가 몰린 것을 잘 돌아가게 하고 적괴(積塊), 담괴(痰塊), 혈괴(血塊)를 삭히고 비(脾)를 든든하게 하며 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이질을 치료하며 종창을 빨리 곪게 한다. ○ 일명 당구자(棠毬子)라고도 하며 산속 어느 곳에나 다 있다. 선 것은 푸르고 익으면 붉어진다. 절반쯤 익어서 시고 떫은 것[酸澁]을 약재로 쓴다. 오랫동안 묵은 것이 좋다. 물에 씻은 다음 잘 쪄서 씨를 버리고 햇볕에 말려 쓴다[입문]. 
관련된 글
  1. 본초정리 산사,산사자(山査子, 찔광이)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폐장(肺臟)] 폐장이 크고 작은 것[肺臟大小] 643
[목구멍(咽喉)] 인후병에서 치료할 수 없는 증[咽喉不治證] 643
[가슴(胸)] 심통에는 또 6가지가 있다[心痛亦有六] 643
[손(手)] 열손가락에 감각이 둔해진 것[十指麻木] 643
[후음(後陰)] 치질을 치료하는 방법[痔病治法] 643
[풍(風)] 중풍은 크게 4가지로 나눈다[中風大法有四] 643
[옹저(癰疽)] 정저를 치료하는 방법[?疽治法] 643
[과실(果部)] 산사자(山?子, 찔광이) 643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이 작고 큰 것이 있다[五臟有小大] 642
[머리(頭)] 맥 보는 법[脈法]/머리 642
[이빨(牙齒)] 이빨이 점차 자라는 것[牙齒漸長] 642
[이빨(牙齒)] 이빨을 가는 것[?齒] 642
[손(手)] 침뜸치료[鍼灸法]/팔 642
[채소(菜部)] 번루(?蔞) 642
[대변(大便)] 수곡리 641
[학질(?疾)] 학질을 치료할 때에는 반드시 음과 양이 갈라지게 하는 약을 써야 한다[治?須用分陰陽之藥] 641
[해독(解毒)] 고독 때 토하게 하는 약[吐蠱藥] 641
[언어(言語)] 침뜸치료[鍼灸法]/언어 640
[방광부(膀胱腑)] 단방(單方)/방광부 640
[눈(眼)] 황막상충(黃膜上衝) 640
[눈(眼)] 멀리 보지 못하는 것과 가까이 보지 못하는 것[不能遠視不能近視] 640
[후음(後陰)] 혈치(血痔) 640
[한(寒)] 땀을 내야 할 증과 땀을 내서는 안될 증[可汗不可汗證] 640
[기침(咳嗽)] 기침, 천식, 딸꾹질 때 치료하기 어려운 증[嗽喘咳逆不治證] 639
[괴질(怪疾)] 몸에서 물소리가 나는 것[遍身波浪聲] 639
[침구(針灸)] 침혈을 잡는 법[點穴法] 638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기가 끊어진 증후[膀胱絶候] 638
[맥(脈)] 12경맥(十二經脈) 638
[물고기(魚部)] 여어(?魚, 가물치) 638
[오줌(小便)] 소변이 많고 적은 것[小便多寡] 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