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菜部)

우엽(芋葉, 토란잎) 우자(芋子, 토란)

한닥터 2011.11.04 조회 수 731 추천 수 0
◈ 芋子 ○ 토란性平(一云冷)味辛有毒寬腸胃充肌膚滑中破宿血去死肌 ○ 一名土芝處處有之生則有毒簽不可食性滑熟則無毒甚補益和?魚作羹尤良[本草] ○ 園圃中種者可食野芋有毒不堪啖當中出苗者爲芋頭四面附芋頭而生者爲芋子[本草] ○ 今人呼爲土蓮[俗方]

☞ 우자(芋子, 토란) ○ 성질이 평(平)하고(차다[冷]고도 한다) 맛이 매우며[辛] 독이 있다. 장위(腸胃)를 잘 통하게 하고 살과 피부를 든든하게 하며 중초를 잘 통하게 하고 궂은 피를 헤치며 궂은 살을 없앤다. ○ 일명 토지(土芝)라고도 하는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생것은 독이 있기 때문에 목이 알알하여 먹을 수 없다. 성질이 미끄럽다. 익히면 독이 없어지고 세게 보한다. 붕어와 같이 국을 끓여 먹으면 더 좋다[본초]. ○ 밭에 심은 것은 먹을 수 있으나 들에 저절로 난 것은 독이 있기 때문에 먹지 말아야 한다. 가운데 돋아난 싹을 우두(芋頭)라고 하고 우두의 둘레에 붙어서 난 것을 토란이라고 한다[본초]. ○ 요즘 사람들은 토련(土蓮)이라고 한다[속방]. 

◈ 葉 ○ 性冷無毒除煩止瀉療姙婦胎動心煩[本草]

☞ 우엽(芋葉, 토란잎) ○ 성질이 차고[冷] 독이 없다. 답답한 것을 없애고 설사를 멎게 하며 임신부가 태동으로 속이 답답한 것을 치료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피부(皮)] 단독(丹毒)/피부 1186
[간장(肝臟)] 간병의 허증과 실증[肝病虛實] 1190
[학질(?疾)] 학질은 낮에 발작하는 것과 밤에 발작하는 것을 반드시 갈라서 치료해야 한다[?晝發夜發宜分治] 1191
[신장(腎臟)] 신장이 상한 증상[腎傷證] 1192
[젖(乳)] 젖멍울[結核]이 오래되면 유암이 된다[結核久成於?巖] 1192
[화(火)] 하초열(下焦熱) 1193
[짐승(獸部)] 녹용(鹿茸) 녹각(鹿角) 녹골(鹿骨) 녹수(鹿髓) 녹혈(鹿血) 녹육(鹿肉) 1193
[피부(皮)] 색택증(索澤證) 1194
[부종(浮腫)] 부종치료에 두루 쓰는 약[浮腫通治藥] 1198
[신형(身形)] 계절에 맞춰 사는 법[四時節宣] 1199
[소아(小兒)] 신은 허한 것을 주관한다[腎主虛] 1201
[허리(腰)] 습열로 허리가 아픈 것[濕熱腰痛] 1202
[옆구리(脇)] 기울로 옆구리가 아픈 것[氣鬱脇痛] 1 1202
[코(鼻)] 코가 메는 것[鼻塞] 1204
[포(胞)] 혈고(血枯) 1205
[풍(風)] 조섭하여 치료하거나 예방하여야 한다[調治預防] 1205
[혈(血)] 혈(血)은 영(榮)이 된다[血爲榮] 1206
[입과 혀(口舌)] 혓바늘이 돋는 것[舌生芒刺] 1207
[꿈(夢)] 마음이 들떠서 잠을 자지 못하는 것[魂離不睡] 1209
[풍(風)] 중풍 때에는 기를 고르게 하는 것이 좋다[中風宜調氣] 1209
[오줌(小便)] 기림(氣淋) 1210
[허로(虛勞)] 허로병의 원인[虛勞病源] 1210
[담음(痰飮)] 담음(痰飮) 1211
[전음(前陰)] 음경과 음낭이 찬 것[陰冷] 1212
[가슴(胸)] 식적으로 생긴 위완통[食積胃脘痛] 1214
[기(氣)] 9기(九氣) 1216
[배(腹)] 뱃속이 끓는 것[腹中鳴] 1216
[이빨(牙齒)] 열로 이빨이 아픈 것[熱痛] 1217
[풀(草部)] 독활(獨活, 따두릅) 1221
[목소리(聲音)] 목 쉰 소리[聲嘶] 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