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菜部)

우엽(芋葉, 토란잎) 우자(芋子, 토란)

한닥터 2011.11.04 조회 수 731 추천 수 0
◈ 芋子 ○ 토란性平(一云冷)味辛有毒寬腸胃充肌膚滑中破宿血去死肌 ○ 一名土芝處處有之生則有毒簽不可食性滑熟則無毒甚補益和?魚作羹尤良[本草] ○ 園圃中種者可食野芋有毒不堪啖當中出苗者爲芋頭四面附芋頭而生者爲芋子[本草] ○ 今人呼爲土蓮[俗方]

☞ 우자(芋子, 토란) ○ 성질이 평(平)하고(차다[冷]고도 한다) 맛이 매우며[辛] 독이 있다. 장위(腸胃)를 잘 통하게 하고 살과 피부를 든든하게 하며 중초를 잘 통하게 하고 궂은 피를 헤치며 궂은 살을 없앤다. ○ 일명 토지(土芝)라고도 하는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생것은 독이 있기 때문에 목이 알알하여 먹을 수 없다. 성질이 미끄럽다. 익히면 독이 없어지고 세게 보한다. 붕어와 같이 국을 끓여 먹으면 더 좋다[본초]. ○ 밭에 심은 것은 먹을 수 있으나 들에 저절로 난 것은 독이 있기 때문에 먹지 말아야 한다. 가운데 돋아난 싹을 우두(芋頭)라고 하고 우두의 둘레에 붙어서 난 것을 토란이라고 한다[본초]. ○ 요즘 사람들은 토련(土蓮)이라고 한다[속방]. 

◈ 葉 ○ 性冷無毒除煩止瀉療姙婦胎動心煩[本草]

☞ 우엽(芋葉, 토란잎) ○ 성질이 차고[冷] 독이 없다. 답답한 것을 없애고 설사를 멎게 하며 임신부가 태동으로 속이 답답한 것을 치료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족태음비경의 순행[足太陰脾經流注] 405
[침구(針灸)] 수소음심경의 순행[手少陰心經流注] 420
[침구(針灸)] 수태양소장경의 순행[手太陽小腸經流注] 549
[침구(針灸)] 족태양방광경의 순행[足太陽膀胱經流注] 611
[침구(針灸)] 족소음소경의 순행[足少陰腎經流注] 508
[침구(針灸)] 수궐음심포경의 순행[手厥陰心包經流注] 447
[침구(針灸)] 수소양삼초경의 순행[手少陽三焦經流注] 459
[침구(針灸)] 족소양담경의 순행[足少陽膽經流注] 419
[침구(針灸)] 족궐음간경의 순행[足厥陰肝經流注] 558
[침구(針灸)] 독맥의 순행과 침혈[督脈流注及孔穴] 332
[침구(針灸)] 임맥의 순행과 침혈[任脈流注及孔穴] 393
[침구(針灸)] 15락에 생긴 소생병[十五絡所生病] 445
[침구(針灸)] 경맥의 병에는 시동병과 소생병이 있다는 데 대하여[脈病有是動有所生病] 707
[침구(針灸)] 맥에는 경맥, 낙맥, 손락맥이 있다[脈有經脈絡脈孫絡脈] 732
[침구(針灸)] 12경맥의 혈과 기가 많고 적은 것[十二經血氣多少] 278
[침구(針灸)] 12경맥의 순행과 분포되어 있는 부분[十二經行度部分] 327
[침구(針灸)] 기가 돌아가는 길[氣行有街] 296
[침구(針灸)] 거자법, 무자법, 산자법으로 침놓는 방법[鍼法有巨刺繆刺散刺] 906
[침구(針灸)] 기경8맥(奇經八脈) 1234
[침구(針灸)] 자오8법(子午八法) 293
[침구(針灸)] 자오류주(子午流注) 373
[침구(針灸)] 오장육부소속오수오행五臟六腑所屬五?五行 368
[침구(針灸)] 5수혈과 음양의 배합[五?陰陽配合] 327
[침구(針灸)] 5수혈이 주관하는 병[五?主病] 356
[침구(針灸)] 4계절에 따라 5수혈에 침놓는 방법[五?鍼隨四時] 307
[침구(針灸)] 정합의 의의[井合有義] 283
[침구(針灸)] 12개의 원혈을 써서 5장6부의 병을 치료하는 방법[五臟六腑有疾當取十二原] 707
[침구(針灸)] 장부의 중요한 침혈[臟腑要穴] 396
[침구(針灸)] 6개의 합혈이 나드는 곳[六合所出所入] 466
[침구(針灸)] 족3초의 별맥[足三焦別脈]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