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菜部)

홍촉규(紅蜀葵) 홍촉규엽(紅蜀葵葉, 홍촉규잎) 홍촉규화(紅蜀葵花, 홍촉규꽃) 홍촉규자(紅蜀葵子, 홍촉규씨)

한닥터 2011.11.04 조회 수 479 추천 수 0
◈ 紅蜀葵 ○ 블근?픠?규화性寒味甘無毒根莖?主客熱利小便散膿血惡汁 ○ 四時取紅單葉者根治帶下排膿血惡物極驗 ○ 處處有之以種出戎蜀故謂之蜀葵形似葵花有五色如槿花[本草]

☞ 홍촉규(紅蜀葵) ○ 성질이 차고[寒]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뿌리와 줄기는 다 객열을 내리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피고름[膿血]과 궂은 물[惡汁]을 없앤다. ○ 사철 붉은 꽃이 외첩으로 피는 뿌리를 캐서 쓴다. 대하증을 치료하고 피고름과 궂은 물을 내보내는 데 아주 좋다. ○ 어느 지방에나 다 있다. 융촉 지방에서 심기 때문에 촉규라고 한다. 생김새는 아욱과 비슷하나 5가지 빛이 나는 꽃이 피는 것은 무궁화(槿花)와 비슷하다[본초]. 

◈ 葉 ○ 主金瘡火瘡大小人熱毒痢[本草]

홍촉규엽(紅蜀葵葉, 홍촉규잎) ○ 쇠붙이에 상한 것과 불에 덴 상처를 치료하고 어른이나 어린이의 열독이질[熱毒痢]을 낫게 한다[본초]. 

◈ 花 ○ 有赤白赤者治赤帶白者治白帶赤治血白治氣[本草]

홍촉규화(紅蜀葵花, 홍촉규꽃) ○ 붉은 것과 흰 것이 있는데 붉은 것은 적대하를 치료하고 흰 것은 백대하를 치료한다. 또한 붉은 것은 혈병[血]을 치료하고 흰 것은 기병[氣]을 치료한다[본초]. 

◈ 子 ○ 治淋澁通小腸催生落胎治一切瘡疥瘢疵[本草]

홍촉규자(紅蜀葵子, 홍촉규씨) ○ 임병(淋病)으로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해산을 빨리하게 하며 유산하게 한다. 모든 헌데와 옴, 흠집[瘢疵]을 낫게 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어린이의 계병과 기병[小兒繼病?病] 531
[소아(小兒)] 어린이를 보고 명이 길고 짧은 것을 아는 법[相兒命長短法] 514
[소아(小兒)] 호구 3관의 맥을 보는 법[虎口三關脈法] 548
[소아(小兒)] 어린이의 맥을 보는 법[診小兒脈法] 506
[소아(小兒)] 이마는 심화(心火)에 속하면서 470
[소아(小兒)] 얼굴에 나타나는 빛을 보고 병증을 아는 데 대한 노래[面上形證歌] 444
[소아(小兒)] 5체에서는 머리가 제일이고 얼굴에는 오직 생기가 있어야 한다[五體以頭爲尊一面惟神可恃] 459
[소아(小兒)] 목소리에는 가는 것과 탁한 것이 있고 울 때에도 눈물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聲有輕重啼有乾濕] 461
[소아(小兒)] 갓난아이의 구급법[小兒初生救急] 419
[소아(小兒)] 금구증, 촬구증, 제풍증[?口撮口臍風證] 848
[소아(小兒)] 배꼽이 붓거나 허는 것을 치료하는 법[臍腫臍瘡治法] 720
[소아(小兒)] 객오와 중악[客?中惡] 776
[소아(小兒)] 밤에 우는 증[夜啼] 826
[소아(小兒)] 5장이 주관하는 허증과 실증[五臟所主虛實證] 440
[소아(小兒)] 심은 놀라는 것을 주관한다[心主驚] 705
[소아(小兒)] 간은 풍을 주관한다[肝主風] 1101
[소아(小兒)] 비는 곤한 것을 주관한다[脾主困] 696
[소아(小兒)] 폐는 숨찬 것을 주관한다[肺主喘] 944
[소아(小兒)] 신은 허한 것을 주관한다[腎主虛] 1201
[소아(小兒)] 5장이 서로 억누르는 것[五臟相乘] 423
[소아(小兒)] 경풍증(驚風證) 372
[소아(小兒)] 경풍에 먼저 나타나는 증[驚風先見之證] 462
[소아(小兒)] 경풍에 4증과 8후가 있다[驚有四證八候] 440
[소아(小兒)] 경풍 허실을 구분하고 증상을 역증과 순증으로 가르며 치료는 나중에 할 것과 먼저 할 것이 있다[驚風大抵熱論虛實證別逆順治有後先] 1571
[소아(小兒)]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이는 증에는 5가지가 있다[驚?之證有五] 782
[소아(小兒)] 휵닉, 계종이 경하고 중한 것[????輕重] 622
[소아(小兒)]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일면서 소리를 지르는 것과 지르지 않는 것이 있다[驚?有聲無聲] 389
[소아(小兒)] 경풍으로 경련이 발작할 때에는 꽉 잡아서는 안된다[驚風發?不可把捉] 354
[소아(小兒)] 태경과 간풍[胎驚癎風] 524
[소아(小兒)] 급경풍(急驚風) 8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