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菜部)

숭채(?菜, 배추) 숭채자(?菜子, 배추씨) 숭채제(?菜?, 김칫물)

한닥터 2011.11.04 조회 수 878 추천 수 0
◈ ?菜 ○ ??性平(一云凉)味甘無毒(一云微毒)消食下氣通利腸胃除胸中熱解酒渴止消渴 ○ 菜中有?最爲常食然多食發冷病惟生薑可解[本草]

☞ 숭채(?菜, 배추) ○ 성질이 평(平)하고(서늘하다[凉]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독이 약간 있다고도 한다). 음식을 소화시키고 기를 내리며 장위를 잘 통하게 한다. 또한 가슴 속에 있는 열기를 없애고 술마신 뒤에 생긴 갈증과 소갈증을 멎게 한다. ○ 채소 가운데서 배추를 제일 많이 먹는다. 많이 먹으면 냉병(冷病)이 생기는데 그것은 생강으로 풀어야 한다[본초]. 

◈ 子 ○ 可作油塗頭長髮塗刀劍令不銹[本草]

☞ 숭채자(?菜子, 배추씨) ○ 기름을 짜서 머리에 바르면 머리털이 빨리 자라고 칼에 바르면 녹이 슬지 않는다[본초]. 

◈ ? ○ ?菜?令半乾次早取入?內以熱飯飮浸之三日後則山如醋謂之?水入藥加吐痰涎和五味作湯食益脾胃解酒?毒[入門]

☞ 숭채제(?菜?, 김칫물) ○ 배추를 햇볕에 절반 정도 말리어 다음날 독에 넣고 더운 밥물을 부어서 2-3일 동안 둬두면 초같이 시어진다. 이것을 김칫국물이라고 한다. 약으로 쓰는데 담연을 토하게 한다. 양념을 넣고 끓여서 먹으면 비위(脾胃)가 보해지고 술이나 국수의 독이 풀린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허리(腰)] 접질려서 허리가 아픈 것[挫閃腰痛] 2 1503
[눈(眼)] 투침(偸鍼) 1 1425
[허리(腰)] 신허로 허리가 아픈 것[腎虛腰痛] 1 1960
[적취(積聚)] 6울이 적취, 징가, 현벽의 원인이다[六鬱爲積聚?癖之本] 1 1481
[적취(積聚)] 기울(氣鬱) 1 1165
[부인(婦人)] 과부나 여승의 병은 부부생활을 하는 부인들의 병과는 다르다[寡婦師尼之病異乎妻妾] 1 1695
[풀(草部)] 화(甘菊花, 단국화) 백국화(白菊花, 흰국화) 고의(苦意, 들국화) 1616
[진액(津液)] 음낭 부위에서 땀이 나는 것[陰汗] 1226
[대변(大便)] 습설(濕泄) 1161
[대변(大便)] 서설(暑泄) 1232
[대변(大便)] 비설(脾泄) 1152
[머리(頭)] 두풍증(頭風證) 2530
[머리(頭)] 담궐두통(痰厥頭痛) 1478
[눈(眼)] 외장(外障) 525
[눈(眼)] 간장적열(肝臟積熱) 718
[눈(眼)] 예막(瞖膜) 963
[귀(耳)] 귀가 가려운 것[耳痒] 1001
[머리털(毛髮)] 수염과 머리털이 노랗게 되면서 마르는 것[鬚髮黃落] 1445
[내상(內傷)] 식상 때 소화시키는 약[食傷消導之劑] 1996
[내상(內傷)] 비위가 상하면 음식생각도 없고 입맛도 없다[內傷脾胃則不思食不嗜食] 1993
[내상(內傷)] 탄산과 토산[呑酸吐酸] 1434
[적취(積聚)] 주적(酒積) 1136
[적취(積聚)] 충적(蟲積) 1300
[해독(解毒)] 고독을 치료하는 방법[蠱毒治法] 908
[소아(小兒)] 열감(熱疳) 380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601
[물(水部)] 화수(菊花水, 국화 밑에서 나는 물) 696
[곡식(穀部)] (麴, 누룩) 400
[곡식(穀部)] (神麴, 약누룩) 508
[채소(菜部)] 숭채(?菜, 배추) 숭채자(?菜子, 배추씨) 숭채제(?菜?, 김칫물) 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