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菜部)

서과(西瓜, 수박)

한닥터 2011.11.04 조회 수 695 추천 수 0
◈ 西瓜 ○ 슈박性寒味甘極淡無毒壓煩渴消暑毒寬中下氣利小便治血痢療口瘡[入門] ○ 契丹破回紇得此種以牛糞覆而種之其實圓大如瓠色如靑玉子如金色或赤或黑或黑麻色北地多有之今則流播南北處處皆有之六七月熟[日用] ○ 有一種楊溪瓜秋生冬熟形略長?而大?色?紅味勝西瓜可留至次年夏間或云異人遺種也[食物]

☞ 서과(西瓜, 수박) ○ 성질이 차고[寒] 맛을 달면서[甘] 아주 슴슴하며[極淡] 독이 없다. 번갈과 더위독을 없애고 속을 시원하게 하며 기를 내리고 오줌이 잘 나가게 한다. 혈리(血痢)와 입 안이 헌 것을 치료한다[입문]. ○ 거란(契丹)이 회흘(回紇)을 정복하고 이 종자를 얻어다가 소똥거름을 주고 심었는데 크기가 박만하고 둥그스름한 열매가 열렸다. 그 빛깔은 퍼런 옥 같았고 씨는 금빛이 나는 것과 혹 벌겋거나 검은 것이 있었다. 그리고 혹 검정참깨빛[黑麻色]과 같은 것도 있었다. 이것은 북쪽 지방에 많았는데 요즘은 퍼져서 남북의 곳곳에서 다 심는다. 음력 6-7월에 익는다[일용]. ○ 또 한 가지 종류는 양계(楊溪)라는 것인데 가을에 나서 겨울에 익는다. 생김새는 약간 길쭉하면서 넓적하고 크다. 속빛은 연분홍빛이고 맛은 수박보다 좋다. 다음해 여름까지 둬둘 수 있다. 이 씨는 이인(異人)이 주었다고 한다[식물].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새(禽部)] 안방(雁肪, 기러기기름) 777
[새(禽部)] 작육(雀肉, 참새고기) 674
[새(禽部)] 연시(燕屎, 제비똥) 호연란(胡燕卵) 호연육(胡燕肉) 월연시(越燕屎) 803
[새(禽部)] 복익(伏翼, 박쥐) 533
[새(禽部)] 응시백(鷹屎白, 매똥) 616
[새(禽部)] 치육(雉肉, 꿩고기) 625
[새(禽部)] 치두(?頭, 소리개대가리) 628
[새(禽部)] 오아(烏鴉, 까마귀) 610
[새(禽部)] 자아(慈鴉, 갈까마귀) 555
[새(禽部)] 웅작육(雄鵲肉, 수까치고기) 862
[새(禽部)] 연작(練鵲, 대까치) 552
[새(禽部)] 반초(斑?, 메비둘기) 469
[새(禽部)] 백합(白?, 흰 비둘기) 503
[새(禽部)] 발합(?? 흰묏비둘기) 532
[새(禽部)] 순육(?肉, 메추리 고기) 714
[새(禽部)] 계칙(??, 비오리) 577
[새(禽部)] 원앙(鴛鴦) 485
[새(禽部)] 촉옥(??) 525
[새(禽部)] 휼육(鷸肉, 도요새고기) 442
[새(禽部)] 탁목조(啄木鳥, 딱따구리) 516
[새(禽部)] 백학(白鶴, 두루미) 303
[새(禽部)] 천아육(天鵝肉, 고니고기) 437
[새(禽部)] 관골(?骨, 황새뼈) 354
[새(禽部)] 노자시(盧?屎 가마우디) 459
[새(禽部)] 어구(魚狗) 303
[새(禽部)] 구욕(??) 380
[새(禽部)] 박로(搏勞) 310
[새(禽部)] 제고취(??嘴) 317
[새(禽部)] 교부조(巧婦鳥, 뱁새) 326
[새(禽部)] 호작(蒿雀, 촉새) 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