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菜部)

서과(西瓜, 수박)

한닥터 2011.11.04 조회 수 695 추천 수 0
◈ 西瓜 ○ 슈박性寒味甘極淡無毒壓煩渴消暑毒寬中下氣利小便治血痢療口瘡[入門] ○ 契丹破回紇得此種以牛糞覆而種之其實圓大如瓠色如靑玉子如金色或赤或黑或黑麻色北地多有之今則流播南北處處皆有之六七月熟[日用] ○ 有一種楊溪瓜秋生冬熟形略長?而大?色?紅味勝西瓜可留至次年夏間或云異人遺種也[食物]

☞ 서과(西瓜, 수박) ○ 성질이 차고[寒] 맛을 달면서[甘] 아주 슴슴하며[極淡] 독이 없다. 번갈과 더위독을 없애고 속을 시원하게 하며 기를 내리고 오줌이 잘 나가게 한다. 혈리(血痢)와 입 안이 헌 것을 치료한다[입문]. ○ 거란(契丹)이 회흘(回紇)을 정복하고 이 종자를 얻어다가 소똥거름을 주고 심었는데 크기가 박만하고 둥그스름한 열매가 열렸다. 그 빛깔은 퍼런 옥 같았고 씨는 금빛이 나는 것과 혹 벌겋거나 검은 것이 있었다. 그리고 혹 검정참깨빛[黑麻色]과 같은 것도 있었다. 이것은 북쪽 지방에 많았는데 요즘은 퍼져서 남북의 곳곳에서 다 심는다. 음력 6-7월에 익는다[일용]. ○ 또 한 가지 종류는 양계(楊溪)라는 것인데 가을에 나서 겨울에 익는다. 생김새는 약간 길쭉하면서 넓적하고 크다. 속빛은 연분홍빛이고 맛은 수박보다 좋다. 다음해 여름까지 둬둘 수 있다. 이 씨는 이인(異人)이 주었다고 한다[식물].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채소(菜部)] 구채(?菜, 부추) 844
[채소(菜部)] 해채(?菜, 염교) 1091
[채소(菜部)] 형개(荊芥) 587
[채소(菜部)] 자소(紫蘇, 차조기) 자소자(紫蘇子, 차조기씨) 자소경(紫蘇莖, 차조기 줄기) 552
[채소(菜部)] 향유(香?, 노야기) 479
[채소(菜部)] 박하(薄荷) 785
[채소(菜部)] 가자(茄子, 가지) 445
[채소(菜部)] 수근(水芹, 미나리) 596
[채소(菜部)] 야산(野蒜) 62
[채소(菜部)] 순채(蓴菜) 405
[채소(菜部)] 요실(蓼實, 여뀌씨) 요엽(蓼葉, 여뀌잎) 525
[채소(菜部)] 호유(胡?, 고수) 호유자(胡?子, 고수씨) 576
[채소(菜部)] 나륵(羅勒) 나륵자 492
[채소(菜部)] 임자(荏子, 들깨) 임자엽(荏子葉, 들깨잎) 725
[채소(菜部)] 용규(龍葵) 용규자(龍葵子) 445
[채소(菜部)] 궐채(蕨菜, 고사리) 572
[채소(菜部)] 목숙(??, 거여목) 617
[채소(菜部)] 양하(?荷) 431
[채소(菜部)] 즙채(?菜, 멸) 507
[채소(菜部)] 운대(芸?, 유채) 운대자(芸?子, 유채씨) 731
[채소(菜部)] 군달(??, 근대) 503
[채소(菜部)] 파릉(??, 시금치) 602
[채소(菜部)] 번루(?蔞) 642
[채소(菜部)] 첨호(甛瓠, 단호박) 767
[채소(菜部)] 해대(海帶, 참다시마) 111
[채소(菜部)] 목이(木耳, 나무버섯) 상이(桑耳, 뽕나무버섯) 괴이(槐耳, 홰나무버섯) 마고(?菰, 표고버섯) 석이(石耳) 균자(菌子, 땅버섯) 867
[채소(菜部)] 송이(松耳, 송이버섯) 669
[채소(菜部)] 해채(海菜, 미역) 714
[채소(菜部)] 현경엽( ?莖葉, 비름의 줄기와 잎) 71
[풀(草部)] 감송향(甘松香)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