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菜部)

백동과(白冬瓜, 동아) 백동과자(白冬瓜子, 동아씨) 백동과등(白冬瓜藤, 동아덩굴) 백동과엽(白冬瓜葉, 동아잎)

한닥터 2011.11.04 조회 수 707 추천 수 0
◈ 白冬瓜 ○ 동화性微寒(一云冷)味甘無毒主三消渴疾解積熱利大小腸壓丹石毒除水脹止心煩 ○ 一名地芝蔓生結實初則靑綠色經霜則皮上白如塗粉故云白冬瓜熱者食之佳冷者食之瘦人[本草] ○ 久病與陰虛者不可食[丹心]

☞ 백동과(白冬瓜, 동아) ○ 성질이 약간 차고(냉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 독이 없다. 3가지 소갈병을 치료하고 몰린 열을 풀며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고 광물성 약재의 독을 없앤다. 수창(水脹)과 가슴이 답답한 것을 낫게 한다. ○ 일명 지지(地芝)라고도 하는데 덩굴이 뻗는다. 열매가 달리는데 처음에는 청록색이고 서리가 온 뒤에는 껍질이 분을 칠한 것처럼 허옇게 된다. 그러므로 백동과라고도 한다. 열이 있을 때 먹으면 좋으나 냉이 있을 때 먹으면 여위게 된다[본초]. ○ 오래된 병이 있을 때와 음이 허한 사람은 먹지 말아야 한다[단심]. 

◈ 子 ○ 卽冬瓜子也性平寒味甘無毒潤肌膚好顔色剝黑?可作面脂 ○ 經霜後八月採破核取仁微炒用之
[入門]

☞ 백동과자(白冬瓜子, 동아씨) ○ 동과자(冬瓜子)이다. 성질이 평(平)하고 차며[寒] 맛이 달고[甘] 독이 없다.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얼굴빛이 좋아지게 하며 주근깨를 없앤다. 또한 이것으로 얼굴에 바르는 기름도 만든다. ○ 서리가 내린 뒤나 음력 8월에 받아서 껍질은 버리고 알맹이만 약간 볶아[微炒] 쓴다[입문]. 

◈ 藤 ○ 燒灰淋汁洗黑?幷洗瘡疥[本草]

☞ 백동과등(白冬瓜藤, 동아덩굴) ○ 태워 재를 내서 잿물을 받아 주근깨나 헌데나 옴을 씻는다[본초] 

◈ 葉 ○ 殺蜂?毒[本草]

☞ 백동과엽(白冬瓜葉, 동아잎) ○ 벌한테 쏘인 독을 없앤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짐승(獸部)] 영양각(羚羊角) 영양육(羚羊肉) 632
[짐승(獸部)] 서각(犀角) 481
[짐승(獸部)] 호골(虎骨, 범뼈, 호랑이뼈) 호두골(虎頭骨) 호경골(虎脛骨) 호육(虎肉) 804
[짐승(獸部)] 표육(豹肉 표범의고기) 표지(豹脂) 527
[짐승(獸部)] 이골(狸骨, 삵의 뼈, 살괭이뼈) 626
[짐승(獸部)] 가리(家狸, 고양이) 64
[짐승(獸部)] 토두골(兎頭骨) 토육(兎肉) 484
[짐승(獸部)] 모구음경(牡狗陰莖, 수캐의 음경) 모구육(牡狗肉) 모구혈(牡狗血) 602
[짐승(獸部)] 돈란(豚卵, 돼지 불알) 돈육(豚肉) 돈방고(豚肪膏) 1137
[짐승(獸部)] 야저황(野猪黃) 야저육(野猪肉) 야저지(野猪脂) 789
[짐승(獸部)] 노육(驢肉, 나귀고기) 노지(驢脂) 노피(驢皮) 노유(驢乳) 628
[짐승(獸部)] 나육(?肉, 노새고기) 497
[짐승(獸部)] 호음경(狐陰莖, 여우음경) 호육(狐肉) 호오장(狐五臟) 526
[짐승(獸部)] 달간(獺肝) 달육(獺肉) 달담(獺膽) 549
[짐승(獸部)] 단육(?肉, 오소리고기) 단지고(?脂膏) 898
[짐승(獸部)] 환육(?肉, 너구리고기) 1249
[짐승(獸部)] 학육(?肉, 담비고기) 432
[짐승(獸部)] 올눌제(??臍, 해구신) 756
[짐승(獸部)] 시피(豺皮, 승냥이가죽) 324
[짐승(獸部)] 낭육(狼肉, 이리고기) 405
[짐승(獸部)] 야타지(野駝脂, 낙타기름) 756
[짐승(獸部)] 미후(??, 잔나비) 미후두골(??頭骨) 418
[짐승(獸部)] 위피(蝟皮, 고슴도치가죽) 위육(蝟肉) 442
[짐승(獸部)] 모서육(牡鼠肉, 수쥐고기) 모서담(牡鼠膽) 370
[짐승(獸部)] 언서(?鼠, 두더지) 360
[짐승(獸部)] 누서(?鼠, 날다람쥐) 421
[짐승(獸部)] 패고피(敗鼓皮, 오래된 북가죽) 389
[짐승(獸部)] 초서(貂鼠) 358
[짐승(獸部)] 황서(黃鼠, 족제비) 451
[짐승(獸部)] 필두회(筆頭灰, 오래된 붓끝을 태운 재) 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