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菜部)

개채(芥菜, 겨자와 갓)

한닥터 2011.11.04 조회 수 788 추천 수 0
◈ 芥菜 ○ 갓又云게?性溫味辛無毒除腎邪利九竅明耳目止咳嗽上氣能溫中去頭面風 ○ 芥味歸鼻 ○ 似?而有毛味極辛辣大葉者良煮食動氣猶勝諸菜 ○ 有黃芥紫芥白芥黃芥紫芥作?食之最美白芥入藥[本草]

☞ 개채(芥菜, 겨자와 갓) ○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신(腎)에 있는 사기를 없애고 9규(竅)를 잘 통하게 하며 눈과 귀를 밝게 한다. 기침과 기운이 치미는 것도 멎게 한다. 그리고 속을 따뜻하게 하며 두면풍(頭面風)을 없앤다. ○ 개채의 매운 맛은 코에서 더 아린다. ○ 생김새가 배추 같은데 털이 있고 맛은 몹시 매우면서[極辛] 알알하다[辣]. 잎이 큰 것이 좋다. 삶아 먹으면 기를 동하게 하는데 다른 여러 가지 채소보다 훨씬 세다. ○ 황개(黃芥), 자개(紫芥), 백개(白芥)가 있는데 황개와 자개로는 김치를 하여 먹으면 아주 좋고 백개는 약으로 쓴다[본초]. 

◈ 子 ○ 治風毒腫及麻痺撲損瘀血腰痛腎冷心痛 ○ 熬硏作醬能通利五藏[本草]

☞ 개자(芥子, 겨자씨) ○ 풍독증(風毒證)과 마비된 것, 얻어 맞거나 다쳐서 어혈진 것, 요통(腰痛), 신(腎)이 차고 가슴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볶아서 가루내어 장을 담그어 먹으면 5장이 잘 통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눈(眼)] 흑예여주(黑瞖如珠) 400
[진맥(診脈)] 잔적맥(殘賊脈) 400
[곡식(穀部)] 국(麴, 누룩) 400
[한(寒)] 상한에 삼가하고 꺼려야 할 것[傷寒戒忌] 401
[해독(解毒)] 감수중독[甘遂毒] 401
[벌레(蟲部)] 청령(??, 잠자리) 401
[천지운기(天地運氣)] 표와 본에 대하여[論標本] 402
[천지운기(天地運氣)] 사해년[巳亥之歲] 402
[용약(用藥)] 병을 치료할 때에는 먼저 병의 뿌리를 없애야 한다[治病先去根] 402
[새(禽部)] 효목(?目, 올빼미눈알) 402
[진맥(診脈)] 지대맥으로 죽는 시기를 알 수 있다[止代脈定死期] 403
[해독(解毒)] 버들옻중독[大戟毒] 403
[잡방(雜方)] 백화춘(白花春) 403
[소아(小兒)] 저절로 땀이 나는 것[自汗] 403
[용약(用藥)] 땀을 내거나 설사시킬 때 주의해야 할 점[汗下之戒] 404
[괴질(怪疾)] 몸이 번들번들해지는 것[身有光色] 404
[곡식(穀部)] 청과맥(靑顆麥, 쌀보리) 404
[벌레(蟲部)] 와(?, 머구리) 404
[풀(草部)] 백호(白蒿, 다북떡쑥) 405
[침구(針灸)] 족태음비경의 순행[足太陰脾經流注] 405
[변증(辨證)] 음식을 먹는 것과 먹지 못하는 것[能食不能食] 405
[소아(小兒)] 감로(疳勞) 405
[짐승(獸部)] 낭육(狼肉, 이리고기) 405
[채소(菜部)] 순채(蓴菜) 405
[천지운기(天地運氣)] 4철의 기후[四時氣候] 406
[제상(諸傷)] 납거미한테 물린 것[壁鏡傷] 406
[벌레(蟲部)] 의어(衣魚, 옷좀) 406
[변증(辨證)] 모든 병은 아침에 경해졌다가 저녁에 중해진다[百病朝慧夕加] 407
[용약(用藥)] 병이 급할 때에는 표를 치료하고 완만할 때에는 본을 치료해야 한다[急則治標緩則治本] 407
[한(寒)] 상한 때의 제중증[傷寒除中證] 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