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菜部)

개채(芥菜, 겨자와 갓)

한닥터 2011.11.04 조회 수 788 추천 수 0
◈ 芥菜 ○ 갓又云게?性溫味辛無毒除腎邪利九竅明耳目止咳嗽上氣能溫中去頭面風 ○ 芥味歸鼻 ○ 似?而有毛味極辛辣大葉者良煮食動氣猶勝諸菜 ○ 有黃芥紫芥白芥黃芥紫芥作?食之最美白芥入藥[本草]

☞ 개채(芥菜, 겨자와 갓) ○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신(腎)에 있는 사기를 없애고 9규(竅)를 잘 통하게 하며 눈과 귀를 밝게 한다. 기침과 기운이 치미는 것도 멎게 한다. 그리고 속을 따뜻하게 하며 두면풍(頭面風)을 없앤다. ○ 개채의 매운 맛은 코에서 더 아린다. ○ 생김새가 배추 같은데 털이 있고 맛은 몹시 매우면서[極辛] 알알하다[辣]. 잎이 큰 것이 좋다. 삶아 먹으면 기를 동하게 하는데 다른 여러 가지 채소보다 훨씬 세다. ○ 황개(黃芥), 자개(紫芥), 백개(白芥)가 있는데 황개와 자개로는 김치를 하여 먹으면 아주 좋고 백개는 약으로 쓴다[본초]. 

◈ 子 ○ 治風毒腫及麻痺撲損瘀血腰痛腎冷心痛 ○ 熬硏作醬能通利五藏[本草]

☞ 개자(芥子, 겨자씨) ○ 풍독증(風毒證)과 마비된 것, 얻어 맞거나 다쳐서 어혈진 것, 요통(腰痛), 신(腎)이 차고 가슴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 볶아서 가루내어 장을 담그어 먹으면 5장이 잘 통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신장(腎臟)] 단방(單方)/신장 955
[담부(膽腑)] 담의 형태[膽形象] 692
[담부(膽腑)] 담의 위치[膽部位] 1016
[담부(膽腑)] 담은 결단하는 것을 주관한다[膽主決斷] 732
[담부(膽腑)] 담병의 증상[膽病證] 886
[담부(膽腑)] 담병의 허증과 실증[膽病虛實] 1020
[담부(膽腑)] 담병을 치료하는 법[膽病治法] 1054
[담부(膽腑)] 담기가 끊어진 증후[膽絶候] 608
[담부(膽腑)] 담부에 대한 도인법[膽腑導引法] 839
[담부(膽腑)] 단방(單方)/담부 710
[위부(胃腑)] 위의 형태[胃形象] 767
[위부(胃腑)] 위의 위치[胃部位] 702
[위부(胃腑)] 위는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곳이다[胃爲水穀之海] 711
[위부(胃腑)] 위가 크고 작은 것[胃腑大小] 667
[위부(胃腑)] 위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胃外候] 868
[위부(胃腑)] 위가 상한 증후[胃傷證] 830
[위부(胃腑)] 위병의 증상[胃病證] 2283
[위부(胃腑)] 위병의 허증과 실증[胃病虛實] 1255
[위부(胃腑)] 위병을 치료하는 법[胃病治法] 2577
[위부(胃腑)] 위의 기가 끊어진 증후[胃絶候] 706
[위부(胃腑)] 단방(單方)/위부 894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형태[小腸形象] 597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위치[小腸部位] 713
[소장부(小腸腑)] 소장이 전하고 받는 것[小腸傳受] 742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小腸外候] 761
[소장부(小腸腑)] 소장병의 증상[小腸病證] 1080
[소장부(小腸腑)] 소장병을 치료하는 법[小腸病治法] 1075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기가 끊어지는 증후[小腸絶候] 620
[소장부(小腸腑)] 단방(單方)/소장부 723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형태[大腸形象] 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