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菜部)

자소(紫蘇, 차조기) 자소자(紫蘇子, 차조기씨) 자소경(紫蘇莖, 차조기 줄기)

한닥터 2011.11.08 조회 수 552 추천 수 0
◈ 紫蘇 ○ ?초기性溫味辛無毒治心腹脹滿止?亂療脚氣通大小腸除一切冷氣散風寒表邪又能下胸膈痰氣 ○ 生園圃中葉下紫色皺而氣甚香可入藥其無紫色不香者名曰野蘇不堪用其背面皆紫者尤佳夏採莖葉秋採實 ○ 葉可生食與一切魚肉作羹良[本草]

☞ 자소(紫蘇, 차조기) ○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명치 밑이 불러 오르고 그득한 것과 곽란, 각기 등을 치료하는데 대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일체 냉기를 없애고 풍한 때 표사(表邪)를 헤친다. 또한 가슴에 있는 담과 기운을 내려가게 한다. ○ 밭에서 심는다. 잎의 뒷면이 자줏빛이고 주름이 있으며 냄새가 몹시 향기로운 것을 약으로 쓴다. 자줏빛이 나지 않고 향기롭지 못한 것은 들차조기(野蘇)인데 약으로 쓰지 못한다. 잎의 뒷면과 앞면이 다 자줏빛인 것은 더 좋다. 여름에는 줄기와 잎을 따고 가을에는 씨를 받는다. ○ 잎은 생것으로 먹을 수 있다. 여러 가지 생선이나 고기와 같이 국을 끓여 먹으면 좋다[본초]. 

◈ 子 ○ 主上氣咳逆調中益五藏下氣止?亂反胃利大小便止嗽潤心肺消痰氣又療肺氣喘急與橘皮相宜微炒用[本草]

☞ 자소자(紫蘇子, 차조기씨) ○ 기운이 치밀어 오르며 기침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데 중초를 고르게 하고 5장을 보하며 기운을 내린다. 곽란, 반위를 멎게 하고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기침을 멎게 한다. 심과 폐를 눅여 주고[潤] 담을 삭힌다. 또한 폐기로 숨이 찬 데도 쓴다. 귤껍질(橘皮)의 약효도 잘 도와준다. 약간 볶아서 써야 한다[본초]. 

◈ 莖 ○ 治風寒濕痺筋骨疼痛及脚氣與葉同煮飮佳[本草]

☞ 자소경(紫蘇莖, 차조기 줄기) ○ 풍, 한, 습으로 생긴 비증(痺證)으로 힘줄과 뼈가 아픈 것과 각기를 치료한다. 잎과 함께 달여서 먹는 것이 좋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충(蟲)] 치루에 충이 있다[痔瘻有蟲] 551
[이빨(牙齒)] 이빨은 이름이 각기 다르다[牙齒異名] 551
[근(筋)] 근위(筋?) 551
[학질(?疾)] 학질로 오한이 났다 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은 병의 뿌리가 있기 때문이다[?寒熱不歇有根] 551
[괴질(怪疾)] 새우 같은 것이 생기는 것[化生鰕魚] 551
[부인(婦人)] 방예하는 법[禳法] 551
[풀(草部)] 백질려(白?藜, 남가새열매) 552
[충(蟲)] 9가지 충[九蟲] 552
[제상(諸傷)] 여러 가지 색깔이 나는 벌레한테 상한 것[雜色蟲傷] 552
[새(禽部)] 연작(練鵲, 대까치) 552
[채소(菜部)] 자소(紫蘇, 차조기) 자소자(紫蘇子, 차조기씨) 자소경(紫蘇莖, 차조기 줄기) 552
[후음(後陰)] 치라는 것은 내밀었다는 뜻이다[痔者峙也] 553
[토[吐]] 토하게 하는 방법[取吐法] 553
[곽란(?亂)] 치료할 수 없는 증상[不治證] 553
[제상(諸傷)] 미친개 독을 없애는 방법[狂犬傷出毒法] 553
[소아(小兒)] 피를 많이 흘리는 것[失血] 553
[눈(眼)] 천행적목(天行赤目) 554
[입과 혀(口舌)] 침을 흘리는 것[口流涎] 554
[목(頸項)] 침뜸치료[鍼灸法]/목 554
[배꼽(臍)] 배꼽을 덥게 해 주기 위해서 배를 싸매 주는 방법[溫臍兜?方] 554
[살(肉)] 육위증(肉?證) 554
[손(手)] 팔의 부위별 치수[手部度數] 554
[천지운기(天地運氣)] 하늘과 땅이 의존하는 것[天地依附] 554
[구급(救急)] 10가지 위급한 병[十件危病] 554
[물(水部)] 요수(?水, 산골에 고인 빗물을 말한다.) 554
[배(腹)] 여러 가지 배아픈 증[腹痛諸證] 555
[전음(前陰)] 호산(狐疝) 555
[토[吐]] 도창법을 쓸 때에는 반드시 답답하고 괴로운 것을 참아야 한다[倒倉順忍煩惱] 555
[한(汗)] 땀을 내야 할 증[可汗證] 555
[부인(婦人)] 임신부에게서 나타난 상태와 빛깔로 태아의 생사를 가리는 법[察色驗胎生死] 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