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菜部)

수근(水芹, 미나리)

한닥터 2011.11.08 조회 수 596 추천 수 0
◈ 水芹 ○ 미나리性平(一云寒)味甘無毒止煩渴養神益精令人肥健治酒後熱毒利大小腸療女子崩中帶下小兒暴熱 ○ 一名水英生水中葉似芎?花白色而無實根亦白色可作??及煮食?得生啖亦佳亦治五種黃疸[本草]

☞ 수근(水芹, 미나리) ○ 성질이 평(平)하고(차다[寒]고도 한다) 맛이 달고[甘] 독이 없다. 번갈을 멎게 하고 정신이 좋아지게 하며 정(精)을 보충해 주고 살찌고 건강해지게 한다. 술을 마신 뒤에 생긴 열독을 치료하는데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 여자의 붕루, 대하와 어린이가 갑자기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 일명 수영(水英)이라고도 하는데 물에서 자란다. 잎은 천궁@)와 비슷하고 흰 꽃이 피며 씨는 없다. 뿌리도 역시 흰빛이다. 김치와 생절이를 만들어 먹는다. 또한 삶아서 먹기도 한다. 생것으로 먹어도 좋다. 또한 5가지 황달도 치료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신장(腎臟)] 단방(單方)/신장 955
[담부(膽腑)] 담의 형태[膽形象] 693
[담부(膽腑)] 담의 위치[膽部位] 1016
[담부(膽腑)] 담은 결단하는 것을 주관한다[膽主決斷] 732
[담부(膽腑)] 담병의 증상[膽病證] 887
[담부(膽腑)] 담병의 허증과 실증[膽病虛實] 1020
[담부(膽腑)] 담병을 치료하는 법[膽病治法] 1055
[담부(膽腑)] 담기가 끊어진 증후[膽絶候] 609
[담부(膽腑)] 담부에 대한 도인법[膽腑導引法] 839
[담부(膽腑)] 단방(單方)/담부 710
[위부(胃腑)] 위의 형태[胃形象] 767
[위부(胃腑)] 위의 위치[胃部位] 702
[위부(胃腑)] 위는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곳이다[胃爲水穀之海] 711
[위부(胃腑)] 위가 크고 작은 것[胃腑大小] 667
[위부(胃腑)] 위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胃外候] 868
[위부(胃腑)] 위가 상한 증후[胃傷證] 830
[위부(胃腑)] 위병의 증상[胃病證] 2284
[위부(胃腑)] 위병의 허증과 실증[胃病虛實] 1255
[위부(胃腑)] 위병을 치료하는 법[胃病治法] 2579
[위부(胃腑)] 위의 기가 끊어진 증후[胃絶候] 706
[위부(胃腑)] 단방(單方)/위부 894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형태[小腸形象] 597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위치[小腸部位] 713
[소장부(小腸腑)] 소장이 전하고 받는 것[小腸傳受] 742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小腸外候] 761
[소장부(小腸腑)] 소장병의 증상[小腸病證] 1080
[소장부(小腸腑)] 소장병을 치료하는 법[小腸病治法] 1075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기가 끊어지는 증후[小腸絶候] 620
[소장부(小腸腑)] 단방(單方)/소장부 723
[대장부(大腸腑)] 대장의 형태[大腸形象] 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