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菜部)

순채(蓴菜)

한닥터 2011.11.08 조회 수 405 추천 수 0
◈ 蓴菜 ○ 슌性寒(一云冷)味甘無毒主消渴熱痺厚腸胃補大小腸治熱疸解百藥毒開胃氣 ○ 生水澤中處處有之三四月至七八月通名絲蓴味甛體軟霜降至十二月名塊蓴味苦體澁取以爲羹猶勝雜菜 ○ 雖冷而補熱食則壅氣不下甚損人不可多食久食[本草]

☞ 순채(蓴菜) ○ 성질이 차고[寒](차다[冷]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소갈, 열비(熱痺)를 치료하고 장위(腸胃)를 든든하게 하며 대소장을 보한다. 열달(熱疸)을 치료하고 온갖 약독을 풀며 음식을 잘 먹게 한다. ○ 못에서 자라는데 곳곳에 다 있다. 음력 3-4월에서부터 7-8월까지는 그 이름을 사순(絲蓴)이라고 하는데 맛이 달고[甘] 연하다[軟]. 상강(霜降) 후부터 12월까지는 이름을 괴순(塊蓴)이라고 하는데 맛이 쓰고[苦] 깔깔하다[澁]. 이것으로 만든 국은 다른 채소국보다 좋다. ○ 성질은 차지만[冷] 보하는 성질이 있다. 뜨겁게 하여 먹으면 기가 몰려 내려가지 않기 때문에 몸에 몹시 해롭다. 많이 먹거나 오랫동안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비장(脾臟)] 비장에 대한 비장도인법[脾臟導引法] 859
[비장(脾臟)] 단방(單方)/비장 958
[폐장(肺臟)] 폐장의 형태[肺形象] 804
[폐장(肺臟)] 폐의 위치[肺部位] 1883
[폐장(肺臟)] 폐가 주관하는 날짜[肺主時日] 683
[폐장(肺臟)] 폐에 속한 것들[肺屬物類] 801
[폐장(肺臟)] 폐장이 크고 작은 것[肺臟大小] 643
[폐장(肺臟)] 폐가 상한 증상[肺傷證] 907
[폐장(肺臟)] 폐병의 증상[肺病證] 1297
[폐장(肺臟)] 폐병의 허증과 실증[肺病虛實] 1040
[폐장(肺臟)] 폐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肺病間甚] 780
[폐장(肺臟)] 폐병을 치료하는 법[肺病治法] 1 1435
[폐장(肺臟)] 폐의 기가 끊어진 증후[肺絶候] 696
[폐장(肺臟)] 폐를 수양하는 법[肺臟修養法] 690
[폐장(肺臟)] 단방(單方)/폐장 855
[신장(腎臟)] 신장의 형태[腎形象] 798
[신장(腎臟)] 신장은 2개가 있다[腎臟有二] 708
[신장(腎臟)] 신장의 위치[腎部位] 1245
[신장(腎臟)] 신장이 주관하는 날짜[腎主時日] 672
[신장(腎臟)] 신장에 속한 것들[腎屬物類] 2950
[신장(腎臟)] 신장이 크고 작은 것[腎臟大小] 710
[신장(腎臟)] 신장이 상한 증상[腎傷證] 1192
[신장(腎臟)] 신병의 증상[腎病證] 19694
[신장(腎臟)] 신병의 허증과 실증[腎病虛實] 5526
[신장(腎臟)] 신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腎病間甚] 739
[신장(腎臟)] 신병을 치료하는 방법[腎病治法] 2220
[신장(腎臟)] 두 장기의 부는 하나다[兩臟同一腑] 652
[신장(腎臟)] 신기가 끊어진 증후[腎絶候] 720
[신장(腎臟)] 신장을 수양하는 법[腎臟修養法] 764
[신장(腎臟)] 신장에 대한 도인법[腎臟導引法] 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