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인삼(人蔘)

한닥터 2011.11.14 조회 수 1151 추천 수 0
◈ 人參 ○ 심性微溫(一云溫)味甘(一云味苦)無毒主五藏氣不足安精神定魂魄明目開心益智療虛損止?亂嘔?治肺?吐膿消痰 ○ 讚曰三?五葉背陽向陰欲來求我?樹相尋一名神草如人形者有神 ○ 此物多生於深山中背陰近?漆樹下濕潤處中心生一莖與桔梗相似三四月開花秋後結子二月四月八月上旬採根竹刀刮暴乾 ○ 此物易?惟納器中密封口可經年不壞和細辛密封亦久不壞 ○ 用時去其蘆頭不去則吐人[本草] ○ 人參動肺火凡吐血久嗽面黑氣實血虛陰虛之人勿用代以沙參可也[丹心] ○ 人參苦微溫補五藏之陽沙參苦微寒補五藏之陰也[丹心] ○ 夏月少使發心?之患也[本草] ○ 夏月多服發心?[丹心] ○ 入手太陰經[湯液]

☞ 인삼(人蔘)

○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달며[甘](약간 쓰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주로 5장의 기가 부족한데 쓰며 정신을 안정시키고 눈을 밝게 하며 심규를 열어 주고 기억력을 좋게 한다. 허손된 것을 보하며 곽란으로 토하고 딸꾹질하는 것을 멎게 하며 폐위(肺?)로 고름을 뱉는 것을 치료하며 담을 삭힌다. ○ 찬(讚)에는 "세가지 다섯 잎에 그늘에서 자란다네, 나 있는 곳 알려거든 박달나무 밑 보라네"고 씌어 있다. 일명 신초(神草)라고도 하는데 사람의 모양처럼 생긴 것이 효과가 좋다. ○ 산삼은 깊은 산 속에서 흔히 자라는데 응달쪽 박달나무나 옻나무 아래의 습한 곳에서 자란다. 인삼 가운데는 하나의 줄기가 위로 올라갔는데 마치 도라지(길경)와 비슷하다. 꽃은 음력 3-4월에 피고 씨는 늦은 가을에 여문다. 음력 2월, 4월, 8월 상순에 뿌리를 캐어 대칼로 겉껍질을 벗긴 다음 햇볕에 말린다. ○ 인삼은 좀이 나기 쉬운데 다만 그릇에 넣고 꼭 봉해 두면 몇 해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 또는 족두리풀(세신)과 같이 넣어서 꼭 봉해 두어도 역시 오래도록 변하지 않는다. ○ 쓸 때에는 노두(蘆頭)를 버려야 하는데 버리지 않고 쓰면 토할 수 있다[본초]. ○ 인삼은 폐화(肺火)를 동하게 하므로 피를 토하거나 오랫동안 기침을 하거나 얼굴빛이 검고 기가 실하며 혈이 허하고 음이 허해진 사람에게는 쓰지 말고 더덕(사삼)을 대용으로 쓰는 것이 좋다[단심]. ○ 인삼은 쓰고[苦] 성질이 약간 따뜻한데[微溫] 5장의 양을 보하고 더덕은 쓰고 성질이 약간 찬데 5장의 음을 보한다[단심]. ○ 여름철에는 적게 써야 한다. 그것은 심현(心?)㈜이 생기기 때문이다[본초]. ○ 여름철에 많이 먹으면 심현이 난다[단심]. ○ 인삼은 수태음경(手太陰經)에 들어간다[탕액]. [註] 심현(心?) : 명치 밑이 그득하고 아픈 것. 
관련된 글
  1. 본초정리 인삼 Ginseng Radix Alba KP CP JP (人蔘, In Sam) ginseng by 한닥터
  2. 약재 정보 인삼 Ginseng Radix Alba KP CP JP (人蔘, In Sam) ginseng by 한닥터
  3. 약재 정보 인삼 Radix Ginseng by 한닥터
  4. 약재 정보 인삼(人參) by 한닥터
  5. 약재 정보 Radix Panacis Quinquefolii (American Ginseng) by 한닥터
  6. 약재 정보 Radix Ginseng 인삼 by 한닥터
  7. 본초정리 인삼(人蔘)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변(大便)] 오랜 설사가 이질이 된다[久泄成痢] 740
[대변(大便)] 이질의 여러 가지 병증[痢疾諸證] 626
[대변(大便)] 적리(赤痢) 1098
[대변(大便)] 백리(白痢) 908
[대변(大便)] 적백리(赤白痢) 729
[대변(大便)] 수곡리 641
[대변(大便)] 농혈리(膿血痢) 1 1286
[대변(大便)] 금구리(噤口痢) 759
[대변(大便)] 휴식리(休息痢) 997
[대변(大便)] 풍리(風痢) 778
[대변(大便)] 한리(寒痢) 727
[대변(大便)] 습리(濕痢) 709
[대변(大便)] 열리(熱痢) 941
[대변(大便)] 기리(氣痢) 621
[대변(大便)] 허리(虛痢) 1007
[대변(大便)] 적리(積痢) 705
[대변(大便)] 구리(久痢) 827
[대변(大便)] 역리(疫痢) 669
[대변(大便)] 고주리(蠱疰痢) 593
[대변(大便)] 5색리(五色痢) 746
[대변(大便)] 이질 때의 8가지 위험한 증후[八痢危證] 660
[대변(大便)] 이질 때 배가 아픈 것[痢疾腹痛] 1005
[대변(大便)] 이질 때 뱃속이 끌어당기는 것같이 아프면서 뒤가 무직한 것[痢疾裏急後重] 611
[대변(大便)] 이질 때 항문이 아픈 것[痢疾大孔痛] 814
[대변(大便)] 이질 때 설사를 시키는 것이 좋다[痢疾宜下] 795
[대변(大便)] 이질을 치료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방법[治痢要訣] 1079
[대변(大便)] 이질 때 두루 쓰는 약[痢疾通治藥] 779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 때 치료하기 쉬운 것과 어려운 것을 갈라 보는 것[泄痢易治難治辨] 566
[대변(大便)] 설사나 이질의 예후가 좋거나 나쁜 증[泄痢吉凶證] 758
[대변(大便)] 음식을 먹은 다음에는 곧 대변을 누는 것[飯後隨卽大便] 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