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우슬(牛膝, 쇠무릎)

한닥터 2011.11.14 조회 수 924 추천 수 0
◈ 牛膝 ○ 쇼ㅣ무룹디기性平味苦酸無毒主寒濕?痺膝痛不可屈伸男子陰消老人失尿塡骨髓利陰氣止髮白起陰?療腰脊痛墮胎通月經 ○ 處處有之有節如鶴膝又如牛膝狀以此名之一名百倍以長大而柔潤者佳二月八月十月採根陰乾[本草] ○ 助十二經?活血生血之劑也引諸藥下行于腰腿酒洗用之[入門]

☞ 우슬(牛膝, 쇠무릎)

○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쓰며[苦] 시고[酸] 독이 없다. 주로 한습으로 위증(?證)과 비증(痺證)이 생겨 무릎이 아파서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는 것과 남자의 음소(陰消)㈜증과 늙은이가 오줌이 나오는 것을 참지 못하는 것 등을 치료한다. 골수를 보충하고 음기(陰氣)를 잘 통하게 하며 머리털이 희지 않게 하고 음위증(陰?證)과 허리와 등뼈가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유산시키고 월경을 통하게 한다. [註] 음소(陰消) : 음증인 소갈을 말한다. ○ 어느 곳에나 다 있는데 학의 무릎[鶴膝] 같은 마디가 있으며 또는 소의 무릎과도 비슷하기 때문에 우슬(牛膝)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일명 백배(百倍)라고도 하는데 길고 크며 연하고 윤기있는 것이 좋다. 음력 2월, 8월, 10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 12경맥을 도와주며 피를 잘 돌게 하고 피를 생기게 하는 약[生血之劑]이다. 모든 약 기운을 이끌어 허리와 넓적다리로 내려가게 한다. 술로 씻어서 쓴다[입문]. 
관련된 글
  1. 본초정리 우슬 Achyranthis Radix KP CP JP (牛膝, U Seul) by 한닥터
  2. 약재 정보 우슬 Achyranthis Radix KP CP JP (牛膝, U Seul) by 한닥터
  3. 명의방론 우슬(牛膝) by 한닥터
  4. 약재 정보 우슬(牛膝) by 한닥터
  5. 본초정리 우슬(牛膝, 쇠무릎)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신형(身形)] 늙는 것은 혈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老因血衰] 1032
[신형(身形)] 노인의 병을 치료하는 법[老人治病] 1422
[신형(身形)] 노인의 보양(老人保養) 1582
[정(精)] 정은 신체의 근본[精爲身本] 1398
[정(精)] 정은 지극한 보배[精爲至寶] 1388
[정(精)] 5장에는 모두 정(精)이 있다[五藏皆有精] 1066
[정(精)] 맥 보는 법[脈法]/정 1053
[정(精)] 정액은 잘 간직해야 한다[精宜秘密] 2605
[정(精)] 성욕을 조절하여 정액을 간직한다[節慾儲精] 2628
[정(精)] 정을 단련하는 비방[煉精有訣] 1630
[정(精)] 음식물로 정을 보한다[補精以味] 1180
[정(精)] 유정은 심에 속한다[遺泄精屬心] 1271
[정(精)] 몽설(夢泄)은 심(心)에 속한다[夢泄屬心] 1496
[정(精)] 몽설(夢泄)은 울증[鬱]과도 관련된다[夢泄亦屬鬱] 1085
[정(精)] 정(精)이 절로 나가는 것은 허증에 속한다[精滑脫屬虛] 1860
[정(精)] 백음증(白淫證) 1349
[정(精)] 습담(濕痰)이 스며들어 유정(遺精)이 생긴다[濕痰?爲遺精] 1 1448
[정(精)] 정을 보하는 약[補精藥餌] 2070
[정(精)] 단방(單方)/정 1059
[정(精)] ☞ 도인법(導引法)㈜/정 833
[정(精)] 침구법[鍼灸法]/정 864
[기(氣)] 기(氣)는 음식물[穀]에 의해 생긴다[氣生於穀] 1170
[기(氣)] 기(氣)는 위(衛)가 되어 몸의 겉을 호위한다[氣爲衛衛於外] 983
[기(氣)] 위기가 돌아가는 횟수[衛氣行度] 869
[기(氣)] 영(榮)과 위(衛)는 따로 돌아간다[榮衛異行] 873
[기(氣)] 기가 생기는[生氣] 근원[生氣之原] 969
[기(氣)] 기(氣)는 호흡의 근원이 된다[氣爲呼吸之根] 1013
[기(氣)] 태식법㈜(胎息法) 1090
[기(氣)] 숨쉬기를 조절하는 비결[調氣訣] 876
[기(氣)] 폐는 기를 주관한다[肺主氣] 1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