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강활(羌活, 강호리)

한닥터 2011.11.15 조회 수 583 추천 수 0
◈ 羌活 ○ 강호리性微溫味苦辛無毒主治與獨活大同小異[本草] ○ 羌活乃手足太陽足厥陰少陰表裏引經之藥也撥亂反正之主大無不通小無不入故一身百節痛非此不能治[入門] ○ 羌活氣雄故入足太陽獨活氣細故入足少陰俱是治風而有表裏止殊[湯液] ○ 我國惟江原道獨活羌活俱産焉[俗方]

강활(羌活, 강호리)

○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쓰며[苦] 맵고[辛] 독이 없다. 주로 치료하는 것이 따두릅과 거의 같다[본초]. ○ 강호리는 수족태양과 족궐음과 족소음의 표리(表裏)가 되는 경맥에 인경하는 약[引經之藥]이다. 혼란해진 것을 바로잡아 원기를 회복케 하는데 주로 쓰는 약으로서 통하지 않는 것이 없고 들어가지 못하는 곳도 없다. 그러므로 온몸의 뼈마디가 아픈 데는 이것이 아니면 치료하지 못한다[입문]. ○ 강호리는 기운이 웅장하므로 족태양경에 들어가고 따두릅은 기운이 약하므로 족소음경에 들어간다. 이 약들은 다 같이 풍을 치료하는데 표리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탕액]. ○ 따두릅과 강호리는 다같이 우리나라 강원도에서만 난다[속방]. 
관련된 글
  1. 약재 정보 강활(羌活)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단방정리 강활(羌活, 강호리) by HaanDoctor
  3. 본초정리 강활(羌活, 강호리)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강활(羌活, 강호리) 583
[머리(頭)] 궐역두통(厥逆頭痛) 1183
[눈(眼)] 예막(瞖膜) 961
[눈(眼)] 눈병 때 두루 쓰는 약[通治眼病藥] 1180
[코(鼻)] 코가 메는 것[鼻塞] 1204
[잔등(背)] 등이 아픈 것[背痛] 1703
[잔등(背)] 등뼈가 뻣뻣한 것[背强] 814
[피부(皮)] 은진(?疹) 1673
[발(足)] 각기병(脚氣病)을 치료하는 방법[脚氣治法] 2164
[풍(風)] 조섭하여 치료하거나 예방하여야 한다[調治預防] 1205
[풍(風)] 파상풍의 치료는 상한의 3가지 치료방법과 같다[破傷風之治同傷寒三法] 879
[풍(風)] 치병에는 강치와 유치의 2가지 증상이 있다[?有剛柔二證] 790
[한(寒)] 양감상한은 죽을 병이다[兩感傷寒爲死證] 807
[한(寒)] 태양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太陽形證用藥] 1096
[한(寒)] 태양축혈(太陽畜血) 1102
[한(寒)] 상한의 병병[傷寒倂病] 489
[한(寒)] 상한전율(傷寒戰慄) 696
[한(寒)] 상한병의 치료법[傷寒治法] 1606
[한(寒)] 감한과 4시상한[感寒及四時傷寒] 1055
[화(火)] 화와 열에도 실한 것과 허한 것이 있다[火熱有實有虛] 1846
[내상(內傷)] 내상과 외상의 감별[辨內外傷證] 2115
[기침(咳嗽)] 해역을 치료하는 방법[咳逆治法] 1082
[기침(咳嗽)] 해역 때 치료하기 쉬운 증과 치료하기 어려운 증[咳逆易治難治證] 828
[옹저(癰疽)] 옹저를 치료하는 대체적인 방법[治癰疽大法] 1285
[옹저(癰疽)]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1447
[옹저(癰疽)] 둔옹(臀癰) 676
[옹저(癰疽)] 부골저(附骨疽) 2115
[소아(小兒)] 풍한열(風寒熱) 561
[소아(小兒)] 장열(壯熱) 715
[소아(小兒)] 풍한에 감촉된 것[感冒風寒] 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