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승마(升麻)

한닥터 2011.11.15 조회 수 629 추천 수 0
◈ 升麻 ○ ?뎔가릿불휘性平(一云微寒)味甘苦無毒主解百毒殺百精老物?瘟疫?氣療蠱毒治風腫諸毒喉痛口瘡[本草] ○ 生山野中其葉如麻故名爲升麻二月八月採根暴乾刮去黑皮幷腐爛者用細削如?骨色靑綠者佳本治手足陽明風邪兼治手足太陰肌肉間熱[入門] ○ 陽明本經藥也亦走手陽明太陰經若元氣不足者用此於陰中升陽氣上行不可缺也[丹心] ○ 陽氣下陷者宜用若發散生用補中酒炒止汗蜜炒[入門]

☞ 승마(升麻)

○ 성질은 평(平)하고(약간 차다고도[微寒] 한다) 맛이 달며[甘] 쓰고[苦] 독이 없다. 모든 독을 풀어 주고 온갖 헛것에 들린 것을 없애며 온역(瘟疫)과 장기(?氣)를 물리친다. 그리고 고독(蠱毒)과 풍으로 붓는 것[風腫], 여러 가지 독으로 목 안이 아픈 것, 입이 허는 것 등을 치료한다[본초]. ○ 산이나 들판에서 자라는데 그 잎이 삼과 같으므로 이름을 승마라 한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서 볕에 말려 검은 껍질과 썩은 부분을 긁어 버리고 쓴다. 가늘고 여윈 것이 닭의 뼈 같고 푸른 빛 나는 것이 좋은 것이다. 주로 수, 족양명경의 풍사를 치료하고 겸하여 수, 족태음경의 살 속의 열을 없앤다[입문]. ○ 족양명경의 약인데 또한 수양명경과 수태음경으로 간다. 만일 원기가 부족한 사람이 이것을 쓰면 음속에 양기를 이끌어 위로 가게 하므로 위로 올라가게 하려면 없어서는 안 될 약이다[단심]. ○ 양기(陽氣)가 아래로 처진 사람은 반드시 써야 한다. 만일 발산시키려면 생으로 쓰고 중초를 보하려면 술로 축여 볶아 쓰며 땀을 멎게 하려면 꿀을 발라 볶아 쓴다[입문]. 
관련된 글
  1. 약재 정보 승마 by 한닥터
  2. 약재 정보 Rhizoma Cimicifugae Racemosae 승마 by 한닥터
  3. 본초정리 승마(升麻)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침뜸의 꺼려야 할 것[鍼灸禁忌] 381
[제상(諸傷)] 누에한테 물린 것[蠶咬傷] 381
[옹저(癰疽)] 옹저에 겹친 여러 가지 증상[癰疽雜證] 382
[눈(眼)] 양극난임(痒極難任) 383
[소아(小兒)] 약독으로 임병이 되는 것[藥毒成淋] 384
[천지운기(天地運氣)] 6계년(六癸年)은 복명(伏明)의 해[六癸年伏明之紀] 385
[제상(諸傷)] 왕지네한테 물린 것[蜈蚣咬傷] 385
[풀(草部)] 남등근(藍藤根) 386
[풀(草部)] 수평(水萍) 부평(浮萍, 개구리밥) 386
[제창(諸瘡)] 내감창(內疳瘡) 386
[눈(眼)] 소아태중생췌(小兒胎中生贅) 387
[천지운기(天地運氣)] 축미년[丑未之歲] 387
[변증(辨證)] 내상과 외상을 갈라야 한다[辨內傷外傷] 387
[잡방(雜方)] 홍소주를 만드는 방법[造紅燒酒法] 387
[벌레(蟲部)] 오사(烏蛇) 387
[풀(草部)] 방기(防己) 388
[한(寒)] 상한잡증(傷寒雜證) 388
[소아(小兒)] 치경(?痙) 388
[눈(眼)] 옥예부만(玉瞖浮滿) 389
[변증(辨證)] 5병소발(五病所發) 389
[용약(用藥)] 약은 병에 맞게 변통해서 써야 한다[用藥權變] 389
[한(寒)] 상한에 예후가 나쁜 증[傷寒凶證] 389
[부인(婦人)] 방안에 일유신이 있는 곳[房中日遊神所在] 389
[소아(小兒)] 경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일면서 소리를 지르는 것과 지르지 않는 것이 있다[驚?有聲無聲] 389
[짐승(獸部)] 패고피(敗鼓皮, 오래된 북가죽) 389
[풀(草部)] 속단(續斷) 390
[풀(草部)] 전호(前胡) 390
[눈(眼)] 수하심예(水瑕深瞖) 390
[괴질(怪疾)] 송곳처럼 생긴 살이 나오는 것[肉出如錐] 390
[부인(婦人)] 방예하는 법[禳法]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