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승마(升麻)

한닥터 2011.11.15 조회 수 629 추천 수 0
◈ 升麻 ○ ?뎔가릿불휘性平(一云微寒)味甘苦無毒主解百毒殺百精老物?瘟疫?氣療蠱毒治風腫諸毒喉痛口瘡[本草] ○ 生山野中其葉如麻故名爲升麻二月八月採根暴乾刮去黑皮幷腐爛者用細削如?骨色靑綠者佳本治手足陽明風邪兼治手足太陰肌肉間熱[入門] ○ 陽明本經藥也亦走手陽明太陰經若元氣不足者用此於陰中升陽氣上行不可缺也[丹心] ○ 陽氣下陷者宜用若發散生用補中酒炒止汗蜜炒[入門]

☞ 승마(升麻)

○ 성질은 평(平)하고(약간 차다고도[微寒] 한다) 맛이 달며[甘] 쓰고[苦] 독이 없다. 모든 독을 풀어 주고 온갖 헛것에 들린 것을 없애며 온역(瘟疫)과 장기(?氣)를 물리친다. 그리고 고독(蠱毒)과 풍으로 붓는 것[風腫], 여러 가지 독으로 목 안이 아픈 것, 입이 허는 것 등을 치료한다[본초]. ○ 산이나 들판에서 자라는데 그 잎이 삼과 같으므로 이름을 승마라 한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서 볕에 말려 검은 껍질과 썩은 부분을 긁어 버리고 쓴다. 가늘고 여윈 것이 닭의 뼈 같고 푸른 빛 나는 것이 좋은 것이다. 주로 수, 족양명경의 풍사를 치료하고 겸하여 수, 족태음경의 살 속의 열을 없앤다[입문]. ○ 족양명경의 약인데 또한 수양명경과 수태음경으로 간다. 만일 원기가 부족한 사람이 이것을 쓰면 음속에 양기를 이끌어 위로 가게 하므로 위로 올라가게 하려면 없어서는 안 될 약이다[단심]. ○ 양기(陽氣)가 아래로 처진 사람은 반드시 써야 한다. 만일 발산시키려면 생으로 쓰고 중초를 보하려면 술로 축여 볶아 쓰며 땀을 멎게 하려면 꿀을 발라 볶아 쓴다[입문]. 
관련된 글
  1. 약재 정보 승마 by 한닥터
  2. 약재 정보 Rhizoma Cimicifugae Racemosae 승마 by 한닥터
  3. 본초정리 승마(升麻)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간장(肝臟)] 간장을 수양하는 법[肝臟修養法] 825
[간장(肝臟)] 간장에 대한 도인법[肝臟導引法] 1074
[간장(肝臟)] 단방(單方)/간장 932
[심장(心臟)] 심장의 형태[心形象] 804
[심장(心臟)] 심장의 위치[心部位] 1335
[심장(心臟)] 심이 주관하는 날짜[心主時日] 608
[심장(心臟)] 심에 속한 것들[心屬物類] 757
[심장(心臟)] 심장이 크고 작은 것[心臟大小] 2092
[심장(心臟)] 심이 상한 증상[心傷證] 906
[심장(心臟)] 심병의 증상[心病證] 1342
[심장(心臟)] 심병의 허증과 실증[心病虛實] 1703
[심장(心臟)] 심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心病間甚] 822
[심장(心臟)] 수소음은 수혈이 없다[手少陰無輸] 701
[심장(心臟)] 심병을 치료하는 방법[心病治法] 1588
[심장(心臟)] 심기가 끊어진 증후[心絶候] 718
[심장(心臟)] 심장을 수양하는 법[心臟修養法] 809
[심장(心臟)] 심장에 대한 도인법[心臟導引法] 815
[심장(心臟)] 단방(單方)/심장 921
[비장(脾臟)] 비장의 형태[脾形象] 865
[비장(脾臟)] 비장의 위치[脾部位] 1140
[비장(脾臟)] 비가 주관하는 날짜[脾主時日] 716
[비장(脾臟)] 비에 속한 것들[脾屬物類] 807
[비장(脾臟)] 비장이 크고 작은 것[脾臟大小] 957
[비장(脾臟)] 비가 상한 증상[脾傷證] 1070
[비장(脾臟)] 비병의 증상[脾病證] 1443
[비장(脾臟)] 비병의 허증과 실증[脾病虛實] 1228
[비장(脾臟)] 비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脾病間甚] 846
[비장(脾臟)] 비병을 치료하는 방법[脾病治法] 1903
[비장(脾臟)] 비기가 끊어진 증후[脾絶候] 788
[비장(脾臟)] 비장을 수양하는 법[脾臟修養法] 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