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승마(升麻)

한닥터 2011.11.15 조회 수 629 추천 수 0
◈ 升麻 ○ ?뎔가릿불휘性平(一云微寒)味甘苦無毒主解百毒殺百精老物?瘟疫?氣療蠱毒治風腫諸毒喉痛口瘡[本草] ○ 生山野中其葉如麻故名爲升麻二月八月採根暴乾刮去黑皮幷腐爛者用細削如?骨色靑綠者佳本治手足陽明風邪兼治手足太陰肌肉間熱[入門] ○ 陽明本經藥也亦走手陽明太陰經若元氣不足者用此於陰中升陽氣上行不可缺也[丹心] ○ 陽氣下陷者宜用若發散生用補中酒炒止汗蜜炒[入門]

☞ 승마(升麻)

○ 성질은 평(平)하고(약간 차다고도[微寒] 한다) 맛이 달며[甘] 쓰고[苦] 독이 없다. 모든 독을 풀어 주고 온갖 헛것에 들린 것을 없애며 온역(瘟疫)과 장기(?氣)를 물리친다. 그리고 고독(蠱毒)과 풍으로 붓는 것[風腫], 여러 가지 독으로 목 안이 아픈 것, 입이 허는 것 등을 치료한다[본초]. ○ 산이나 들판에서 자라는데 그 잎이 삼과 같으므로 이름을 승마라 한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서 볕에 말려 검은 껍질과 썩은 부분을 긁어 버리고 쓴다. 가늘고 여윈 것이 닭의 뼈 같고 푸른 빛 나는 것이 좋은 것이다. 주로 수, 족양명경의 풍사를 치료하고 겸하여 수, 족태음경의 살 속의 열을 없앤다[입문]. ○ 족양명경의 약인데 또한 수양명경과 수태음경으로 간다. 만일 원기가 부족한 사람이 이것을 쓰면 음속에 양기를 이끌어 위로 가게 하므로 위로 올라가게 하려면 없어서는 안 될 약이다[단심]. ○ 양기(陽氣)가 아래로 처진 사람은 반드시 써야 한다. 만일 발산시키려면 생으로 쓰고 중초를 보하려면 술로 축여 볶아 쓰며 땀을 멎게 하려면 꿀을 발라 볶아 쓴다[입문]. 
관련된 글
  1. 약재 정보 승마 by 한닥터
  2. 약재 정보 Rhizoma Cimicifugae Racemosae 승마 by 한닥터
  3. 본초정리 승마(升麻)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권백(卷栢, 부처손) 567
[풀(草部)] 남등근(藍藤根) 386
[풀(草部)] 남실(藍實, 쪽씨) 남엽즙(藍葉汁, 쪽잎즙) 남전(藍澱) 435
[풀(草部)] 청포(靑布, 쪽물들인 천) 79
[풀(草部)] 청대(靑黛) 96
[풀(草部)] 궁궁(芎?, 궁궁이) 미무(?蕪, 궁궁이싹) 476
[풀(草部)] 황련(黃連) 435
[풀(草部)] 낙석(絡石, 담쟁이덩굴) 벽려(??) 544
[풀(草部)] 백질려(白?藜, 남가새열매) 552
[풀(草部)] 황기(黃?, 단너삼) 632
[풀(草部)] 육종용(肉?蓉) 482
[풀(草部)] 쇄양(鎖陽) 105
[풀(草部)] 방풍(防風) 방풍엽(防風葉, 방풍잎) 방풍화(防風花, 방풍꽃) 방풍자(防風子, 방풍씨) 621
[풀(草部)] 포황(蒲黃, 부들꽃가루) 향포(香蒲) 467
[풀(草部)] 속단(續斷) 390
[풀(草部)] 누로(漏蘆, 뻐꾹채) 380
[풀(草部)] 영실(營實, 찔레나무열매) 영실근(營實根, 찔레나무뿌리) 520
[풀(草部)] 결명자(決明子) 결명엽(決明葉) 707
[풀(草部)] 단삼(丹參) 737
[풀(草部)] 천근(?根, 꼭두서니뿌리) 531
[풀(草部)] 오미자(五味子) 1074
[풀(草部)] 선화(旋花, 메꽃) 선화근(旋花根, 메뿌리) 444
[풀(草部)] 난초(蘭草) 412
[풀(草部)] 인동(忍冬, 겨우살이덩굴) 590
[풀(草部)] 사상자(蛇床子, 뱀도랏열매) 621
[풀(草部)] 지부자(地膚子, 댑싸리씨) 지부엽(地膚葉, 댑싸리잎) 892
[풀(草部)] 경천(景天) 441
[풀(草部)] 초부 (하) ○ 일백팔십팔종이 있다. 434
[풀(草部)] 인진호(茵陳蒿, 생당쑥) 723
[풀(草部)] 왕불류행(王不留行, 장구채) 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