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목향(木香)

한닥터 2011.11.15 조회 수 504 추천 수 0
◈ 木香 ○ 性溫味辛無毒治心腹一切氣及九種心痛積年冷氣脹痛?癖?塊止泄瀉?亂痢疾消毒殺鬼?瘟疫行藥之精 ○ 卽靑木香也形如枯骨者良[本草] ○ 行氣不見火生磨刺服之止瀉實大腸濕紙包?用[入門]

목향(木香)

○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매우며[辛] 독이 없다. 가슴과 배가 온갖 기로 아픈 것, 9가지 심통(心痛), 여러 해 된 냉기로 불러 오르면서 아픈 것, 현벽(?癖), 징괴(?塊) 등을 치료한다. 또한 설사, 곽란, 이질 등을 멈추며 독을 풀어 주고 헛것에 들린 것을 낫게 하며 온역을 방지하고 약의 정기[藥之精]가 목적한 곳으로 잘 가게 한다. ○ 즉 청목향(靑木香)인데 생김새가 마른 뼈[枯骨]와 같은 것이 좋다[본초]. ○ 기를 잘 돌게 하려면 불빛을 보이지 말고 생으로 갈아 먹는다. 설사를 멎게 하고 대장을 실하게 하려면 목향을 젖은 종이로 싸서 잿불에 묻어 구워 쓴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목향(木香) 504
[기(氣)] 중기(中氣) 1240
[기(氣)] 기로 생긴 통증[氣痛] 2072
[기(氣)] 기울(氣鬱)/기 1976
[기(氣)] 약 쓰는 법[用藥法] 1744
[기(氣)] 기의 병증에 두루 쓰는 약[通治氣藥] 1860
[충(蟲)] 여러 가지 기생충병을 치료하는 약[治諸蟲藥] 1304
[오줌(小便)] 냉림(冷淋) 1023
[대변(大便)] 활설(滑泄) 1155
[대변(大便)] 손설(飱泄) 1515
[대변(大便)] 신설(腎泄) 1022
[대변(大便)] 이질 때 두루 쓰는 약[痢疾通治藥] 779
[귀(耳)] 귀울이[耳鳴] 2154
[배(腹)] 식적으로 배가 아픈 것[食積腹痛] 1528
[배(腹)] 뱃가죽이 감각이 없거나 아픈 것[腹皮麻痺或痛] 1141
[전음(前陰)] 한산에 쓰는 약[寒疝藥] 1157
[풍(風)] 여러 가지 풍증을 두루 치료하는 처방[諸風通治] 756
[내상(內傷)] 식상 때 소화시키는 약[食傷消導之劑] 1994
[내상(內傷)] 음식에 상한 데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內傷飮食宜下 760
[적취(積聚)] 기울(氣鬱) 1 1165
[적취(積聚)] 식울(食鬱) 1451
[창만(脹滿)] 수창(水脹) 치료법 796
[창만(脹滿)] 한창(寒脹) 치료법 1 735
[창만(脹滿)] 창만을 두루 치료하는 약[脹滿通治藥] 1143
[창만(脹滿)] 탁기가 상초에 있으면 진창이 생긴다[濁氣在上則生?脹] 750
[옹저(癰疽)] 옹저에 약을 뿌리고 붙이는 방법[癰疽?貼法] 1048
[소아(小兒)] 체이(滯?) 417
[소아(小兒)] 설사(泄瀉) 547
[소아(小兒)] 번갈(煩渴) 706
[소아(小兒)] 배가 불러 오르는 것[腹脹] 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