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택사(澤瀉)

한닥터 2011.11.15 조회 수 486 추천 수 0
◈ 澤瀉 ○ 쇼ㅣ긔??불휘性寒味甘?無毒逐膀胱停水治五淋利膀胱熱宣通水道通小腸止遺瀝 ○ 生水澤中處處有之八九月採根暴乾[本草] ○ 入足太陽經少陰經除濕之聖藥也然能瀉腎不可多服久服本經云多服病人眼[湯液] ○ 入藥酒浸一宿?出暴乾用仲景八味丸酒蒸用之[入門]

☞ 택사(澤瀉)

○ 성질은 차며[寒] 맛이 달고[甘] 짜며[鹹] 독이 없다. 방광에 몰린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5림을 치료하고 방광의 열을 없애며 오줌길과 소장을 잘 통하게 하며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을 멎게 한다. ○ 택사는 못에서 자라는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음력 8월,9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다[본초]. ○ 족태양경과 족소음경에 들어간다. 습을 없애는 데 아주 좋은 약[聖藥]이다. 그러나 신기(腎氣)를 사하므로 많이 먹거나 오랫동안 먹을 수 없다. 『신농본초경』에는 많이 먹으면 눈병이 생기게 된다고 하였다[탕액]. ○ 약에 넣을 때에는 술에 하룻밤 담가 두었다가 볕에 말려 쓴다. 중경이 쓴 팔미환(八味丸)에는 술로 축여 싸서 쓴다고 하였다[입문]. 
관련된 글
  1. 약재 정보 택사(澤瀉) by 한닥터
  2. 본초정리 택사(澤瀉)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방풍(防風) 방풍엽(防風葉, 방풍잎) 방풍화(防風花, 방풍꽃) 방풍자(防風子, 방풍씨) 621
[풀(草部)] 육종용(肉?蓉) 482
[풀(草部)] 황기(黃?, 단너삼) 632
[풀(草部)] 백질려(白?藜, 남가새열매) 552
[풀(草部)] 낙석(絡石, 담쟁이덩굴) 벽려(??) 544
[풀(草部)] 황련(黃連) 435
[풀(草部)] 궁궁(芎?, 궁궁이) 미무(?蕪, 궁궁이싹) 476
[풀(草部)] 남실(藍實, 쪽씨) 남엽즙(藍葉汁, 쪽잎즙) 남전(藍澱) 435
[풀(草部)] 남등근(藍藤根) 386
[풀(草部)] 권백(卷栢, 부처손) 567
[풀(草部)] 석명자(?蓂子) 626
[풀(草部)] 암려자(菴?子) 681
[풀(草部)] 적전(赤箭) 488
[풀(草部)] 파극천(巴戟天) 690
[풀(草部)] 석곡(石斛) 520
[풀(草部)] 세신(細辛) 540
[풀(草部)] 용담(龍膽) 537
[풀(草部)] 원지(遠志) 629
[풀(草部)] 택사(澤瀉) 486
[풀(草部)] 서여(薯?, 마) 507
[풀(草部)] 목향(木香) 504
[풀(草部)] 차전자(車前子, 길짱구씨) 차전엽/차전근(車前葉及根) 690
[풀(草部)] 승마(升麻) 629
[풀(草部)] 강활(羌活, 강호리) 583
[풀(草部)] 독활(獨活, 따두릅) 1221
[풀(草部)] 맥문동(麥門冬) 846
[풀(草部)] 시호(柴胡) 587
[풀(草部)] 충위자(?蔚子, 익모초씨) 충위경엽(?蔚莖葉, 익모초 줄기와 잎) 882
[풀(草部)] 우슬(牛膝, 쇠무릎) 924
[풀(草部)] 토사자(兎絲子, 새삼씨) 7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