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육종용(肉?蓉)

한닥터 2011.11.15 조회 수 482 추천 수 0
◈ 肉?蓉 ○ 性微溫味甘酸?無毒主五勞七傷除莖中寒熱痛强陰益精氣令多子治男絶陽不興女絶陰不産潤五藏長肌肉煖腰膝男子泄精尿血遺瀝女子帶下陰痛 ○ 皮如松子有鱗甲長尺餘三月採根陰乾用之酒浸去鱗甲[本草] ○ 能峻補精血聚用反致尿澁[丹心]

☞ 육종용(肉?蓉)

○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微溫] 맛이 달고[甘] 시며[酸] 짜고[鹹] 독이 없다. 5로 7상(五勞七傷)을 치료하며 음경 속이 찼다 더웠다 하면서 아픈 것을 낫게 하며 양기를 세게 하고 정기를 도와 아이를 많이 낳게 한다. 남자의 양기가 끊어져서 음위증이 된 것과 여자의 음기가 끊어져서 임신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5장을 눅여 주고 살찌게 하며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하고 남자의 몽설과 유정, 피오줌이 나오는 것,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 여자의 대하와 음부가 아픈 데 쓴다. ○ 겉은 잣송이처럼 비늘이 있고 길이는 1자가 넘는다. 음력 3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려 쓴다. 술에 담갔다가 비늘 같은 것을 벗겨버린다[본초]. ○ 정혈(精血)을 세게 보하는데 갑자기 많이 쓰면 도리어 오줌이 잘 나오지 않게 된다[단심].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쇄양(鎖陽)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잡방(雜方)] 피난갈 때 어린이가 울지 않게 하는 방법[避難止小兒哭法] 480
[눈(眼)] 눈에서 불이 일어나는 것같은 것[眼中生火] 481
[눈(眼)] 눈을 보고 병의 예후가 나쁜 것을 안다[目視凶證] 481
[진맥(診脈)] 모든 맥의 중요한 지침[諸脈綱領] 481
[옹저(癰疽)] 탈저정(脫疽?) 481
[제상(諸傷)] 귀, 코, 혀가 상하여 떨어진 것을 치료하는 방법[療傷斷耳鼻舌方] 481
[구급(救急)] 침뜸치료[鍼灸法] 481
[탕액서례(湯液序例)]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할 약[不見火藥] 481
[짐승(獸部)] 서각(犀角) 481
[풀(草部)] 육종용(肉?蓉) 482
[근(筋)] 힘줄과 살이 푸들거리는 것[筋?肉?] 482
[전음(前陰)] 산증 때 위험한 증상[疝病危證] 482
[풍(風)] 파상풍의 원인[破傷風病因] 482
[제상(諸傷)] 단방(單方) 482
[제상(諸傷)] 단방(單方) 482
[괴질(怪疾)] 배가 쇠나 돌 같이 된 것[腹如鐵石] 482
[잡방(雜方)] 음련추석법(陰煉秋石法) 482
[부인(婦人)] 자번(子煩) 482
[부인(婦人)] 해산 후에 말을 못하는 것[産後不語] 482
[침구(針灸)] 5장을 찌르면 죽는다[刺中五臟死候] 483
[눈(眼)] 도첩권모(倒睫拳毛) 483
[젖(乳)] 젖먹이가 없으면 젖이 나오지 않게 해야 한다[無兒則當消乳] 483
[머리털(毛髮)] 부인은 수염이 없다[婦人無鬚] 483
[변증(辨證)] 4철 생기는 병[四時生病] 484
[용약(用藥)] 약을 쓰는 기본 방법[用藥大法] 484
[적취(積聚)] 징가 때 찜질하는 방법[??法] 484
[제창(諸瘡)] 꺼릴 것[禁忌法] 484
[제창(諸瘡)] 뜸치료[灸法] 484
[제상(諸傷)] 꺼릴 것[禁忌法] 484
[잡방(雜方)] 사람을 용감해지게 하는 방법[令人勇] 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