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여실(?實, 타래붓꽃씨) 여화엽(?花葉, 타래붓꽃과 잎)

한닥터 2011.11.16 조회 수 429 추천 수 0
◈ ?實 ○ 붇곳여름性平溫(一云寒)味甘無毒主胃熱止心煩利大小便治婦人血暈幷崩中帶下消瘡癤腫毒消酒毒治黃病 ○ 此卽馬藺子也處處有之葉似?而長厚三月開紫碧花五月結實根細長通黃色人取以爲刷三月採花五月採實?陰乾[本草] ○ 今人以此治急喉痺及食牛馬肉發?腫最妙[俗方]

☞ 여실(?實, 타래붓꽃씨) ○ 성질은 평(平)하며 따뜻하고[溫](차다[寒]고도 한다)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위열(胃熱)을 내리며 가슴이 답답한 것을 멎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부인의 혈훈(血暈)과 붕루[崩中], 대하(帶下)를 치료하고 창절(瘡癤)과 종독을 삭게 하며 술독을 풀어 주고 황달을 낫게 한다. ○ 이것이 즉 마린자(馬藺子)이다. 곳곳에서 자라며 잎은 염교와 같은데 길고 두텁다. 음력 3월에 자줏빛이면서 녹색의 꽃이 피고 음력 5월에 열매가 달린다. 뿌리는 가늘고 길며 전부 누런 색인데 사람들이 이것으로 솔을 만든다. 음력 3월에 꽃을 따고 5월에는 열매를 따서 모두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 지금 사람들은 이것으로 급후비(急喉痺)를 치료하고 소와 말고기를 먹고 정종(?腫)이 생긴 것을 치료하는 데 아주 잘 듣는다[속방]. 

◈ 花葉 ○ 去白?療喉痺多服令人泄[本草]

☞ 여화엽(?花葉, 타래붓꽃과 잎) ○ 촌백충을 죽이고 후비(喉痺)를 낫게 한다. 많이 먹으면 설사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오줌(小便)] 열림(熱淋) 1004
[오줌(小便)] 혈림(血淋) 1307
[오줌(小便)] 노림(勞淋) 1448
[오줌(小便)] 임병(淋病)에는 5가지가 있다[淋病有五] 738
[오줌(小便)] 여러 가지 임병[諸淋證] 1056
[오줌(小便)] 오줌을 참지 못하는 것[小便不禁] 2465
[오줌(小便)] 치료하기 어렵거나 치료할 수 없는 증[難治不治證] 654
[오줌(小便)] 배꼽을 싸매는 법[掩臍法] 689
[오줌(小便)] 씻고 찜질하는 법[洗熨法] 857
[오줌(小便)] 관격이 되었을 때에는 토하고 설사시켜야 한다[關格宜吐瀉] 1030
[오줌(小便)] 관격증(關格證) 1046
[오줌(小便)] 전포증(轉?證) 1310
[오줌(小便)] 오줌이 잘 나오지 않을 때에는 설사를 시켜야 한다[?閉宜瀉] 1105
[오줌(小便)] 오줌이 잘 나오지 않을 때에는 토하게 해야 한다[?閉宜吐] 878
[오줌(小便)] 늙은이와 허약한 사람이 오줌을 잘 누지 못하는 것[老虛人癃閉] 1162
[오줌(小便)]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小便不通] 1744
[오줌(小便)]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小便不利] 1523
[오줌(小便)] 오줌을 누기 힘든 병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후[小便難外候] 881
[오줌(小便)] 맥 보는 법[脈法]/오줌 666
[오줌(小便)] 오줌빛을 감별하는 법[辨尿色] 813
[오줌(小便)] 방광에는 오줌을 담아 둔다[ 爲尿器] 853
[오줌(小便)] 오줌이 만들어지는 경위[小便原委] 867
[충(蟲)] 침뜸치료[鍼灸法]/충 538
[충(蟲)] 단방(單方)/충 596
[충(蟲)] 모든 기생충병에 꺼려야 할 약[諸蟲畏忌藥] 634
[충(蟲)] 노채충(勞?蟲)의 생김새와 빛깔을 갈라보는 방법[辨?蟲形色] 594
[충(蟲)] 여러 가지 기생충병을 치료하는 약[治諸蟲藥] 1304
[충(蟲)] 여러 가지 기생충을 죽이는 약을 먹는 방법[殺諸蟲服藥法] 767
[충(蟲)] 노채 때 치료하지 못하는 증상[?不治證] 534
[충(蟲)] 노채의 병증[勞?病證] 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