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지모(知母)

한닥터 2011.11.16 조회 수 427 추천 수 0
◈ 知母 ○ 性寒(一云平)味苦(一云甘)無毒主骨蒸熱勞腎氣虛損止消渴療久?黃疸通小腸消痰止嗽潤心肺治産後?勞 ○ 生原野根似菖蒲而甚柔潤葉至難死掘出隨生須燥乃止四月開靑花如?花八月結實二月八月採根暴去鬚用黃白滋潤者善[本草] ○ 入足陽明經手太陰經足少陰腎經本藥瀉足陽明火熱補益腎水膀胱之寒入補藥鹽水或蜜水蒸或炒上行酒炒勿犯鐵[入門] ○ 我國黃海道多産品亦好[俗方]

☞ 지모(知母)

○ 성질은 차고[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며[苦](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골증노열(骨蒸勞熱)과 신기(腎氣)가 허손된 데 주로 쓰며 소갈을 멎게 하고 오랜 학질과 황달을 낫게 한다. 소장을 통하게 하며 담을 삭이고 기침을 멎게 하며 심폐(心肺)를 눅여 주고[潤] 몸푼 뒤의 욕로(?勞)를 치료한다.
○ 들과 벌판에서 자라는데 뿌리는 석창포와 비슷하고 몹시 연하고 눅진눅진하며 잎은 잘 죽지 않으며 뿌리를 파내어도 계속 돋아나다가 뿌리가 아주 바짝 마른 다음에야 안 나온다. 음력 4월에 푸른 꽃이 피는데 부추꽃(?花) 비슷하며 8월에 씨가 달린다. 음력 2월과 8월에 뿌리를 캐 햇볕에 말려 잔털을 버리고 쓴다. 눅진눅진하면서 누르고 흰빛이 나는 것이 좋다[본초].
○ 족양명경과 수태음경에 들어가며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의 본경약[本藥]이다. 족양명경의 화열(火熱)을 사하고 신수(腎水)를 보하고 방광이 찬 것을 없앤다. 보약에 넣을 때에는 소금물 혹은 꿀물에 축여 찌든가 볶으며 올라가게 하려면 술로 축여 볶는데 쇠붙이에 닿지 않게 해야 한다[입문].
○ 우리나라에는 황해도에 많이 나는데 품질이 또한 좋다[속방]. 
관련된 글
  1. 약재 정보 지모(知母) by 한닥터
  2. 본초정리 지모(知母)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구슬[玉部]] 옥설(玉屑) 39
[나무[木部]] 백랍(白蠟) 24
[나무[木部]] 자광(紫?) 8
[나무[木部]] 혈갈(血竭) 71
[나무[木部]] 대풍자(大風子) 72
[나무[木部]] 석남엽(石南葉, 만병초잎) 33
[나무[木部]] 추목피(秋木皮, 가래나무껍질, 초목피) 56
[나무[木部]] 원화(?花) 19
[나무[木部]] 목근(木槿, 무궁화) 목근화(木槿花, 무궁화꽃) 54
[나무[木部]] 종려피(棕櫚皮) 15
[나무[木部]] 조등(釣藤, 조구등) 18
[나무[木部]] 목별자(木鼈子) 21
[나무[木部]] 화목피(樺木皮) 31
[나무[木部]] 정공등(丁公藤) 27
[나무[木部]] 우이자(牛李子) 우이자(牛李子) 우이수피(牛李樹皮, 서리자나무뿌리껍질) 67
[나무[木部]] 익지자(益智子, 익지인) 29
[나무[木部]] 무환자피(無患子皮) 23
[나무[木部]] 필징가(?澄茄) 27
[나무[木部]] 호초(胡椒, 후추) 109
[나무[木部]] 동엽(桐葉, 오동나무잎) 동피(桐皮, 오동나무껍질) 동유(桐油, 오동나무기름) 193
[나무[木部]] 소방목(蘇方木) 32
[나무[木部]] 백양수피(白楊樹皮, 백양나무껍질) 81
[나무[木部]] 곡약(?若, 조리참나무잎) 85
[나무[木部]] 낙수피(?樹皮, 떡갈나무껍질) 60
[나무[木部]] 상실(橡實, 도토리) 상각(橡殼, 도토리껍질) 99
[나무[木部]] 뇌환(雷丸) 59
[나무[木部]] 몰식자(沒食子) 162
[나무[木部]] 욱리인(郁李仁, 이스라치씨) 욱리근(郁李根, 이스라치뿌리) 129
[나무[木部]] 춘목엽(椿木葉, 춘나무잎) 72
[나무[木部]] 저근백피(樗根白皮, 가죽나무뿌리껍질)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