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음양곽(淫羊藿, 팔파리)

한닥터 2011.11.16 조회 수 697 추천 수 0
◈ 淫羊藿 ○ 삼지구엽플性溫(一云平)味辛(一云甘)無毒主一切冷風勞氣補腰膝丈夫絶陽不起女人絶陰無子老人昏?中年健忘治陰?莖中痛益氣力堅筋骨丈夫久服令有子消??下部有瘡洗出? ○ 一名仙靈脾俗號爲三枝九葉草生山野葉似杏葉上有子莖如粟稈五月採葉?乾生處不聞水聲者良又云得酒良 ○ 服此令人好爲陰陽羊一日百遍合盖食此草所致故名淫羊藿酒洗細?焙用[本草]

☞ 음양곽(淫羊藿, 팔파리) ○ 성질은 따뜻하고[溫](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매우며(달다고도한다) 독이 없다. 모든 풍랭증(風冷證)과 허로(虛勞)를 낫게 하며 허리와 무릎을 보한다. 남자의 양기(陽氣)가 끊어져 음경이 일어나지 않는 데와 여자의 음기가 소모되어 아이를 낳지 못하는 데 쓴다. 늙은이가 정신없고 기력이 없는 것, 중년에 건망증이 있는데 음위증(陰?證)과 음경 속이 아픈 것을 낫게 한다. 기력을 도와주고 근골(筋骨)을 든든하게 한다. 남자가 오래 먹으면 자식을 낳게 할 수 있고 나력(??)을 삭게 하며 음부에 생긴 헌데를 씻으면 벌레가 나온다. ○ 일명 선령비(仙靈脾)라고도 하며 민간에서는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라고 한다. 산과 들에 나는데 잎은 살구나무의 잎(杏葉)과 비슷하고 잎 꼭대기에 씨가 있다. 줄기는 조짚[粟稈]과 같다. 음력 5월에 잎을 뜯어 햇볕에 말린다. 물소리가 들리지 않는 곳에 있는 것이 좋다. 또 술과 배합하여 쓰는 것이 좋다고 한다. ○ 이것을 먹으면 성욕이 강해진다. 양(羊)이 하루에 여러 번 교미하는 것은 이 풀을 먹기 때문이므로 음양곽이라고 하였다. 술에 씻어 잘게 썰어 약한 불기운에 말려 쓴다[본초]. 
관련된 글
  1. 본초정리 음양곽(淫羊藿, 팔파리)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소아(小兒)]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出痘三朝] 701
[흙(土部)] 호황토(好黃土, 좋은 황토) 701
[풀(草部)] 황금(黃芩, 속썩은풀) 황금자(黃芩子, 속썩은풀 씨) 700
[담음(痰飮)] 담이 뭉친 것[痰結] 700
[오장육부(五臟六腑)] 장의 병은 치료하기 어렵고 부의 병은 쉽다[臟腑病治有難易] 700
[가슴(胸)] 대결흉(大結胸) 700
[습(濕)] 습병에는 땀을 내고 설사시키는 것과 뜸뜨는 것을 금한다[濕病禁汗下及炙] 700
[소아(小兒)] 천조경풍(天吊驚風) 1 700
[물고기(魚部)] 오적어골(烏賊魚骨, 오징어뼈) 700
[진액(津液)] 유한(柔汗) 699
[입과 혀(口舌)] 견순(脣) 699
[한(寒)] 고랭(痼冷) 699
[기침(咳嗽)] 기침은 폐와 관련된다고 하나 장부와 연관되는 것도 있으므로 각기 다르다[咳嗽雖屬肺亦有臟腑之異] 699
[창만(脹滿)] 열창(熱脹) 치료법 699
[곡식(穀部)] 앵자속(罌子粟, 아편꽃씨) 앵속각(罌粟殼) 아편(鴉片) 699
[대변(大便)] 단방(單方)/대변 698
[탕액서례(湯液序例)] 술에 약을 담그는 방법[漬藥酒法] 698
[새(禽部)] 목방(鶩肪, 집오리 기름) 698
[과실(果部)] 청귤피(靑橘皮, 선귤껍질) 청귤엽(靑橘葉, 귤잎) 698
[풀(草部)] 음양곽(淫羊藿, 팔파리) 697
[풍(風)] 토하게 하는 방법[取吐法] 697
[한(寒)] 상한전율(傷寒戰慄) 697
[구급(救急)] 시궐(尸厥) 697
[폐장(肺臟)] 폐의 기가 끊어진 증후[肺絶候] 696
[목구멍(咽喉)] 인후병은 다 화에 속한다[咽喉之病皆屬火] 696
[배(腹)] 냉이 쌓여서 배가 아픈 것[積冷腹痛] 696
[소아(小兒)] 비는 곤한 것을 주관한다[脾主困] 696
[물(水部)] 국화수(菊花水, 국화 밑에서 나는 물) 696
[인부(人部)] 인중백(人中白) 696
[포(胞)] 월경하는 것이 차이가 있다[經行有異] 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