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모근(茅根, 띠뿌리) 모화(茅花, 띠꽃) 모침(茅鍼, 띠가시)

한닥터 2011.11.16 조회 수 599 추천 수 0
◈ 茅根 ○ ?불휘性寒(一云凉)味甘無毒除瘀血血閉寒熱利小便下五淋除客熱止消渴及吐?血 ○ 卽白茅根處處有之六月採根暴乾[本草]

☞ 모근(茅根, 띠뿌리) ○ 성질은 차고[寒](약간 서늘하다[凉]고도 한다)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어혈로 월경이 막히고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없애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다섯 가지 임병을 낫게 한다. 외감열[客熱]을 없애고 소갈(消渴)과 피를 토하는 것, 코피가 나는 것을 멎게 한다. ○ 즉 백모근(白茅根)이 다 곳곳에서 자라는데 음력 6월에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린다[본초]. 

◈ 花 ○ 主吐?血及灸瘡金瘡止血幷痛[本草]

☞ 모화(茅花, 띠꽃) ○ 피를 토하는 것, 코피, 구창과 쇠붙이에 다쳤을 때 주로 쓰며 출혈과 통증을 멎게 한다[본초]. 

◈ 茅鍼 ○ 卽茅筍也主惡瘡腫未潰令破出濃汁[本草]

☞ 모침(茅鍼, 띠가시) ○ 즉 띠순(茅筍)이다. 악창이 부어서 터지지 않은 것을 터뜨려 고름이 나오게 한다[본초]. 
관련된 글
  1. 본초정리 모근 (茅根, Imperatae Rhizoma ) by 한닥터
  2. 약재 정보 모근 (茅根, Imperatae Rhizoma )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벌레(蟲部)] 해(蟹, 게) 602
[채소(菜部)] 파릉(??, 시금치) 602
[풀(草部)] 과루근(瓜蔞根, 하늘타리뿌리) 과루실(瓜蔞實, 하늘타리) 과루인(瓜蔞仁, 하늘타리씨) 과루분(瓜蔞粉, 하늘타리뿌리 가루) 601
[눈(眼)] 산예(散翳) 601
[눈(眼)] 단방(單方)/눈 601
[귀(耳)] 맥 보는 법[脈法]/귀 601
[학질(?疾)] 방예하는 법[禳法] 601
[잡방(雜方)] 침을 삼키거나 물을 마시는 방법[嚥津服水法] 601
[소아(小兒)]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痘後?膜] 601
[채소(菜部)] 고채(苦菜, 씀바귀) 601
[언어(言語)] 부인이 몸풀기 전에 말을 못하는 증과 몸푼 뒤에 말을 못하는 증[婦人産前不語産後不語] 600
[한(寒)] 음양역증(陰陽易證) 600
[온역(瘟疫)] 온역의 원인[瘟疫之因] 600
[소아(小兒)] 경휵(驚?) 600
[풀(草部)] 모근(茅根, 띠뿌리) 모화(茅花, 띠꽃) 모침(茅鍼, 띠가시) 599
[살(肉)] 살은 비위에 속한다[肉屬脾胃] 599
[후음(後陰)] 항문을 달리 부르는 이름[肛門別名] 599
[소아(小兒)] 적과 벽[積癖] 599
[골(骨)] 뼈에 생긴 병이 겉에 나타나는 증후[骨病外證] 598
[손(手)] 단방(單方)/팔 598
[서(暑)] 서란 상화가 작용하는 것이다[暑者相火行令也] 598
[사수(邪崇)] 시주병을 알아내는 방법[驗尸?法] 598
[소아(小兒)] 경풍을 치료한 경험[驚風治驗] 598
[언어(言語)] 우는 것[哭] 597
[소장부(小腸腑)] 소장의 형태[小腸形象] 597
[눈(眼)] 태풍적란(胎風赤爛) 597
[한(寒)] 상한의 주된 병 형태[傷寒大法] 597
[기침(咳嗽)] 침뜸치료[鍼炙法] 597
[부인(婦人)] 갑자기 유산하는 것[卒墮胎] 597
[인부(人部)] 인중황(人中黃) 5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