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자원(紫?)

한닥터 2011.11.16 조회 수 437 추천 수 0
◈ 紫? ○ ?달性溫(一云平)味苦辛無毒治肺?吐血消痰止渴咳逆上氣咳唾膿血寒熱結氣潤肌膚添骨髓療?? ○ 生原野春初布地生其葉三四相連五六月開黃紫白花有白毛根甚柔細二月三月採根陰乾色紫而體潤軟者佳[本草] ○ 又有白?卽女?也療體相同無紫?時亦可通用[本草] ○ 一名返魂草蜜水浸焙乾用[入門]

☞ 자원(紫?) ○ 성질은 따뜻하고[溫](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고 매우며[苦辛] 독이 없다. 폐위(肺?)로 피를 토하는 것을 낫게 하고 담을 삭이며 갈증을 멎게 하고 기침하면서 기가 치미는 것, 기침할 때 피고름을 뱉는 것,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 기가 몰리는 것을 낫게 한다. 피부를 윤택하게 하며 골수(骨髓)를 보태어 주고 위벽증(??證)을 낫게 한다. ○ 들과 벌판에서 자라고 이른 봄에 돋아나서 땅에 퍼진다. 그 잎은 3-4개씩 잇닿아 나고 음력 5-6월에 누른 자줏빛과 흰색의 꽃이 핀다. 흰털이 있으며 뿌리는 아주 부드럽고 가늘다. 음력 2월, 3월에 뿌리를 캐 그늘에서 말리는데 자줏빛이 나면서 눅진눅진하고[潤] 연한[軟] 것이 좋다[본초]. ○ 또 백원(白?)이 있는데 즉 여원(女?)이다. 낫는 효과가 서로 같으므로 자원이 없을 때는 쓸 수 있다[본초]. ○ 일명 반혼초(返魂草)라고도 하는데 꿀물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려 쓴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탕액서례(湯液序例)] 약을 먹을 때 꺼려야 할 음식[服藥食忌] 565
[탕액서례(湯液序例)] 구리와 쇠를 꺼리는 약[忌銅鐵藥] 543
[탕액서례(湯液序例)] 상반약(相反藥) 635
[탕액서례(湯液序例)]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할 약[不見火藥] 481
[탕액서례(湯液序例)] 술에 약을 담그는 방법[漬藥酒法] 698
[물(水部)] 약으로 쓰는 물㈜[水部] 512
[물(水部)]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460
[물(水部)] 정화수(井華水, 새벽에 처음 길은 우물물) 606
[물(水部)] 한천수(寒泉水, 찬샘물) 568
[물(水部)] 국화수(菊花水, 국화 밑에서 나는 물) 696
[물(水部)] 납설수(臘雪水, 섣달 납향에 온 눈 녹은 물) 629
[물(水部)] 춘우수(春雨水, 정월에 처음으로 내린 빗물) 706
[물(水部)]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 547
[물(水部)] 동상(冬霜, 겨울철에 내린 서리) 497
[물(水部)] 박(雹, 우박) 530
[물(水部)] 하빙(夏氷, 여름철의 얼음) 629
[물(水部)] 방제수(方諸水, 조개껍질을 밝은 달빛에 비추어 가지고 그것으로 받은 물) 605
[물(水部)] 매우수(梅雨水, 매화열매가 누렇게 된 때에 내린 빗물) 529
[물(水部)] 반천하수(半天河水) 586
[물(水部)] 옥류수(屋?水, 볏짚 지붕에서 흘러 내린 물) 672
[물(水部)] 모옥누수(茅屋漏水, 새미엉에서 흘러 내린 물) 605
[물(水部)] 옥정수(玉井水, 옥이 있는 곳에서 나오는 샘물) 663
[물(水部)] 벽해수(碧海水, 짠 바닷물) 664
[물(水部)] 천리수(千里水) 508
[물(水部)] 감란수(甘爛水, 몹시 휘저어서 거품이 생긴 물을 말한다.) 544
[물(水部)] 역류수(逆流水) 527
[물(水部)] 순류수(順流水, 순하게 흐르는 물을 말한다.) 545
[물(水部)] 급류수(急流水) 547
[물(水部)] 온천물[溫泉] 526
[물(水部)] 냉천(冷泉, 맛이 떫은 찬 물을 말한다. 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