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석위(石韋) 와위(瓦韋)

한닥터 2011.11.16 조회 수 416 추천 수 0
◈ 石韋 ○ 性平(一云微寒)味苦甘無毒治五淋胞囊結熱不通膀胱熱滿淋瀝遺尿利小便水道 ○ 叢生石上葉如皮故名石韋又云葉生斑點如皮以不聞水聲及人聲者爲良二月八月採葉陰乾入藥須灸用刷去黃毛毛射人肺令人咳[本草]

☞ 석위(石韋) ○ 성질은 평(平)하고(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은 쓰고 달며[苦甘] 독이 없다. 5림(五淋)으로 포낭(胞囊)에 열이 몰려서 오줌이 나가지 않는 것과 방광에 열이 차서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거나 오줌 나오는 줄 모르는 것을 낫게 하고 오줌길을 순조롭게 한다. ○ 무더기로 바위 위에서 자라는데 잎이 가죽과 비슷하기 때문에 석위라고 한다. 또 잎에 얼룩점이 있는 것이 가죽과 같기 때문에 석위라고 한다. 물소리와 사람의 소리가 들리지 않는 데 있는 것이 좋다, 음력 2월과 7월에 잎을 뜯어 그늘에서 말린다. 약에 넣을 때는 반드시 구워서 노란 털을 없애 버리고 쓴다. 털은 사람의 폐를 찔러서 기침을 하게 한다[본초]. 

◈ 瓦韋 ○ 生古瓦屋上療淋亦好[本草]

☞ 와위(瓦韋) ○ 오랜 기와집 지붕에서 자란다. 임병을 낫게 하는 데 또한 좋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유기노초(劉寄奴草) 46
[돌[石部]] 오고미(烏古尾, 오고와) 46
[금속[金部]] 석(錫, 주석) 47
[나무[木部]] 장뇌(樟腦) 50
[풀(草部)] 희렴(稀? , 진득찰) 52
[나무[木部]] 백단향(白檀香) 53
[돌[石部]] 활석(滑石, 곱돌) 53
[금속[金部]] 금설(金屑, 금가루) 53
[나무[木部]] 지각(枳殼) 54
[나무[木部]] 후박(厚朴) 54
[나무[木部]] 목근(木槿, 무궁화) 목근화(木槿花, 무궁화꽃) 54
[돌[石部]] 대자석(代?石) 54
[금속[金部]] 철정(鐵精) 54
[금속[金部]] 은설(銀屑, 은가루) 55
[금속[金部]] 황단(黃丹) 55
[금속[金部]] 철화분(鐵華粉) 55
[풀(草部)] 낭독(狼毒, 오독도기) 56
[나무[木部]] 추목피(秋木皮, 가래나무껍질, 초목피) 56
[풀(草部)] 파초근(芭蕉根, 파초뿌리) 57
[돌[石部]] 석고(石膏) 57
[금속[金部]] 동청(銅靑, 구리에 녹이 슨 것) 57
[금속[金部]] 약시철(?匙鐵, 열쇠) 57
[금속[金部]] 고거철치(故鋸鐵齒, 오래된 톱날) 57
[금속[金部]] 철부(鐵斧, 쇠도끼) 57
[풀(草部)] 연지(?脂) 58
[풀(草部)] 파초유(芭蕉油, 파초진) 58
[돌[石部]] 반석(礬石, 백반) 58
[금속[金部]] 경분(輕粉) 58
[나무[木部]] 뇌환(雷丸) 59
[돌[石部]] 공청(空靑)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