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대청(大靑)

한닥터 2011.11.16 조회 수 301 추천 수 0
◈ 大靑 ○ 性大寒味苦無毒治天行熱疾大熱口瘡熱毒風心煩悶渴及金石藥毒兼塗腫毒 ○ 春生靑紫莖似石竹苗葉花紅紫色似馬蓼根黃三月四月採莖葉陰乾[本草]

☞ 대청(大靑) ○ 성질은 몹시 차고[大寒]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 돌림열병[天行熱疾]과 높은 열, 입 안이 헌 것, 열독풍(熱毒風)과 가슴이 안타깝게 답답하고 갈증이 나는 것[心煩悶渴], 광물성 약중독[金石藥毒]을 낫게 하며 겸하여 종독(腫毒)에 바른다. ○ 봄에 푸른 자줏빛의 줄기가 돋는데 패랭이꽃(石竹)과 비슷하고 싹, 꽃은 붉은 자줏빛인데 마료(馬蓼)와 비슷하고 뿌리는 누르다. 음력 3월, 4월에 줄기와 잎을 뜯어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후음(後陰)] 탈항(脫肛) 1904
[폐장(肺臟)] 폐의 위치[肺部位] 1883
[화(火)] 삼초의 화를 두루 치료하는 약[通治三焦火] 1879
[신(神)] 건망증[健忘] 1876
[피부(皮)] 자전풍과 백전풍을 치료하는 처방[治赤白汗斑方] 1874
[내상(內傷)] 술로 생긴 병을 치료하는 법[酒病治法] 1868
[허로(虛勞)] 기허, 혈허, 양허, 음허의 감별[辨氣虛血虛陽虛陰虛] 1868
[기(氣)] 기의 병증에 두루 쓰는 약[通治氣藥] 1861
[정(精)] 정(精)이 절로 나가는 것은 허증에 속한다[精滑脫屬虛] 1860
[간장(肝臟)] 간병을 치료하는 법[肝病治法] 1852
[화(火)] 화와 열에도 실한 것과 허한 것이 있다[火熱有實有虛] 1847
[내상(內傷)] 트림[噫氣] 1831
[얼굴(面)] 얼굴에 열이 있는 것[面熱] 1820
[가슴(胸)] 흉비(胸?) 1817
[제창(諸瘡)] 인면창(人面瘡) 1811
[진액(津液)] 식은땀[盜汗] 1810
[습(濕)] 습병의 치료법과 두루 쓰는 약[濕病治法及通治藥] 1809
[화(火)] 열은 낮에 나는 것과 밤에 나는 것의 구별이 있다[熱有晝夜之分] 1780
[혈(血)] 해혈(咳血), 수혈(嗽血), 타혈(唾血), 각혈(?血) 1 1770
[담음(痰飮)] 담음에 두루 쓰는 약[痰飮通治藥] 1760
[기(氣)] 소기(少氣) 1754
[후음(後陰)] 치루(痔漏) 1750
[기(氣)] 약 쓰는 법[用藥法] 1744
[오줌(小便)]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小便不通] 1744
[구급(救急)] 물에 빠져서 죽은 것을 살리는 방법[救溺水死] 1743
[허로(虛勞)] 허로에 조리하는 약[虛勞調理藥] 1739
[채소(菜部)] 생강(生薑) 건강(乾薑, 마른생강) 백강(白薑) 건생강(乾生薑, 말린 생강) 1704
[심장(心臟)] 심병의 허증과 실증[心病虛實] 1703
[잔등(背)] 등이 아픈 것[背痛] 1703
[화(火)] 오심열(五心熱) 16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