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악실(惡實, 우엉씨) 악실근경(惡實根莖, 우엉뿌리와 줄기)

한닥터 2011.11.16 조회 수 716 추천 수 0
◈ 惡實 ○ 우웡?性平(一云溫)味辛(一云甘)無毒主明目除風傷[本草] ○ 治風毒腫利咽膈潤肺散氣療風熱?疹瘡瘍[湯液] ○ 卽牛蒡子也處處有之外殼多刺鼠過之則綴蔥不可脫故亦名鼠粘子[本草] ○ 微炒搗碎用[入門] ○ 一名大力子[正傳]

☞ 악실(惡實, 우엉씨) ○ 성질은 평(平)하고(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은 매우며[辛](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눈을 밝게 하고 풍에 상한 것을 낫게 한다[본초]. ○ 풍독종(風毒腫)을 낫게 하고 목구멍과 가슴을 순조롭게 하며 폐를 눅여 주고 기를 헤치며 풍열(風熱)로 두드러기와 창양(瘡瘍)이 생긴 것을 낫게 한다[탕액]. ○ 즉 우방자(牛蒡子)다. 곳곳에서 자라는데 씨의 겉껍질에 가시가 많아서 쥐가 지나가다가 걸리면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서점자(鼠粘子)라고도 한다[본초]. ○ 약간 볶아[微炒] 짓찧어서 부스러뜨려 쓴다[입문]. ○ 일명 대력자(大力子)라고도 한다[정전]. 

◈ 根莖 ○ 療傷寒及中風面腫消渴熱中[本草]

☞ 악실근경(惡實根莖, 우엉뿌리와 줄기) ○ 상한이나 중풍으로 얼굴이 부은 것과 소갈(消渴)과 중열(中熱)㈜을 낫게 한다[본초]. [註] 중열(中熱) : 더위를 먹고 속에서 열이 나는 것.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이빨(牙齒)] 이빨에 있는 벌레를 나오게 하고 죽이는 방법[出牙蟲殺蟲法] 1135
[기침(咳嗽)] 기천(氣喘) 1135
[적취(積聚)] 주적(酒積) 1136
[짐승(獸部)] 돈란(豚卵, 돼지 불알) 돈육(豚肉) 돈방고(豚肪膏) 1137
[비장(脾臟)] 비장의 위치[脾部位] 1140
[대변(大便)] 허설(虛泄) 1140
[가슴(胸)] 식심통(食心痛) 1140
[풍(風)] 졸중풍의 구급치료[卒中風救急] 1140
[적취(積聚)] 식적(食積) 1140
[배(腹)] 뱃가죽이 감각이 없거나 아픈 것[腹皮麻痺或痛] 1141
[서(暑)] 서열로 번갈이 나는 것[暑熱煩渴] 1142
[창만(脹滿)] 창만을 두루 치료하는 약[脹滿通治藥] 1144
[습(濕)] 중습(中濕) 1146
[화(火)] 올라오는 기운은 화에 속한다[上升之氣屬火] 1146
[적취(積聚)] 담울(痰鬱) 1147
[풍(風)] 파상풍의 치료법[破傷風治法] 1148
[전음(前陰)] 퇴산에 쓰는 약[?疝藥] 1149
[학질(?疾)] 6경 학질[六經?] 1150
[풀(草部)] 인삼(人蔘) 1151
[전음(前陰)] 산증의 증상[疝病證候] 1151
[대변(大便)] 비설(脾泄) 1152
[신형(身形)] 상고시대 사람들이 소박한 데 대하여[論上古天眞] 1154
[채소(菜部)] 길경(桔梗, 도라지) 1154
[진액(津液)] 어린이 식은땀[童子盜汗] 1155
[대변(大便)] 활설(滑泄) 1155
[손(手)]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것[四肢不用] 1155
[전음(前陰)] 한산에 쓰는 약[寒疝藥] 1157
[담음(痰飮)] 담(痰)에 대한 왕은군의 이론[王隱君痰論] 1158
[충(蟲)] 촌백충(寸白蟲) 1158
[한(寒)] 양명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陽明形證用藥] 1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