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악실(惡實, 우엉씨) 악실근경(惡實根莖, 우엉뿌리와 줄기)

한닥터 2011.11.16 조회 수 716 추천 수 0
◈ 惡實 ○ 우웡?性平(一云溫)味辛(一云甘)無毒主明目除風傷[本草] ○ 治風毒腫利咽膈潤肺散氣療風熱?疹瘡瘍[湯液] ○ 卽牛蒡子也處處有之外殼多刺鼠過之則綴蔥不可脫故亦名鼠粘子[本草] ○ 微炒搗碎用[入門] ○ 一名大力子[正傳]

☞ 악실(惡實, 우엉씨) ○ 성질은 평(平)하고(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은 매우며[辛](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눈을 밝게 하고 풍에 상한 것을 낫게 한다[본초]. ○ 풍독종(風毒腫)을 낫게 하고 목구멍과 가슴을 순조롭게 하며 폐를 눅여 주고 기를 헤치며 풍열(風熱)로 두드러기와 창양(瘡瘍)이 생긴 것을 낫게 한다[탕액]. ○ 즉 우방자(牛蒡子)다. 곳곳에서 자라는데 씨의 겉껍질에 가시가 많아서 쥐가 지나가다가 걸리면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서점자(鼠粘子)라고도 한다[본초]. ○ 약간 볶아[微炒] 짓찧어서 부스러뜨려 쓴다[입문]. ○ 일명 대력자(大力子)라고도 한다[정전]. 

◈ 根莖 ○ 療傷寒及中風面腫消渴熱中[本草]

☞ 악실근경(惡實根莖, 우엉뿌리와 줄기) ○ 상한이나 중풍으로 얼굴이 부은 것과 소갈(消渴)과 중열(中熱)㈜을 낫게 한다[본초]. [註] 중열(中熱) : 더위를 먹고 속에서 열이 나는 것.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돌[石部]] 화예석(花蘂石) 59
[금속[金部]] 유철(柔鐵) 59
[금속[金部]] 철장(鐵漿) 59
[금속[金部]] 차할철(車轄鐵) 59
[나무[木部]] 저령(猪苓 ) 60
[나무[木部]] 낙수피(?樹皮, 떡갈나무껍질) 60
[과실(果部)] 명사(??, 명자) 61
[풀(草部)] 작맥(雀麥, 귀리) 61
[나무[木部]] 유핵(?核, 유인) 61
[금속[金部]] 철액(鐵液) 61
[채소(菜部)] 야산(野蒜) 62
[풀(草部)] 오두(烏頭) 62
[나무[木部]] 백극(白棘) 62
[금속[金部]] 생철(生鐵, 무쇠) 62
[금속[金部]] 강철(鋼鐵) 62
[돌[石部]] 마아초(馬牙硝) 63
[짐승(獸部)] 가리(家狸, 고양이) 64
[풀(草部)] 포공초(蒲公草, 민들레) 64
[돌[石部]] 무명이(無名異, 무명석) 64
[풀(草部)] 원의(垣衣) 65
[금속[金部]] 마함철(馬啣鐵) 65
[돌[石部]] 노감석(爐甘石) 66
[금속[金部]] 철설(鐵屑) 66
[풀(草部)] 홍두구(紅豆?) 67
[풀(草部)] 견우자(牽牛子, 나팔꽃씨) 67
[나무[木部]] 우이자(牛李子) 우이자(牛李子) 우이수피(牛李樹皮, 서리자나무뿌리껍질) 67
[풀(草部)] 지의(地衣) 68
[풀(草部)] 고근(菰根, 줄풀뿌리) 68
[풀(草部)] 경실(?實, 어저뀌씨) 68
[채소(菜部)] 자현(紫? , 자줏빛 비름)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