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수평(水萍) 부평(浮萍, 개구리밥)

한닥터 2011.11.16 조회 수 386 추천 수 0
◈ 水萍 ○ 性寒味辛酸無毒治熱毒風熱疾熱狂?腫毒湯火瘡風疹暴熱身痒下水氣勝酒長鬚髮止消渴 ○ 卽是水中大萍葉圓滑寸許葉下有一點如水沫其#大者謂之?春初生可?蒸爲茹又可苦酒淹以按酒[本草] ○ 水萍發汗甚於麻黃此水中大萍非今溝渠所生者紫背者佳[丹心] ○ 紫萍多蛭須寒月於山沼取之洗淨去泥略蒸乾用[正傳] ○ 採萍歌曰天生靈草無根幹不在山間不在岸始因飛絮逐東風泛梗靑靑漂水面神仙一味起沈?採我之時七月半選甚?風與?風些少微風都不算豆淋酒內下三丸鐵?頭上也出汗[高供奉]

☞ 수평(水萍)

○ 성질은 차고[寒] 맛은 맵고 시며[辛酸] 독이 없다. 열독, 풍열병, 열로 미친 것, 화기로 붓고 독이 뻗치는 것[腫毒], 끓는 물이나 불에 덴 것, 풍진(風疹), 갑자기 나는 열, 몸이 가려운 것을 낫게 한다. 수기(水氣)를 내리며 술에 취하지 않게 하고 수염과 머리털을 자라게 하며 소갈을 낫게 한다.
○ 즉 물 속에서 자라는 큰 부평인데 잎이 둥글고 미끈미끈하며 1치쯤 된다. 잎 뒷면에 물거품 같은 한 점이 있다 굵은 것을 빈(?)이라고 하는데 봄에 처음 난 것을 캐어 쌀가루를 뿌려 쪄서 나물로 먹는다. 또 식초에 절여서 안주를 한다[본초].
○ 수평은 땀을 내는데 마황보다 낫다. 물 속에서 자라는 큰 부평으로서 지금 개천에 나는 것과는 다르다. 뒷면이 자줏빛인 것이 좋다[단심].
○ 자평(紫萍)에는 거머리(수질)가 많이 붙으므로 반드시 겨울에 산 속 못에서 걷어 깨끗이 씻은 다음 진흙을 없애고 약간 쪄서 말려 써야 한다[정전].
○ 수평을 캐는 노래에 쓰기를
○ 천지간에 이상한 풀뿌리도 아니나고
○ 줄기 하나 돋지 않아 산간에도 나지 않고
○ 강언덕에 볼 수 없네 봄바람이 불어와서
○ 버들개지 날아들면 파릇파릇 세잎 붙어
○ 물 위에 떠다니네 이 한 가지 선약으로
○ 어려운 병 고친다네 음력 7월 보름날에
○ 거두어다 볕에 말려 꿀반죽해 알약지어
○ 전신불수 반신불수 사소한 풍병까지
○ 두림주(豆淋酒)를 만들어서 세 알만 먹어 두면
○ 땀이 나며 낫는다네라고 하였다[고공봉]. 

◈ 浮萍 ○ 머구리밥主火瘡去面?消水腫利小便是溝渠間小萍子也治熱病亦堪發汗甚有功[本草]

☞ 부평(浮萍, 개구리밥) ○ 불에 덴 것을 낫게 하고 얼굴의 주근깨를 없애며 부종을 내리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이것이 개천에 있는 작은 수평이다. 열병을 낫게 하는데 역시 땀을 낼 수 있으며 효과가 아주 좋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부인(婦人)] 후배앓이[兒枕痛] 1087
[대변(大便)] 담설(痰泄) 1088
[허로(虛勞)] 허로 때의 치료법[虛勞治法] 1088
[꿈(夢)] 잠을 자는 법[寢睡法] 1089
[배꼽(臍)] 배꼽 부위가 툭툭 뛰는 증[臍築證] 1089
[한(寒)] 소음병에 꺼릴 것[少陰病禁忌] 1089
[허로(虛勞)] 허로증(虛勞證) 1089
[한(寒)] 상한양증(傷寒陽證) 1090
[기(氣)] 태식법㈜(胎息法) 1091
[풍(風)] 비증의 이름과 쓰는 약[痺證病名及用藥] 1091
[채소(菜部)] 해채(?菜, 염교) 1091
[용약(用藥)] 표증, 이증, 허증, 실증에 쓰는 약[表裏虛實藥] 1092
[한(寒)] 오한이 나는 것, 열을 싫어하는 것,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惡寒惡熱往來寒熱] 1092
[구토(嘔吐)] 구토, 열격, 반위 때에는 대변을 통하게 해야 한다[嘔吐?膈反胃宜通大便] 1092
[담음(痰飮)] 지음(支飮) 1095
[한(寒)] 태양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太陽形證用藥] 1096
[한(寒)] 설사를 시켜야 할 증과 시키지 못할 증[可下不可下證] 1096
[대변(大便)] 적리(赤痢) 1098
[한(寒)] 상한번조(傷寒煩躁) 1099
[입과 혀(口舌)] 입 안이 헤진 것[口?] 1100
[소아(小兒)] 간은 풍을 주관한다[肝主風] 1101
[한(寒)] 태양축혈(太陽畜血) 1103
[오줌(小便)] 석림(石淋) 1104
[오줌(小便)] 오줌이 잘 나오지 않을 때에는 설사를 시켜야 한다[?閉宜瀉] 1105
[한(寒)] 노복증과 식복증[勞復食復證] 1105
[담음(痰飮)] 주담(酒痰) 1106
[내상(內傷)] 음식을 먹은 뒤에 정신이 흐릿하고 몸이 노곤한 것[食後昏困] 1106
[귀(耳)] 허하여 귀가 먹은 것[虛聾] 1107
[허리(腰)] 식적으로 허리가 아픈 것[食積腰痛] 1108
[잡방(雜方)] 벼룩과 이를 없애는 방법[?蚤?] 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