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지유(地楡, 오이풀뿌리)

한닥터 2011.11.16 조회 수 530 추천 수 0
◈ 地楡 ○ 외??불휘性微寒(一云平)味苦甘酸無毒主婦人七傷帶下病及産後瘀痛止血痢排膿療金瘡 ○ 生山野葉似楡而長花子紫黑色如?故一名玉?根外黑裏紅二月八月採根暴乾[本草] ○ 性沈寒入下焦治熱血痢去下焦之血腸風及瀉痢下血須用之陽中微陰治下部血[湯液]

☞ 지유(地楡, 오이풀뿌리) ○ 성질은 약간 차고[微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고 달며 시고[苦甘酸] 독이 없다. 부인의 7상(七傷), 대하, 몸푼 뒤에 어혈로 아픈 것을 낫게 한다. 혈리(血痢)를 멈추고 고름을 빨아내며[排] 쇠붙이에 다친 것을 낫게 한다. ○ 산과 들에서 자라는데 잎은 느릅나무(楡)와 비슷하고 길며 꽃과 씨는 검은 자줏빛이고 약전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일명 옥시(玉?)라고도 한다. 뿌리의 겉은 검고 속은 붉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린다[본초]. ○ 성질은 무겁고 차서[沈寒] 하초에 들어가서 열로 난 혈리(血痢)를 낫게 한다. 하초의 혈풍, 장풍, 설사나 이질로 피를 쏟는 데 반드시 써야 할 약이다. 양(陽) 속에 약간 음(陰)이 있기 때문에 하부의 혈병[下部血]을 낫게 한다[탕액]. 
관련된 글
  1. 본초정리 지유 Sanguisorbae Radix KHP CP (地楡, Ji Yu) by 한닥터
  2. 약재 정보 지유 Sanguisorbae Radix KHP CP (地楡, Ji Yu) by 한닥터
  3. 본초정리 지유(地楡, 오이풀뿌리)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담음(痰飮)] 현음(懸飮) 1112
[담음(痰飮)] 지음(支飮) 1094
[담음(痰飮)] 복음(伏飮) 1028
[담음(痰飮)] 10가지 담병(痰病)이 있다[痰病有十] 1170
[담음(痰飮)] 풍담(風痰) 2053
[담음(痰飮)] 한담(寒痰) 956
[담음(痰飮)] 습담(濕痰) 1428
[담음(痰飮)] 열담(熱痰) 2225
[담음(痰飮)] 울담(鬱痰) 1453
[담음(痰飮)] 기담(氣痰) 1528
[담음(痰飮)] 식담(食痰) 1493
[담음(痰飮)] 주담(酒痰) 1106
[담음(痰飮)] 경담(驚痰) 872
[담음(痰飮)] 맥 보는 법[脈法]/담음 764
[담음(痰飮)] 담음병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痰飮外證] 1683
[담음(痰飮)] 담음으로 생기는 여러 가지 병[痰飮諸病] 994
[담음(痰飮)] 가래의 빛을 갈라본 것[辨痰色] 858
[담음(痰飮)] 담음유주증[痰飮流注證] 1115
[담음(痰飮)] 담병에는 사수증 같은 것이 있다는 것[痰病有似邪崇] 837
[담음(痰飮)] 담궐(痰厥) 1237
[담음(痰飮)] 담괴(痰塊) 1313
[담음(痰飮)] 가래침을 자주 뱉는 것[喜唾痰] 2018
[담음(痰飮)] 담이 뭉친 것[痰結] 700
[담음(痰飮)] 담병으로는 갑자기 죽지 않는다[痰病不卒死] 569
[담음(痰飮)] 담병 때 치료하기 어려운 증상[痰病難治證] 581
[담음(痰飮)] 담음을 토하게 하는 방법[痰飮吐法] 824
[담음(痰飮)] 담음을 치료하는 방법[痰飮治法] 2714
[담음(痰飮)] 담음에 두루 쓰는 약[痰飮通治藥] 1760
[담음(痰飮)] 단방(單方)/담음 734
[담음(痰飮)] 침뜸치료[鍼灸法]/담음 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