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택란(澤蘭, 쉽싸리)

한닥터 2011.11.16 조회 수 436 추천 수 0
◈ 澤蘭 ○ 性微溫味苦甘(一云辛)無毒主産前後百病産後腹痛頻産血氣衰冷成勞羸瘦及金瘡癰腫消撲損瘀血 ○ 生水澤中莖方葉似薄荷微香三月三日採苗陰乾一云四月五月採[本草] ○ 入手少陽經[入門]

☞ 택란(澤蘭, 쉽싸리) ○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은 쓰고 달며[苦甘](맵다[辛]고도 한다) 독이 없다. 산전산후의 여러 가지 병과 몸푼 뒤 복통과 아이를 자주 낳아서 혈기가 쇠약하고 차서 허로병이 생겨 바짝 여윈 것, 쇠붙이에 다친 것, 옹종을 낫게 하며 타박상으로 생긴 어혈을 삭게 한다. ○ 진 펄[水澤]에서 자라는데 줄기는 모가 나고 잎은 박하와 비슷한데 약간 향기롭다. 음력 3월 초에 싹을 뜯어 그늘에서 말린다. 또한 4월과 5월에 전초를 뜯는다고도 한다[본초]. ○ 수소양경(手少陽經)에 들어간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5수혈이 주관하는 병[五?主病] 356
[침구(針灸)] 4계절에 따라 5수혈에 침놓는 방법[五?鍼隨四時] 307
[침구(針灸)] 정합의 의의[井合有義] 283
[침구(針灸)] 12개의 원혈을 써서 5장6부의 병을 치료하는 방법[五臟六腑有疾當取十二原] 707
[침구(針灸)] 장부의 중요한 침혈[臟腑要穴] 396
[침구(針灸)] 6개의 합혈이 나드는 곳[六合所出所入] 466
[침구(針灸)] 족3초의 별맥[足三焦別脈] 378
[침구(針灸)] 8회혈(八會穴) 1028
[침구(針灸)] 6개 경맥의 표와 본[六經標本] 575
[침구(針灸)] 몸에 있는 4곳의 모여드는 것과 그에 해당한 수혈[人身四海?穴] 426
[침구(針灸)] 대접경(大接經) 519
[침구(針灸)] 병을 치료하는 데 주요한 혈[主病要穴] 562
[침구(針灸)] 침과 뜸을 놓는데 삼가할 것[禁鍼灸] 468
[침구(針灸)] 5장을 찌르면 죽는다[刺中五臟死候] 481
[침구(針灸)] 침을 잘못 놓으면 사람이 상한다는 데 대하여[失鍼致傷] 442
[침구(針灸)] 침을 놓지 못하는 혈[禁鍼穴] 489
[침구(針灸)] 뜸을 뜨지 못하는 혈[禁灸穴] 510
[침구(針灸)] 기혈(奇穴) 587
[침구(針灸)] 별혈(別穴, 경외기혈) 1006
[침구(針灸)] 여러 가지 약으로 뜸을 뜨는 방법[諸藥灸法] 488
[침구(針灸)] 계족침법(鷄足鍼法) 718
[침구(針灸)] 좋은 날을 택하여 침뜸을 놓는 방법[擇鍼灸吉日法] 466
[침구(針灸)] 태을이 중궁에 옮겨가는 날, 8풍으로 좋고 나쁜 것을 예견하는 법 765
[침구(針灸)] 몸이 9야에 상응한다는 데 대하여[身形應九野] 456
[침구(針灸)] 태을신이 8계절이 나도는 날수[太乙遊八節日數] 471
[풀(草部)] 회향(茴香) 423
[풀(草部)] 관동화(款冬花) 391
[풀(草部)] 홍남화(紅藍花, 잇꽃) 홍남묘(紅藍苗, 잇꽃싹) 홍남자(紅藍子, 잇꽃씨) 374
[풀(草部)] 백부근(白部根) 454
[침구(針灸)] 구궁고신도 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