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방기(防己)

한닥터 2011.11.16 조회 수 388 추천 수 0
◈ 防己 ○ 性平溫味辛苦無毒治濕風口面?斜手足疼溫?熱氣利大小便療水腫風腫脚氣去膀胱熱散癰腫惡結諸?疥癬?瘡 ○ 防己本出漢中作車輻解黃實而香二月八月採根陰乾靑白虛軟者名木防己都不任用[本草] ○ 太陽本經藥通行十二經酒洗去皮治肺生用出華州者從一頭吹之氣從中貫如木通類[入門] ○ 防己瀉血中濕熱[東垣]

☞ 방기(防己) ○ 성질은 평(平)하고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 쓰며[辛苦] 독이 없다. 풍, 습으로 입과 얼굴이 비뚤어진 것, 손발이 아픈 것, 온학과 열기를 낫게 하며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고 수종(水腫), 풍종(風腫), 각기(脚氣)를 낫게 한다. 방광열을 없애며 옹종에 심하게 멍울이 진 것을 삭히고 여러 가지 와창(?瘡), 옴과 버짐, 충창(蟲瘡)에 쓴다. ○ 방기는 본래 한중(漢中)에서 나는데 수레바퀴살(車輻解)을 만든다. 열매는 노랗고 여물면 향기롭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 그늘에서 말린다. 푸르면서 흰빛이고 무게가 가뿐한 것을 목방기(木防己)라 하며 전혀 쓰지 못한다[본초]. ○ 태양경 본경의 약으로서 12경맥을 잘 통하게 한다. 술에 씻어 껍질을 버린다. ○ 폐의 병을 낫게 하는 데는 생것을 쓴다. 화주(華州)에서 나는 것은 한쪽 끝으로 불어서 공기가 속대를 따라 나가는데 목통@)의 종류와 같다[입문]. ○ 방기는 혈 속의 습열(濕熱)을 사한다[동원]. 
관련된 글
  1. 저널 독성 문제가 제기된 한약에 대한 오해와 실제 by 한닥터 *1
  2. 본초정리 방기(防己, Sinomeni Caulis et Rhizoma) by 한닥터
  3. 약재 정보 방기(防己, Sinomeni Caulis et Rhizoma) by 한닥터
  4. 약재 정보 방기(防己) by 한닥터
  5. 본초정리 방기(防己)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포(胞)] 단방(單方)/포 768
[포(胞)] 침뜸치료[針灸法]/포 612
[충(蟲)] 3시충(三尸蟲) 653
[충(蟲)] 9가지 충[九蟲] 552
[충(蟲)] 5장충(五臟蟲) 526
[충(蟲)] 습열로 충이 생긴다[濕熱生蟲] 842
[충(蟲)] 맥 보는 법[脈法]/충 534
[충(蟲)] 충증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후[蟲外候] 547
[충(蟲)] 여러 가지 물질이 충으로 변한다[諸物變蟲] 659
[충(蟲)] 회궐로 충을 토하는 것[蛔厥吐蟲] 865
[충(蟲)] 위를 따뜻하게 해서 회충증을 안정시킨다[溫胃安蟲] 679
[충(蟲)] 주충으로 가슴앓이가 생긴 것[酒蟲心痛] 632
[충(蟲)] 촌백충(寸白蟲) 1158
[충(蟲)] 응성충증[應聲蟲] 504
[충(蟲)] 호혹충(狐惑蟲) 535
[충(蟲)] 소갈에 충이 있다[消渴有蟲] 491
[충(蟲)] 치루에 충이 있다[痔瘻有蟲] 551
[충(蟲)] 모든 헌데에는 충이 있다[諸瘡有蟲] 506
[충(蟲)] 치통에 충이 있다[齒痛有蟲] 567
[충(蟲)] 노채충(勞?蟲) 1538
[충(蟲)] 노채인가를 시험해 보는 방법[驗?法] 581
[충(蟲)] 노채의 병증[勞?病證] 571
[충(蟲)] 노채 때 치료하지 못하는 증상[?不治證] 534
[충(蟲)] 여러 가지 기생충을 죽이는 약을 먹는 방법[殺諸蟲服藥法] 767
[충(蟲)] 여러 가지 기생충병을 치료하는 약[治諸蟲藥] 1304
[충(蟲)] 노채충(勞?蟲)의 생김새와 빛깔을 갈라보는 방법[辨?蟲形色] 594
[충(蟲)] 모든 기생충병에 꺼려야 할 약[諸蟲畏忌藥] 634
[충(蟲)] 단방(單方)/충 596
[충(蟲)] 침뜸치료[鍼灸法]/충 538
[오줌(小便)] 오줌이 만들어지는 경위[小便原委] 8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