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홍남화(紅藍花, 잇꽃) 홍남묘(紅藍苗, 잇꽃싹) 홍남자(紅藍子, 잇꽃씨)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374 추천 수 0
◈ 紅籃花 ○ 닛性溫味辛無毒主産後血暈腹內惡血不盡絞痛胎死腹中 ○ 卽今紅花也以染眞紅及作?脂葉似籃故有籃名[本草] ○ 紅花入藥只二分則入心養血多用則破血又云多用破血少用養血[丹心]

☞ 홍남화(紅藍花, 잇꽃) ○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은 매우며[辛] 독이 없다. 몸푼 뒤의 혈훈(血暈)과 뱃속에 궂은 피[惡血]가 다 나가지 못하여 쥐어 트는 듯이 아픈 데와 태아가 뱃속에서 죽은 데 쓴다. ○ 즉 지금의 홍화(紅花)이다. 이것으로 진홍색으로 물들이며 연지를 만든다. 잎은 쪽(藍)과 비슷하기 때문에 쪽 '남(藍)'자를 붙인 것이다[본초]. ○ 잇꽃을 약에 넣을 때에 0.8g이면 심(心)에 들어가서 양혈(養血)하고 많이 쓰면 피를 헤친다. 또 많이 쓰면 피를 헤치고[破] 적게 쓰면 보혈(補血)한다고 한다[단심]. 

◈ 苗 ○ 搗付遊腫

☞ 홍남묘(紅藍苗, 잇꽃싹) ○ 짓찧어서 유종(遊腫)㈜에 붙인다. [註] 유종(遊腫) : 피부병의 한 가지. 다
발성 피하농양을 말한다고 본다. 

◈ 子 ○ 主天行瘡疹不快出

☞ 홍남자(紅藍子, 잇꽃씨) ○ 마마와 홍역 때 구슬과 꽃이 시원이 돋지 않는 것을 나오게 한다.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단방정리 홍화(紅花, 잇꽃) by HaanDoctor
  2. 본초정리 홍남화(紅藍花, 잇꽃) 홍화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기가 끊어진 증후[膀胱絶候] 638
[방광부(膀胱腑)] 단방(單方)/방광부 640
[삼초부(三焦腑)] 3초의 형태[三焦形象] 670
[삼초부(三焦腑)] 3초의 위치[三焦部位] 606
[삼초부(三焦腑)] 3초가 받고 전하는 것[三焦傳受] 644
[삼초부(三焦腑)] 3초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三焦外候] 734
[삼초부(三焦腑)] 3초병의 증상[三焦病證] 745
[삼초부(三焦腑)] 3초병을 치료하는 방법[三焦病治法] 885
[삼초부(三焦腑)] 단방(單方)/3초부 718
[포(胞)] 포의 형태[胞形象] 685
[포(胞)] 포의 위치[胞部位] 613
[포(胞)] 포는 혈실이다[胞爲血室] 682
[포(胞)] 맥 보는 법[脈法]/포 667
[포(胞)] 월경하는 것이 차이가 있다[經行有異] 695
[포(胞)] 월경의 형태와 빛깔[月候形色] 769
[포(胞)] 월경빛을 좋아지게 하는 치료법[和血治法] 1308
[포(胞)] 월경을 고르롭게 하는 치료법[調血治法] 1581
[포(胞)] 월경이 중단된 것[血閉] 5534
[포(胞)] 월경을 잘 통하게 하는 치료법[通血治法] 9094
[포(胞)] 처녀가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室女月經不行] 1080
[포(胞)] 피가 엉켜서 가가 된 것[血結成?] 1182
[포(胞)] 혈고(血枯) 1205
[포(胞)] 혈붕과 혈루[血崩血漏] 872
[포(胞)] 붕루를 치료하는 방법[崩漏治法] 1 2606
[포(胞)] 적백대하(赤白帶下) 1162
[포(胞)] 대하를 치료하는 방법[帶下治法] 1466
[포(胞)] 5가지 빛깔의 이슬[五色帶下] 979
[포(胞)] 자궁에 찬 기운이 들어간 것[寒入血室] 862
[포(胞)] 자궁에 열이 들어간 것[熱入血室] 1298
[포(胞)] 월경이 끊어졌다가 다시 나오는 것[經斷復行] 1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