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草部)

홍남화(紅藍花, 잇꽃) 홍남묘(紅藍苗, 잇꽃싹) 홍남자(紅藍子, 잇꽃씨)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374 추천 수 0
◈ 紅籃花 ○ 닛性溫味辛無毒主産後血暈腹內惡血不盡絞痛胎死腹中 ○ 卽今紅花也以染眞紅及作?脂葉似籃故有籃名[本草] ○ 紅花入藥只二分則入心養血多用則破血又云多用破血少用養血[丹心]

☞ 홍남화(紅藍花, 잇꽃) ○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은 매우며[辛] 독이 없다. 몸푼 뒤의 혈훈(血暈)과 뱃속에 궂은 피[惡血]가 다 나가지 못하여 쥐어 트는 듯이 아픈 데와 태아가 뱃속에서 죽은 데 쓴다. ○ 즉 지금의 홍화(紅花)이다. 이것으로 진홍색으로 물들이며 연지를 만든다. 잎은 쪽(藍)과 비슷하기 때문에 쪽 '남(藍)'자를 붙인 것이다[본초]. ○ 잇꽃을 약에 넣을 때에 0.8g이면 심(心)에 들어가서 양혈(養血)하고 많이 쓰면 피를 헤친다. 또 많이 쓰면 피를 헤치고[破] 적게 쓰면 보혈(補血)한다고 한다[단심]. 

◈ 苗 ○ 搗付遊腫

☞ 홍남묘(紅藍苗, 잇꽃싹) ○ 짓찧어서 유종(遊腫)㈜에 붙인다. [註] 유종(遊腫) : 피부병의 한 가지. 다
발성 피하농양을 말한다고 본다. 

◈ 子 ○ 主天行瘡疹不快出

☞ 홍남자(紅藍子, 잇꽃씨) ○ 마마와 홍역 때 구슬과 꽃이 시원이 돋지 않는 것을 나오게 한다.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단방정리 홍화(紅花, 잇꽃) by HaanDoctor
  2. 본초정리 홍남화(紅藍花, 잇꽃) 홍화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진액(津液)] 어린이 식은땀[童子盜汗] 1155
[진액(津液)] 심한(心汗) 989
[진액(津液)] 손발에서 땀이 나는 것[手足汗] 1337
[진액(津液)] 음낭 부위에서 땀이 나는 것[陰汗] 1226
[진액(津液)] 혈한(血汗)/진액 746
[진액(津液)] 황한(黃汗)/진액 690
[진액(津液)] 망양증(亡陽證)/진액 1290
[진액(津液)] 땀을 멈추는 방법[止汗法] 1044
[진액(津液)] 땀이 나지 않는 것[無汗] 664
[진액(津液)] 절한(絶汗) 756
[진액(津液)] 유한(柔汗) 699
[진액(津液)] 땀이 나는 것의 예후가 좋지 못한 증[汗出凶證] 724
[진액(津液)] 꺼릴 것[禁忌]/진액 703
[진액(津液)] 기가 모여서 액을 생기게 한다[積氣生液] 704
[진액(津液)] 눈물[泣] 722
[진액(津液)] 콧물[涕] 997
[진액(津液)] 멀건 침[涎] 946
[진액(津液)] 느침[唾] 767
[진액(津液)] 진액을 돌리는 방법[廻津法] 871
[진액(津液)] 두루 쓰는 약[通治藥] 1165
[진액(津液)] 단방(單方)/진액 776
[진액(津液)] 침뜸치료[鍼灸法]/진액 692
[담음(痰飮)] 담(痰)과 연(涎), 음(飮) 세 가지는 같지 않다[痰涎飮三者不同] 1076
[담음(痰飮)] 담과 음은 맑고 흐린 것으로 갈라본다[痰飮分淸濁] 893
[담음(痰飮)] 담(痰)에 대한 왕은군의 이론[王隱君痰論] 1158
[담음(痰飮)] 8가지 음병(飮病)이 있다[飮病有八] 866
[담음(痰飮)] 유음(留飮) 1447
[담음(痰飮)] 벽음(癖飮) 961
[담음(痰飮)] 담음(痰飮) 1211
[담음(痰飮)] 일음(溢飮) 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