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9가지 침의 적응증[製九鍼法]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610 추천 수 0
◎ 製九鍼法 ○ 內經曰虛實之要九鍼最妙者爲其各有所宜也註云熱在頭身宜?鍼分肉氣滿宜圓鍼脈氣虛少宜?鍼瀉熱出血發泄痼病宜鋒鍼破癰腫出膿血宜?鍼調陰陽去暴痺宜圓利鍼治經絡中痛痺宜毫鍼痺深居骨解腰脊節?之間者宜長鍼虛風舍於骨解皮膚之間者宜大針此之謂各有所宜也 ○ 鍼形有九?之于左

☞ 9가지 침의 적응증[製九鍼法] ○ 『내경』에 "허(虛)하고 실(實)한 것을 제대로 치료하려면 9가지 침이 있어야 좋다"고 한 것은 각각 그 침에 해당한 적응증이 있기 때문이다. 주해에 머리와 몸에 열이 나는 데는 참침(?鍼)이 좋고 분육(分肉)에 기가 몰린 데는 원침(圓鍼)이 좋으며 경맥의 기가 허약한 데는 시침이 좋고 열을 내리고 피를 빼며 고질병을 치료하는 데는 봉침(鋒鍼)이 좋으며 곪은 것을 째어 피고름을 빼는 데는 피침(?鍼)이 좋고 음양을 고르게 하며 갑자기 생긴 비증(痺證)을 없애는 데는 원리침(圓利鍼)이 좋고 경락을 조절하고 통비(痛痺)를 치료하는 데는 호침(毫鍼)이 좋으며 비증이 몸의 깊은 곳과 관절, 허리등뼈에 몰린 데는 장침(長鍼)이 좋고 허풍(虛風)이 관절과 피부에 있는 데는 대침(大鍼)이 좋다고 씌어 있다. 이것은 바로 침에 따라 각각 해당한 적응증이 있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 침은 9가지가 있는데 아래와 같다. 

? 一曰?鍼 ○ 長一寸六分頭大末銳主瀉陽氣[靈樞] ○ 平半寸長一寸六分頭大末銳主熱在頭分[易老]

☞ 1. 참침(?鍼) ○ 길이는 1치 6푼이며 침 끝이 크고 예리하다. 주로 양기를 사(瀉)한다[영추]. ○ 너비는 5푼이고 길이가 1치 6푼이며 침 끝이 크고 예리하다. 주로 머리에 열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역로]. 

? 二曰圓鍼 ○ 長一寸六分鍼如卵形?摩分間不得傷肌肉以瀉分氣[靈樞] ○ 鋒如卵形肉分氣病宜用此[易老]

☞ 2. 원침(圓鍼) ○ 길이는 1치 6푼이고 침 끝이 달걀모양과 같이 생겼다. 분육의 사이를 스치기만 하고 기육(肌肉)을 상하지 않게 하며 분육에 몰린 기를 사한다[영추]. ○ 침 끝이 달걀모양과 같이 생겼는데 분육의 기병(氣病)에는 이 침을 쓰는 것이 좋다[역로]. 

? 三曰?鍼 ○ 長三寸半鋒如黍粟之銳主按脈勿陷以致其氣[易老] ○ 脈氣虛少者宜此[易老]

☞ 3. 시침(?鍼) ○ 길이는 3치 5푼이고 침 끝이 기장이나 조의 가스랑이와 같이 뾰족하다. 경맥을 눌러 들어가지 않게 하고 찔러서 경맥의 기를 제대로 돌게 한다[역로]. ○ 경맥의 기가 허약한 데는 이 침을 쓰는 것이 좋다[역로]. 

? 四曰鋒鍼 ○ 長一寸六分刃三隅以發痼疾[易老] ○ 瀉熱出血發泄痼疾[易老]

☞ 4. 봉침(鋒鍼) ○ 길이는 1치 6푼이고 침날은 세모꼴이다. 고질병을 치료한다[역로]. ○ 열을 내리고 피를 빼어 고질병을 치료한다[역로]. 

? 五曰?鍼 ○ 長四寸廣二分半末如劒鋒以取大膿[易老] ○ 一名破鍼用以破癰腫出膿血[易老]

☞ 5. 피침(?鍼) ○ 길이는 4치이고 너비는 2푼 5리이며 끝은 칼날과 같다. 크게 곪은 것을 짼다[역로]. ○ 일명 파침(破鍼)이라고도 하며 옹종(癰腫)을 째어 피고름을 빼는 데 쓴다[역로]. 

? 六曰圓利鍼 ○ 長一寸六分大如釐且圓且銳中身微大以取暴氣[易老] ○ 尖如毫且圓利調陰陽去暴氣[易老]

☞ 6. 원리침(圓利鍼) ○ 길이가 1치 6푼이고 굵기는 소꼬리털 같고 둥글며 예리하고 침날의 가운데는 약간 굵다. 갑자기 생긴 사기[暴氣]를 없앤다[역로]. ○ 침 끝은 털끝같이 가늘고 둥글며 잘 돌므로 음양을 고르게 하고 갑자기 생긴 사기를 없앤다[역로]. 

? 七曰毫鍼 ○ 長三寸六分尖如蚊?喙靜以徐往微以久留以取痛痺[易老] ○ 尖如蚊?喙調經絡去痛痺[易老]

☞ 7. 호침(毫鍼) ○ 길이는 3치 6푼이고 끝은 모기나 등에의 주둥이같이 날카로우며 천천히 놓고 오래 꽂아 둔다. 통비(痛痺)를 치료한다[역로]. ○ 침 끝은 모기나 등에의 주둥이 같은데 경락을 고르게 하고 통비를 없앤다[역로]. 

? 八曰長鍼 ○ 長七寸鋒利身薄可以取遠痺[易老] ○ 鋒利故取痺深居骨解腰脊節?之間者[易老]

☞ 8. 장침(長鍼) ○ 길이는 7치이고 침 끝이 예리하다. 오래된 비증을 치료한다[역로]. ○ 침 끝이 예리하므로 비증이 몸의 깊은 곳과 관절, 허리등뼈에 몰린 것을 없앤다[역로]. 

? 九曰大針 ○ 長四寸尖如挺其鋒微圓以瀉機關之水[易老] ○ 一名?鍼取風虛舍于骨解皮膚之間者[易老]

☞ 9. 대침(大鍼) ○ 길이는 4치이고 끝은 못과 같으며 침날은 약간 둥글다. 장기의 물을 뺀다[역로]. ○ 쉬침(?鍼)이라고도 하는데 허풍(虛風)이 관절과 피부 사이에 있는 것을 치료한다[역로].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과실(果部)] 율자(栗子, 밤) 율피(栗皮, 밤껍질) 율모각(栗毛殼, 밤송이) 율설(栗楔, 밤의 가운데 톨) 672
[과실(果部)] 복분자(覆盆子, 나무딸기) 봉류(蓬?, 멍덕딸기) 870
[과실(果部)] 검인(芡仁, 가시연밥) 678
[과실(果部)] 능인(菱仁, 마름) 530
[과실(果部)] 앵도(櫻桃, 앵두) 앵도엽(櫻桃葉, 앵두나무잎) 동행근(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앵두나무뿌리) 575
[과실(果部)] 등자피(橙子皮, 등자나무껍질) 765
[과실(果部)] 매실(梅實, 매화열매) 오매(烏梅) 백매(白梅) 매엽(梅葉, 매화나무잎) 1469
[과실(果部)] 모과(木瓜) 모과지엽(木瓜枝葉, 모과나무의 가지와 잎) 모과근(木瓜根) 653
[과실(果部)] 명사(??, 명자) 61
[과실(果部)] 홍시(紅?, 연감) 오시(烏?) 백시(白?, 곶감) 소시(小?, 고욤) 비시(??, 먹감) 702
[과실(果部)] 비파엽(枇杷葉) 비파실(枇杷實, 비파나무열매) 762
[과실(果部)] 여지(?枝, 예지) 여지핵(?枝核, 예지씨) 535
[과실(果部)] 용안(龍眼) 용안핵(龍眼核, 용안씨) 499
[과실(果部)] 유당(乳糖) 사당(沙糖, 사당) 519
[과실(果部)] 도핵인(桃核仁, 복숭아씨) 도화(桃花, 복숭아꽃) 도효(桃梟, 나무에 달린 마른 복숭아) 도모(桃毛, 복숭아털) 도두(桃?, 복숭아나무벌레) 경백피(莖白皮, 복숭아나무속껍질) 도엽(桃葉, 복숭아나무잎) 도교(桃膠, 복숭아나무진) 도실(桃實, 복숭아열매) 1308
[과실(果部)] 행핵인(杏核仁, 살구씨) 행실(杏實, 살구열매) 549
[과실(果部)] 석류(石榴) 석류각(石榴殼, 석류껍질) 석류화(石榴花, 석류꽃) 동행근피(東行根皮) 874
[과실(果部)] 이자(梨子, 배) 이엽(梨葉, 배나무잎) 이수피(梨樹皮, 배나무껍질) 667
[과실(果部)] 임금(林檎, 능금) 동행근(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능금나무뿌리) 576
[과실(果部)] 이핵인(李核仁, 오얏씨) 이근백피(李根白皮) 이엽(李葉) 이실(李實) 564
[과실(果部)] 호도(胡桃, 당추자) 외청피(外靑皮, 호두의 푸른 겉껍질) 수피(樹皮, 호두나무껍질) 689
[과실(果部)] 미후도(??桃, 다래) 813
[과실(果部)] 해송자(海松子, 잣) 801
[과실(果部)] 내자(柰子) 415
[과실(果部)] 진자(榛子, 개암) 326
[과실(果部)] 은행(銀杏) 637
[과실(果部)] 비자(榧子) 397
[과실(果部)] 산사자(山?子, 찔광이) 643
[과실(果部)] 야자(椰子) 353
[과실(果部)] 무화과(無花果) 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