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침을 만드는 방법[鍊鍼法]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582 추천 수 0
◎ ?鍼法 ○ 取久用馬?鐵作鍼最妙[精要] ○ 煮鍼取烏頭巴豆肉各一兩麻黃五錢木鱉子肉十箇烏梅五箇右將鍼藥同入銀石器內水煮一日出洗之再用止痛藥沒藥乳香當歸花?石各半兩又如前水煮一日取出以?角水洗之再於犬肉內煮一日仍用瓦屑打磨淨端直?子油塗之常近人氣爲妙[得效]

☞ 침을 만드는 방법[鍊鍼法] ○ 오랫동안 쓰던 말재갈로 침을 만드는 것이 제일 좋다[정요]. ○ 쇠독을 없애는 방법은 오두, 파두살(파두육) 각각 40g, 마황 20g, 목별자(木鱉子)살 10개, 오매 5개를 침과 함께 은이나 질그릇에 넣고 물을 부은 다음 하루 동안 끓여서 꺼낸다. 이것을 씻어서 다시 아픔을 멈추는 약들인 몰약, 유향, 당귀, 화예석 각각 20g을 넣고 위와 같이 물에 하루 동안 달인 다음 꺼내어 주염열매물(?角水)에 씻는다. 다시 개고기에 꽂아서 하루 동안 끓인다. 이것을 기왓가루로 깨끗하게 닦아 곧게 펴서 배추씨기름(?子油)을 바른다. 늘 몸에 가까이 가지고 있는 것이 좋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기침(咳嗽)] 지나치게 웃어서 생기는 해역[過笑咳逆] 342
[옹저(癰疽)] 변독 때 뜸을 뜨는 방법[灸便毒法] 342
[벌레(蟲部)] 서부(鼠婦) 343
[변증(辨證)] 5사맥이 나타나는 것[五邪所見] 344
[변증(辨證)] 병에는 5가지 역증이 있다[病有五逆] 345
[벌레(蟲部)] 슬자(蝨子, 이) 345
[잡방(雜方)] 선응고(善應膏) 346
[잡방(雜方)] 구고고(救苦膏) 347
[소아(小兒)] 마마의 여러 가지 증상[痘瘡諸證] 348
[벌레(蟲部)] 작옹(雀瓮, 쐐기벌레집) 348
[벌레(蟲部)] 갈(蝎, 전갈) 348
[벌레(蟲部)] 형화(螢火, 반딧불) 348
[풀(草部)] 아위(阿魏) 349
[눈(眼)] 순생예와 역생예[順逆生瞖 ] 349
[변증(辨證)] 5사소란(五邪所亂) 349
[천지운기(天地運氣)] 6정년(六丁年)은 위화(委和)의 해[六丁年委和之氣] 350
[해독(解毒)] 원화중독[?花毒] 351
[소아(小兒)] 마마 때에 먹일 수 있는 좋은 음식[痘疹宜食物] 351
[부인(婦人)] 갓난아이의 구급법[小兒初生救急] 352
[소아(小兒)] 만성 경풍에 치료되지 않는 증[慢驚風不治證] 352
[눈(眼)] 혼정(混睛) 353
[과실(果部)] 야자(椰子) 353
[소아(小兒)] 경풍으로 경련이 발작할 때에는 꽉 잡아서는 안된다[驚風發?不可把捉] 354
[새(禽部)] 관골(?骨, 황새뼈) 354
[제창(諸瘡)] 어목창(魚目瘡) 355
[소아(小兒)] 마마도 유행성 전염병의 하나이다[痘瘡亦時氣之一端] 355
[소아(小兒)] 마마 때 경증과 중증, 순증과 역증을 구별하는 법[辨痘輕重順逆] 355
[침구(針灸)] 5수혈이 주관하는 병[五?主病] 356
[눈(眼)] 풍견검출(風牽瞼出) 356
[한(寒)] 상한과 비슷한 4가지증[傷寒相類四證]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