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침을 만드는 방법[鍊鍼法]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582 추천 수 0
◎ ?鍼法 ○ 取久用馬?鐵作鍼最妙[精要] ○ 煮鍼取烏頭巴豆肉各一兩麻黃五錢木鱉子肉十箇烏梅五箇右將鍼藥同入銀石器內水煮一日出洗之再用止痛藥沒藥乳香當歸花?石各半兩又如前水煮一日取出以?角水洗之再於犬肉內煮一日仍用瓦屑打磨淨端直?子油塗之常近人氣爲妙[得效]

☞ 침을 만드는 방법[鍊鍼法] ○ 오랫동안 쓰던 말재갈로 침을 만드는 것이 제일 좋다[정요]. ○ 쇠독을 없애는 방법은 오두, 파두살(파두육) 각각 40g, 마황 20g, 목별자(木鱉子)살 10개, 오매 5개를 침과 함께 은이나 질그릇에 넣고 물을 부은 다음 하루 동안 끓여서 꺼낸다. 이것을 씻어서 다시 아픔을 멈추는 약들인 몰약, 유향, 당귀, 화예석 각각 20g을 넣고 위와 같이 물에 하루 동안 달인 다음 꺼내어 주염열매물(?角水)에 씻는다. 다시 개고기에 꽂아서 하루 동안 끓인다. 이것을 기왓가루로 깨끗하게 닦아 곧게 펴서 배추씨기름(?子油)을 바른다. 늘 몸에 가까이 가지고 있는 것이 좋다[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기가 끊어진 증후[膀胱絶候] 638
[방광부(膀胱腑)] 단방(單方)/방광부 640
[삼초부(三焦腑)] 3초의 형태[三焦形象] 670
[삼초부(三焦腑)] 3초의 위치[三焦部位] 606
[삼초부(三焦腑)] 3초가 받고 전하는 것[三焦傳受] 644
[삼초부(三焦腑)] 3초의 상태가 겉으로 나타난 증후[三焦外候] 734
[삼초부(三焦腑)] 3초병의 증상[三焦病證] 745
[삼초부(三焦腑)] 3초병을 치료하는 방법[三焦病治法] 885
[삼초부(三焦腑)] 단방(單方)/3초부 718
[포(胞)] 포의 형태[胞形象] 685
[포(胞)] 포의 위치[胞部位] 613
[포(胞)] 포는 혈실이다[胞爲血室] 682
[포(胞)] 맥 보는 법[脈法]/포 667
[포(胞)] 월경하는 것이 차이가 있다[經行有異] 695
[포(胞)] 월경의 형태와 빛깔[月候形色] 769
[포(胞)] 월경빛을 좋아지게 하는 치료법[和血治法] 1308
[포(胞)] 월경을 고르롭게 하는 치료법[調血治法] 1581
[포(胞)] 월경이 중단된 것[血閉] 5534
[포(胞)] 월경을 잘 통하게 하는 치료법[通血治法] 9094
[포(胞)] 처녀가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室女月經不行] 1080
[포(胞)] 피가 엉켜서 가가 된 것[血結成?] 1182
[포(胞)] 혈고(血枯) 1205
[포(胞)] 혈붕과 혈루[血崩血漏] 872
[포(胞)] 붕루를 치료하는 방법[崩漏治法] 1 2606
[포(胞)] 적백대하(赤白帶下) 1162
[포(胞)] 대하를 치료하는 방법[帶下治法] 1465
[포(胞)] 5가지 빛깔의 이슬[五色帶下] 979
[포(胞)] 자궁에 찬 기운이 들어간 것[寒入血室] 862
[포(胞)] 자궁에 열이 들어간 것[熱入血室] 1298
[포(胞)] 월경이 끊어졌다가 다시 나오는 것[經斷復行] 1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