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계절에 맞게 침놓는 방법[四時鍼法]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490 추천 수 0
◎ 四時鍼法 ○ 春氣在經脈夏氣在孫絡長夏氣在肌肉秋氣在皮膚冬氣在骨髓中是故邪氣者常隨四時之氣血而入客也必從其經氣?除其邪則亂氣不生反之則生亂氣相淫倂焉[內經] ○ 病有浮沈刺有淺深各至其理無過其道過之則內傷不及則生外壅壅則邪從之淺深不得反爲大賊內動五藏後生大病[內經] ○ 春夏刺淺秋冬刺深者盖春夏陽氣在上人氣亦在上故當淺刺之秋冬陽氣在下人氣亦在下故當深取之也[難經]

☞ 계절에 맞게 침놓는 방법[四時鍼法] ○ 기(氣)가 봄에는 경맥(經脈)에 있고 여름에는 손락(孫絡)에 있으며 늦은 여름에는 살[肌肉]에 있고 가을에는 피부에 있으며 겨울에는 골수에 있다. 그러므로 사기(邪氣)는 늘 계절에 따라 기혈이 있는 곳에 침습한다. 그러므로 반드시 경기(經氣)에 맞게 그 사기를 치료하여야 혼란된 기가 생기지 않는다. 그렇지 않으면 혼란된 기[亂氣]가 생겨 서로 어울리게 된다[내경]. ○ 병은 겉에 있는 것과 깊이 있는 것이 있으므로 침도 깊이 놓기도 하고 얕게 놓기도 하여 각각 그 정도에 알맞게 하며 지나치게 하지 말아야 한다. 만일 너무 깊이 놓으면 속이 상하고 너무 얕게 놓으면 겉이 막히는데 겉이 막히면 사기(邪氣)가 나오지 못한다. 침을 얕게 놓거나 깊이 놓는 것을 알맞게 하지 못하면 도리어 해롭다. 그리하여 5장을 다치면 나중에 중병이 생긴다[내경]. ○ 봄과 여름에는 침을 얕게 놓고 가을과 겨울에는 깊이 놓는다. 그것은 봄과 여름에는 대체로 양기(陽氣)가 겉에 있고 사람의 기[人氣]도 겉에 있으므로 침을 얕게 놓아야 하고 가을과 겨울에는 양기가 깊이 들어가 있고 사람의 기도 깊이 있으므로 침을 깊이 놓아야 한다[난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풍(風)] 풍비(風?) 1574
[소아(小兒)] 경풍 허실을 구분하고 증상을 역증과 순증으로 가르며 치료는 나중에 할 것과 먼저 할 것이 있다[驚風大抵熱論虛實證別逆順治有後先] 1571
[머리(頭)] 기궐두통(氣厥頭痛) 1569
[후음(後陰)] 치질을 두루 치료하는 약[痔病通治] 1566
[기침(咳嗽)] 담수(痰嗽) 1550
[기(氣)] 상기(上氣) 1545
[손(手)] 어깻죽지와 팔의 병의 원인[肩臂病因] 1540
[충(蟲)] 노채충(勞?蟲) 1538
[머리(頭)] 허훈(虛暈) 2 1538
[화(火)] 오열과 오한[惡熱惡寒] 1538
[입과 혀(口舌)] 입맛이 짠 것[口鹹] 1537
[배(腹)] 식적으로 배가 아픈 것[食積腹痛] 1530
[담음(痰飮)] 기담(氣痰) 1528
[잡방(雜方)] 신이고(神異膏) 1524
[신형(身形)] 환단내련법[還丹內煉法] 1523
[오줌(小便)]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小便不利] 1523
[가슴(胸)] 담음으로 생긴 위완통[痰飮胃脘痛] 1522
[한(寒)] 상한 때의 섬어와 정성[傷寒?語鄭聲] 1522
[입과 혀(口舌)] 혀가 부은 것[舌腫] 1520
[풍(風)] 풍병을 치료하는 방법[風病治法] 1518
[대변(大便)] 손설(飱泄) 1515
[눈(眼)] 내장(內障) 1515
[부인(婦人)] 태루와 태동[胎漏胎動] 1513
[풍(風)] 역절풍의 치료법[歷節風治法] 1510
[젖(乳)] 유옹(乳癰) 1509
[소아(小兒)] 만경풍(慢驚風) 1509
[간장(肝臟)] 간병의 증상[肝病證] 1504
[허리(腰)] 접질려서 허리가 아픈 것[挫閃腰痛] 2 1503
[정(精)] 몽설(夢泄)은 심(心)에 속한다[夢泄屬心] 1496
[담음(痰飮)] 식담(食痰) 1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