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針灸)

치수를 재는 법[量分寸法]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727 추천 수 0
◎ 量分寸法 ○ 取病人男左女右中指第二節內度兩橫紋相去爲一寸應取穴及作炷分寸?依此法[局方] ○ 取男左女右手中指第二節內度兩橫文相去爲一寸是謂同身寸療病多愈今以爲準銅人曰取中指內文爲一寸內經曰同身寸是也[資生] ○ 竇漢卿同身寸法以中指大指相屈如環取內側交兩角爲一寸 ○ 取中指內側爲同身寸者大法也若取頭部膺?部背部腹部同身寸外又各有活法不可執一也[綱目] ○ 手足部?用同身寸取之[神應]

☞ 치수를 재는 법[量分寸法] ○ 환자가 남자이면 왼손, 여자이면 오른손 가운뎃손가락 두번째 마디의 두 가로금 사이를 한치로 한다. 침혈을 잡는 데와 뜸을 놓을 때 쓴다[국방]. ○ 남자는 왼손, 여자는 오른손 가운뎃손가락 두번째 마디의 두 가로금 사이를 한치로 하는데 이것을 동신촌법(同身寸法)이라고 한다. 이것에 기초해서 혈을 잡아 치료하면 잘 낫기 때문에 지금은 이것을 기준으로 한다. 『동인』에는 가운뎃손가락 안쪽 금 사이를 1치로 잡는다고 하였는데 『내경』에 동신촌법이라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자생]. ○ 『두한경』의 동신촌법에는 가운뎃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을 맞대어 가락지처럼 됐을 때 가운뎃손가락 안쪽에 나타나는 두 금 사이를 1치로 하였다. ○ 가운뎃손가락 안쪽 두 금 사이를 동신촌법으로 한 것은 대략적으로 쓰는 방법이다. 만일 머리와 가슴, 잔등과 배의 침혈을 잡는 데는 동신촌법 밖에도 다른 방법이 있으므로 한 가지 방법만 고집하여서는 안된다[강목]. ○ 손과 발도 동신촌법으로 잡는다[신응]. 

◎ 頭部寸 ○ 前髮際至後髮際折作十二節爲一尺二寸 ○ 前髮際不明者取眉心上行三寸後髮際不明者取大椎上行三寸前後髮際不明者共折作一尺八寸[神應] ○ 頭部橫寸以眼內?角至外?角爲一寸?用此法 ○ 神庭至曲差曲差至本神本神至頭維各一寸半自神庭至頭維共四寸半[神應]

☞ 머리의 치수[頭部寸] ○ 앞이마의 머리털이 돋은 데로부터 뒷머리털이 돋은 끝까지 12등분하여 1자 2치로 한다. ○ 앞이마의 털난 경계가 명확하지 않을 때에는 양쪽 눈썹의 가운뎃점으로부터 위로 3치 올라가서 그곳을 경계로 보고 뒷머리털이 돋은 경계가 명확하지 않을 때에는 대추혈(大椎穴)로부터 위로 3치 올라가서 그곳을 경계로 본다. 앞뒤의 경계가 다 똑똑하지 않을 때에는 양쪽 눈썹의 가운뎃점으로부터 대추혈까지를 1자 8치로 계산한다[신응]. ○ 머리의 가로치수[橫寸]는 눈구석에서 눈귀까지를 1치로 하여 다 이 방법을 쓴다. ○ 신정혈(神庭穴)에서 곡차혈(曲差穴), 곡차혈에서 본신혈(本神穴), 본신혈에서 두유혈(頭維穴)까지 각각 1치 5푼이므로 신정에서 두유까지 모두 4치 5푼이다[신응]. 

◎ 膺?部寸 ○ 兩乳橫折作八寸?用此法取之自天突至?中直折作六寸八分下行一寸六分爲中庭上取天突下至中庭共折作八寸四分[神應]

☞ 가슴의 치수[膺?部寸] ○ 두 젖꼭지 사이를 8치로 하여 다 이것을 기준으로 한다. 천돌혈(天突穴)
에서 전중혈(? 中穴)까지의 사이가 6치 8푼이고 아래로 1치 6푼 내려가면 중정혈(中庭穴)이며 천돌혈로부터 중정혈까지는 모두 8치 4푼이다[신응]. 

◎ 背部寸 ○ 大椎穴下至尾?骨共二十一椎通折作三尺 ○ 上七椎每椎一寸四分一釐共九寸八分七釐 ○ 中七椎每椎一寸六分一釐十四椎前與臍平共二尺一寸一分四釐 ○ 下七椎每一寸二分六釐 ○ 背第二行挾脊各一寸半除脊一寸共折作四寸分兩傍 ○ 背第三行挾脊各三寸除脊一寸共折作七寸分兩傍[神應]

☞ 잔등의 치수[背部寸] ○ 대추혈(大椎穴)에서 엉덩이뼈[尾?骨]까지는 모두 21개의 등뼈로 되었는데 3자로 계산한다. ○ 윗 7개의 등뼈는 매개 등뼈마다 1치 4푼 1리로 계산하여 모두 9치 8푼 7리이다. ○ 가운데 7개의 등뼈는 각 등뼈마다 1치 6푼 1리이므로 몸 앞의 배꼽과 수평되는 14개의 등뼈까지가 모두 2자 1치 1푼 4리이다. ○ 아래 7개의 등뼈는 매개 등뼈마다 1치 2푼 6리이다. ○ 잔등의 두번째 줄은 등뼈에서 옆으로 각각 1치 5푼 나가 있으므로 등뼈너비 1치를 합하여 모두 4치로 보고 양쪽으로 가른다. ○ 잔등의 세번째 줄은 등뼈에서 옆으로 각각 3치 나가 있으므로 등뼈 너비 1치를 합하여 모두 7치로 보고 양쪽으로 가른다[신응]. 

◎ 腹部寸 ○ 自中行心蔽骨下至臍共折作八寸人若無心蔽骨者取岐骨下至臍心共折作九寸 ○ 臍中至毛際橫骨折作五寸取之 ○ 膺部腹部橫寸?用乳間八寸法取之[神應]

☞ 배의 치수[腹部寸] ○ 배의 가운데 선에 있는 명치 끝[心蔽骨]으로부터 배꼽까지 8치로 계산한다. 만일 명치 끝이 잘 나타나지 않는 사람은 양쪽 갈비뼈가 마주 붙은 가운데로부터 배꼽중심까지를 모두 9치로 계산한다. ○ 배꼽중심에서 음모의 윗기슭에 있는 치골결합[橫骨毛際]까지 5치로 계산한다. ○ 가슴과 배의 너비는 양쪽 젖꼭지 사이를 8치로 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쓴다[신응]. 

? 人身尺寸 ○ 人有長七尺五寸者髮以下至?一尺 ○ 結喉至갈?(鳩尾骨也)一尺三寸 ○ 갈?至天樞八寸 ○ 天樞(穴名)至橫骨六寸半 ○ 橫骨至內輔上廉一尺八寸 ○ 內輔上廉至下廉三寸半 ○ 內輔下廉至內?一尺三寸 ○ 內?至地三寸 ○ 又膝?至?屬一尺六寸 ○ ?屬至地三寸 ○ 又肩至?一尺七寸 ○ ?至腕一尺二寸半 ○ 腕至中指本節四寸 ○ 本節至末四寸半[靈樞]

☞ 몸의 치수[人身尺寸] ○ 사람의 키를 7자 5치로 본다. 머리털이 돋은 경계에서 아래턱까지 1자이다. ○ 후두결절[結喉]에서 명치 끝까지는 1자 3치이다. ○ 명치 끝에서 천추혈(天樞穴)까지 8치이다. ○ 천추혈에서 음모의 윗기슭에 있는 치골결합[橫骨]까지는 6치 5푼이다. ○ 치골결합에서 보골(輔骨) 안쪽 윗기슭까지 1자 8치이다. ○ 보골 안쪽 윗기슭부터 아랫기슭까지 3치 5푼이다. ○ 보골 안쪽 아랫기슭에서 안쪽 복사뼈까지 1자 3치이다. ○ 안쪽 복사뼈에서 발바닥까지 3치이다. ○ 또한 오금에서 발잔등까지 1자 6치이다. ○ 발잔등에서 발바닥까지 3치이다. ○ 어깨에서 팔굽까지 1자 7치이다. ○ 팔굽에서 손목까지 1자 2치 5푼이다. ○ 손목에서 가운뎃손가락 첫마디까지 4치이다. ○ 손가락 첫마디에서 손가락 끝까지 4치 5푼이다[영추]. 

? 一夫法 ○ 凡量一夫之法覆手倂舒四指對度四指上下節橫過爲一夫也[資生]

☞ 1부법(一夫法) ○ 1부법이란 손을 엎어놓고 네 손가락을 쭉 펴서 마주 붙인 다음 가로 1번 잰 것을 말한다[자생].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과실(果部)] 검인(芡仁, 가시연밥) 678
[과실(果部)] 능인(菱仁, 마름) 530
[과실(果部)] 앵도(櫻桃, 앵두) 앵도엽(櫻桃葉, 앵두나무잎) 동행근(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앵두나무뿌리) 575
[과실(果部)] 등자피(橙子皮, 등자나무껍질) 765
[과실(果部)] 매실(梅實, 매화열매) 오매(烏梅) 백매(白梅) 매엽(梅葉, 매화나무잎) 1469
[과실(果部)] 모과(木瓜) 모과지엽(木瓜枝葉, 모과나무의 가지와 잎) 모과근(木瓜根) 653
[과실(果部)] 명사(??, 명자) 61
[과실(果部)] 홍시(紅?, 연감) 오시(烏?) 백시(白?, 곶감) 소시(小?, 고욤) 비시(??, 먹감) 702
[과실(果部)] 비파엽(枇杷葉) 비파실(枇杷實, 비파나무열매) 763
[과실(果部)] 여지(?枝, 예지) 여지핵(?枝核, 예지씨) 535
[과실(果部)] 용안(龍眼) 용안핵(龍眼核, 용안씨) 499
[과실(果部)] 유당(乳糖) 사당(沙糖, 사당) 519
[과실(果部)] 도핵인(桃核仁, 복숭아씨) 도화(桃花, 복숭아꽃) 도효(桃梟, 나무에 달린 마른 복숭아) 도모(桃毛, 복숭아털) 도두(桃?, 복숭아나무벌레) 경백피(莖白皮, 복숭아나무속껍질) 도엽(桃葉, 복숭아나무잎) 도교(桃膠, 복숭아나무진) 도실(桃實, 복숭아열매) 1308
[과실(果部)] 행핵인(杏核仁, 살구씨) 행실(杏實, 살구열매) 549
[과실(果部)] 석류(石榴) 석류각(石榴殼, 석류껍질) 석류화(石榴花, 석류꽃) 동행근피(東行根皮) 874
[과실(果部)] 이자(梨子, 배) 이엽(梨葉, 배나무잎) 이수피(梨樹皮, 배나무껍질) 667
[과실(果部)] 임금(林檎, 능금) 동행근(東行根, 동쪽으로 뻗은 능금나무뿌리) 576
[과실(果部)] 이핵인(李核仁, 오얏씨) 이근백피(李根白皮) 이엽(李葉) 이실(李實) 564
[과실(果部)] 호도(胡桃, 당추자) 외청피(外靑皮, 호두의 푸른 겉껍질) 수피(樹皮, 호두나무껍질) 689
[과실(果部)] 미후도(??桃, 다래) 813
[과실(果部)] 해송자(海松子, 잣) 801
[과실(果部)] 내자(柰子) 415
[과실(果部)] 진자(榛子, 개암) 326
[과실(果部)] 은행(銀杏) 637
[과실(果部)] 비자(榧子) 397
[과실(果部)] 산사자(山?子, 찔광이) 643
[과실(果部)] 야자(椰子) 353
[과실(果部)] 무화과(無花果) 580
[채소(菜部)] 채소부[菜部] ○ 모두 122가지이다. 595
[채소(菜部)] 생강(生薑) 건강(乾薑, 마른생강) 백강(白薑) 건생강(乾生薑, 말린 생강) 1704